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속가능성을 위한 섬유폐기물 자원화 기술개발과 상품화 연구
Textile waste recycling technology development and product utilization for sustainabil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융합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3-2019S1A5A2A03054508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3 년 6 개월 (2019년 07월 01일 ~ 2022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정혜정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진행중
공동연구원 현황 전재훈(서울대학교)
게리 할라다(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박정희(서울대학교)
이지연(한양대학교)
김태진(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의류-공학기술 융합을 통한 소비자 니즈와 감성 중심의 섬유폐기물 자원화와 상품화
    의류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최종목표로 하여 섬유폐기물 자원화를 위해 섬유폐기물의 재생, 재활용 공학 기술을 연구하고 지속적인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물성, 촉감이 우수한 재활용 소재를 개발한다. 기존의 재활용 섬유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없애고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디자인 및 제품기획을 위해 패션정보, 소비자트렌드, 디자인 및 미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소비자 니즈와 감성 중심의 우수한 물성을 지닌 고감도 의류소재 및 고감성 재활용 패션 제품의 디자인 및 브랜드 전략을 기획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3차년도로 진행될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1차년도 연구목표
    ● 학교 내 섬유폐기물인 광목(머슬린)과 같은 일반 면직물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면직물 분해의 화학적, 열적, 물리적 조건 수립
    ● 광학 및 현미경을 통한 반응 전 후 섬유구조 변화 분석를 통한 물성 향상
    ● 면직물 폐기물 재활용 소재 및 디자인의 미적 특성 규명, 제품 디자인 아이디어 창출
    ● 재활용 섬유 및 의류에 대한 소셜 빅데이터 분석
    ● 소비자를 대상으로 면직물 폐기물 재활용 소재의 물성, 촉감 선호도, 재활용 의류제품 평가기준 조사
    2차년도 연구목표
    ● 염색의류 면직물 분해 조건 수립
    ● 염료 화학구조 및 염색 섬유구조 변화 분석
    ● 지속가능한 패션 디자인 모티브 구현 및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준비, 개발 재활용 소재와 디자인 등 제품 샘플북 제작
    ● 개발된 제품의 브랜드화,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소비자/기업전문가 인터뷰, 설문 조사
    3차년도 연구목표
    ● 실제 헌의류 면직물 분해 실험 및 조건 수립
    ● 분해 공정 전 후 의류 화학구조 분석 및 의류소재 적합성 평가
    ● 추가 어드밴스드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및 시제품 수정, 디자인 출원
    ● 재활용 의류상품 브랜딩/SNS커뮤니케이션 전략 실행, 상표출원 및 등록, 판매 유통망 개척
  • 기대효과
  • 지속가능성과 자원순환형 미래사회를 위한 섬유폐기물 재활용 기술 개발과 섬유폐기물의 자원화를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제품 디자인과 상품화 전략을 마련하여 학문적, 사회적, 산업적 기대효과가 예상된다.
    학문적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한 실증적 성과를 통해 섬유폐기물 자원화 기술 개발 및 보완
    ● 섬유폐기물 재활용 직물구조 분석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및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을 통한 다양한 헌의류/직물 구조 예측 및 분해 기술 적용.
    ● 의류학에서 거의 100% 친환경적 재활용 의류소재 개발 기술은 과거로부터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비용적 측면과, 학제 간 협력의 어려움 등으로 활발히 진행되지 못함.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여 기술을 개발하고 상품화하여 성공적인 섬유폐기물 재활용 자원화 이룸
    ● 본 연구 과제를 통한 광범위한 인문사회 분야와 과학/공학 분야를 총괄적으로 이해하고 4차 산업 기술에 적합한 융합적 인력 양성
    ● 섬유폐기물 자원화 초창기 단계인 현 시점에서 학문적으로 이론을 확립할 수 있고, 성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으로 알맞은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섬유폐기물 재활용 기술 및 디자인 전략 전문가가 양성될 것으로 예상됨
    사회적 기대효과:
    ● 폐섬유 및 헌직물 분해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수집된 결과는 혼합 섬유 (셀룰로오스 및 석유화학 기반)와 염색 의류에 직접적으로 적용, 글로벌 산업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 기존 폐의류 재활용 고비용, 유해 화학물 사용 문제를 실현함.
    ● 섬유폐기물 재활용 기술개발과 상품화 연구를 통해 자원의 고갈과 환경문제 와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 소비자들의 환경보호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
    ● 섬유폐기물 재활용 디자인 마인드 함양교육을 통한 창업 및 취업 활성화를 도모하고 지속가능한 섬유개발/재활용 기술, 디자인, 트렌드의 사회적 확산에 기여
    산업적 기대효과:
    ● 섬유폐기물 재활용 의류소재의 물성 향상과 화학적 처리 기술을 개발하여 지속가능한 패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 환경친화적 의류소재 및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와 맞물려 소비자 니즈 기반 재활용 상품 판매 시장력 구축
    ● 미국 연구팀과의 국제적 연구협력을 통한 국내 기술 경쟁력 강화
    ● 기술과 의류학의 융합으로 섬유폐기물 재활용 섬유소재와 의류제품의 고부가가치 창출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위해 의류학 분야와 공학기술 분야의 융합연구를 통해 섬유폐기물을 재활용한 환경친화적 의류소재 기술 개발과 이를 적용한 소재 및 패션 디자인 제품을 제작하여 유통하는 것이다.
