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주거공동체 활성화와 삶의 질 연구: ICT와 블록체인활용
Residential Community Activation for Life Quality using ICT and Block-chain Technolog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융합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3-2019S1A5A2A03052192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3 년 6 개월 (2019년 07월 01일 ~ 2022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최윤영
연구수행기관 아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진행중
공동연구원 현황 김란수(아주대학교)
김태형(아주대학교)
김지현(아주대학교)
황흥선(아주대학교)
김승남(아주대학교)
고민삼(아주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가 현재 당면하고 있는 인구구조의 변화, 주거 및 지역공동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사회갈등, 주택과 관련한 격차 심화, 다양한 주택(청년주택, 1인가구주택, 다문화주택, 노인주택) 등에 따른 주택 및 주거문제들을 진단하고, 공동체 활성화를 통하여 주거복지와 삶의 질을 향상 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함에 있음. 나아가 실용적인 수단으로 ICT와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공동체활성화 연구 성과가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및 실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새로운 지식, 기술, 직업을 창출하여 인력양성 및 고용창출 효과를 거두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함.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음.
    첫째, 주거선택, 만족, 갈등 등에 영향을 주는 주거가치관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파악하고, 빅데이터 분석, 설문분석, 질적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계층의 주거가치관, 이에 따른 변화를 분석함. 횡단면 분석을 통해 소득계층, 지역, 세대 별 주거가치관의 차이를 분석하고, 시계열 분석을 통해 주거가치관의 변화추이를 파악함. 이러한 시도는 주택을 둘러싼 사회갈등을 진단하고 이해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됨. 둘째, 최근에 제공되고 있는 청년주택, 노인주택, 1인가구주택, 다문화주택 등의 주택정책에 따른 다양한 갈등을 유형화하고 분석함. 주택님비현상을 초래하는 주거공간분리 현상과 공동주택 내 갈등에 초점을 맞추어 설문연구와 질적연구를 병행할 예정. 또한 갈등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고자 하며, 사회적 비용으로서 정신건강과 같은 심리적 요인도 함께 고려할 것임. 셋째, 아파트 단지 내 커뮤니티 공간의 활용정도와 이용자 편익, 지역사회와의 관계 등을 분석하여 주택건설 기준 등 관련 범 규정의 개정 등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함. 이를 통해 지역상생을 위한 건강한 공동체 커뮤니티를 형성에 요구되는 공간계획 및 제도정비 방안에 유효한 정보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 함. 넷째, 지역사회의 복지시설과 서비스가 노인들과 중장년층의 노후(은퇴 시)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 이를 위해 개인수준, 주거지수준, 지역수준을 구분하는 다수준 모형(HLM)을 활용하고 자 함. 이 시도는 노인주거의 ‘정주성(Aging in Place)’을 고려하여 노인주거문제를 해결할 때 지역커뮤니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학술적 기반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음. 다섯째, 주택 및 주거 관련 이슈들과 개인의 정신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 저소득계층의 주거비용과 정신건강에 초점을 맞추었던 선행연구를 발전시켜 주거가치관, 주거갈등, 주거공간분리 등이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 여섯째, 건전한 (주거)공동체의식의 개념을 정립하고 근거에 입각한 설계방식(ECD)를 활용하여 공동체의식 심리검사도구와 공동체의식지수 등을 개발함. 개발한 공동체의식 심리검사를 머신러닝에 확대 적용하여 맞춤형 공동체 활동평가 시스템의 기틀을 제공하고자함. 일곱째, ICT기술과 불록체인기술을 활용하여 주택 유지관리 프로그램 Click & Fix과 돌봄 서비스 프로그램 Live & Together와 같은 웹을 개발함. 이는 우버서비스 시스템에서 착안한 것으로 당면한 주거문제들을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실질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임. 마지막으로 연구 성과를 확산하기 위하여 공동체활성화 프로그램 및 웹이 실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관과 연계하여 배포하고 이를 교육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새로운 지식, 기술, 직업을 창출하고자함.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한 기대효과는 학문적 성과, 사회가치창출, 정책평가수단 제공, 고용창출, 교육연계 등임. 첫째, 학문적 기대효과는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주거학, 도시학, 심리학, 부동산학, 교육학, 통계학, 컴퓨터공학, 스마트시티, 보편적설계 등 학제 간 융합연구를 시도한다는 점이며, 이를 통하여 연구자들 간의 학술공동체 형성이 가능한 기대효과가 있음. 본 연구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주거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학문적 경계를 넘어서는 융‧복합적 접근을 시도한 것은 국내·외적으로 시도된 바가 없으며 상당한 학문적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됨. 둘째, 사회 갈등유발과 관계가 깊은 주택과 주거 관련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커뮤니티 공간계획 및 제도정비 방안, 그리고 공동체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삶의 질 개선과 사회통합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됨. 셋째,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하려는 공동체의식 심리검사 도구는 기획 단계부터 지방 및 중앙정부 및 관련 공공기업(LH공사, SH공사 등)의 담당실무자와 관련 활동가와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세미나를 개최하여 공동주택단지 및 도시재생 대상지역에 실제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함. 이에 주거복지와 삶의 질 향상, 사회통합 등 정책목표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정책평가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대효과가 있음. 넷째, 4차 사업혁명에 부응하는 인력양성 및 고용창출효과로 본 연구에서 시도하는 IT 기술을 활용한 주택 유지 및 관리 프로그램(Click & Fix)과 돌봄 서비스 프로그램(Live & Together), 공동체활성화 프로그램의 웹 개발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청년)고용에 실질적으로 크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ICT기반 공동체활성화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고 교육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할 것으로 기대됨. 이를 위해 우선, 서울시 주거지형 도시재생사업과 사회주택사업을 대상으로 지역주민과 주거관련 활동가에게 교육프로그램을 전파할 예정 임.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주택으로 인한 격차심화와 갈등, 1인 가구 증가 및 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주거문제, 주거 공동체의 붕괴, 청년주택·사회주택·행복주택 등과 같은 대안주택공급의 부족, 주택님비현상, 주거문제로 인한 정신건강의 악화 등 주택과 주거를 둘러싸고 발생하고 있는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도시학, 주거학, 부동산학, 심리학, 통계학, 건축학, 컴퓨터공학, 교육학 등의 학제간의 융합을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방법을 적용하고자 함. 다음은 연구자들이 계획하는 연구의 요약임.
    첫째, 학제 간 융합을 통하여 주거가치관의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주거관련 갈등 및 주거공간 분리와 활용문제, 다양한 주거문제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들을 빅데이터 분석, 설문연구 및 심층 인터뷰 등의 질적연구를 통해 파악함.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체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공간계획 및 제도정비 방안, 노인주거를 위한 지역 복지시설과 서비스의 연계방안(커뮤니티 케어), 주거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주거복지와 삶의 질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 둘째, 심리학과 통계학 및 컴퓨터공학을 연계하여 지역별, 주택유형별 맞춤형 공동체의식을 평가 및 진단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보다 구체적으로는 심리검사개발기법인 ECD모형, 성분기반 구조방정식 모형인 GSCA 등을 활용하여 새로운 주거환경에서 요구되는 공동체의식을 평가하고 진단할 수 있는 공동체의식 심리검사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머신러닝기법을 활용하여 건전한 사회적 관계망(social network)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맞춤형 주거공동체 프로그램의 기반을 마련할 것임. 셋째, HLM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개인수준, 주거지 수준, 지역수준에서 노인(중장년의 은퇴 후 포함)주거선택, 주거문제와 정신건강, 그리고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하여 노년층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주택 관련 주요 요인을 도출함. 넷째,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활용할 수 있는 공동체 커뮤니티 활성화에 필요한 도구를 개발함. ICT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주택유지관리, 돌보서비스, 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 웹을 개발함. 다섯째, 다양한 공동체문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함. 이를 위하여 교육학, 공동체사회학, 상담심리학 등의 학문적 자문을 구할 예정임. 마지막으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과정에서 부터 공청회, 세미나를 통하여 기관 및 국내외 학자들에게 자문을 받아 발전시켜 연구결과를 사회에 적용, 정책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임.
    이상의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는 주거학 및 주거공동체분야 2명, 도시재생 및 계획과 스마트시티분야 1명, 통계학 1명, 심리학 1명, 컴퓨터공학 1명, 보편적설계분야 1명 총 7명의 분야별 국내외 전문가들이 연구에 참여할 예정임.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자들은 모두 한국연구재단 및 정부기관의 국내외 연구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하여 왔음. 연구진들은 각 분야에서 최근 5년 동안 등재학술지와 SSCI에 게재된 논문이 적게는 5편에서 많게는 77편에 이르며 다수의 저서를 출판하여 학술적 성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중앙 및 지방정부와 다양한 정책관련 기관에서 자문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어 연구결과를 사회에 적용 및 확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사료됨. 즉 최근 주택시장 및 주거문화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시기에 주거와 관련된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인간-기술-공동체를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학술공동체를 형성하여 협업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시도는 상당한 사회적 파급력과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됨.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가 현재 당면하고 있는 인구구조의 변화, 주거 및 지역공동체에 대한 이해 부족, 주택으로 인한 세대 및 지역격차 심화에 따른 다양한 주택·주거문제들을 진단하고, 개인의 삶, 정신 건강, 사회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여 건강한 지역공동체문화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도출함에 있음. 테크놀러지 접목과 다양한 학제간 융합 접근을 통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실현할 기반을 마련하여 당면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4차산업혁명시대의 새로운 지식, 기술, 직업군을 창출함을 목적으로 함.
    이를 위하여 첫째, 주거만족, 갈등, 지역 및 주거공동체에 주요 영향을 주는 주거가치관을 빅데이터분석, 설문분석, 질적연구분석을 통하여 지역간, 세대간, 세대별로 조사하고 분석함. 둘째, 소셜믹스지역, 다양한 형태의 주택공급에 따른 님비현상,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갈등을 FGI, 질적연구 등을 통해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갈등으로 야기되는 사회적 비용을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개인의 삶의 관점에서 진단하고 대안을 마련하고자 함. 셋째, 주택주거 관련 이슈와 개인의 정신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분석함. 넷째, 급변하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공동체의식의 개념을 정립하고, 공동체의식 심리검사를 개발하여, 공동체의식을 진단 및 평가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주거공동체평가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마지막으로 공동체활성화프로그램 및 웹이 실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관과 연계하여 배포함.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various housing problems caused by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investigate local communities, and to derive ways to solve them through a healthy community culture. It aims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create new knowledge, skills, and occupational group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practical realization in the field through technology grafting and various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pproaches.
    To this end, first, housing values that have a major impact on housing satisfaction, conflict, region, and residential community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region, generation, and genera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questionnaire analysis, and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Second, it aims to categorize and analyze various conflicts arising from social mix areas, various types of housing supply, and apartments through FGI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to diagnose and come up with altern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 social, psychological, and individual life. Third, it investigates and analyzes issues related to housing and the impact on individual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urth, we intend to develop a customized residential community evaluation system that can establish the concept of appropriate community consciousness required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develop a community consciousness psychological test, diagnose and evaluat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Finally, community activation programs and the web are distributed in conjunction with various institutions so that they can be applied in the actual fiel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를 위하여 첫째, 주거만족, 갈등, 지역 및 주거공동체에 주요 영향을 주는 주거가치관을 빅데이터분석, 설문분석, 질적연구분석을 통하여 지역간, 세대간, 세대별로 조사하고 분석함. 둘째, 소셜믹스지역, 다양한 형태의 주택공급에 따른 님비현상,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갈등을 FGI, 질적연구 등을 통해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갈등으로 야기되는 사회적 비용을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개인의 삶의 관점에서 진단하고 대안을 마련하고자 함. 셋째, 주택주거 관련 이슈와 개인의 정신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분석함. 넷째, 급변하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공동체의식의 개념을 정립하고, 공동체의식 심리검사를 개발하여, 공동체의식을 진단 및 평가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주거공동체평가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마지막으로 공동체활성화프로그램 및 웹이 실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관과 연계하여 배포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통합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양극화와 갈등과 깊은 관계가 있는 주택과 주거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주거학, 도시학, 심리학, 부동산학, 교육학, 통계학, 컴퓨터공학 등 학제 간 융합연구를 시도함으로써 국민들의 삶의 질에 도움이 되는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자들 간의 학술공동체를 형성하고 자 함.
    ○ 도시재생사업의 정책효과 평가항목들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한 점을 연구결과를 통하여 보완하여 주거 및 주택문제와 관련하여 정책평가항목으로 주거복지 및 삶의 질 개선, 공동체회복과 사회통합이라는 정책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해줌.
  • 색인어
  • 공동체, 공동체심리검사, 정신건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