    4차 산업 첨단 기술제품의 특징은 기술과 사회, 사람의 관점이 어우러진 창의적이며 융합적인 제품 개발 과정을 중요시한다는 점이다. 인문학을 통한 인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과 기술의 상호작용과 사용자 중심의 기술 창출을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학문적 접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지속가능한 섬유 및 의류제품의 기술개발과 생산은 디자인부터, 기획, 품질, 마케팅 등 전사적인 참여와 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5명의 연구자들로 구성된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며, 각 연구원들의 전공분야에 따라 기술팀(Sustainable Engineering), 디자인팀(Creative Design), 경영팀(Merchandising & Retailing) 등 다음과 같이 세 팀으로 구성하였다.
    ● 기술팀 Sustainable Engineering
    - 섬유폐기물 재생 및 재활용 관련 기존 연구와 문헌조사
    - 섬유폐기물 화학적 재생, 면직물 분해의 화학적, 열적, 물리적 조건 수립, 광학 및 현미경을 통한 반응 전 후 섬유구조 변화 분석
    - 국내외 기술 특허 (US Patent, 국내 특허)
    ● 디자인팀 Creative Design
    - 섬유폐기물 재생 및 재활용 디자인 관련 사례조사, 트렌드 정보수집, 디자인 테마 설정, 소재디자인 기획 및 아이디어 도출
    - 소비자 니즈 도출 결과를 디자인 기획에 반영하여 대상제품 선정 및 특징분석, 디자인 비교평가 위한 평가시트 개발
    - 1, 2차 품평회, 디자인 관련 소비자 선호도 조사를 통한 최종 디자인 선택
    - 최종 디자인에 대한 프로토타입 제작, 개선효과 및 만족도 확인 위한 사후소비자조사(FGI), 추가개선 후 디자인 확정
    - 디자인 특허, 국내외 전시회 참여, 세미나 연사 참여
    ● 경영팀 Merchandising & Retailing
    - 대상제품 시장분석을 통한 현황 분석, 재활용 섬유 관련 기업 정보, 시장조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분석
    - 섬유폐기물 재활용 소재 물성, 촉감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만족도 분석
    - 기획된 상품 판매를 위해 가치, 인식, 소비자 구매의사 설문조사를 통해 소비자 니즈 도출
    - 니즈 도출 결과를 제품기획방향 설정에 반영하여 브랜딩, 커뮤니케이션 및 유통망 전략

    본 연구는 3차년도로 진행될 것이며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에는 의류학 전공자들이 학교에서 사용하고 남은 폐기용 의류 가봉용 광목(머슬린) 원단 자투리를 수집하여 화학적, 열적, 물리적 조건 수립, 광학 및 현미경을 통한 반응 전 후 섬유구조 변화를 분석한다. 소비자 니즈와 감성 중심 상품개발을 위해 면직물 폐기물 재활용 소재 및 디자인의 미적 특성 규명, 제품 디자인 아이디어 창출하고 재생된 섬유제품을 상품화하기 위한 디자인 트렌드 정보 및 정량적/정성적/소셜 빅데이터 소비자 정보 수집과 분석한다. 소비자들의 재활용 섬유 물성, 촉감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한다.
    2차년도에는 염색이 된 상태의 섬유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그 결과 재활용된 섬유제품의 목표고객을 선정하고 제품디자인의 포지셔닝과 디자인 컨셉을 바탕으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한다.
    3차년도에는 실제 버려진 헌의류 면직물의 화학적 분해 실험 및 조건 수립, 분해 공정 전 후 의류 화학구조 분석 및 의류소재 적합성 평가한다. 개발된 의류소재를 디자인에 적용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재수정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최종 디자인을 출원 및 생산, 재활용 의류상품 브랜딩, SNS커뮤니케이션 전략 실행, 상표출원 및 등록, 판매 유통망 개척을 추진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환경오염과 자원고갈의 문제로 폐기물에 대한 규제는 엄격해질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섬유폐기물을 재사용, 재활용하는 자원화 사업은 산업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더욱 중요시될 것으로 사료된다. 폐섬유 재활용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염기 또는 산, 효소 처리 후 섬유구조에 대한 근본적이고 실험적인 이해는 아직 부족하다. 팽윤 (swelling) 과정 및 직물과 화학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포함한 복잡한 반응 메커니즘과 화학적으로 처리된 제품의 다양한 표면 기능 그룹(즉, 벌크 섬유와 미세한 섬유)이 모두 섬유풀림 (deweaving)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현재까지는 폐섬유의 구조와 형태학을 이해하기 위한 분광 및 현미경 자료가 많이 미비하다. 의류 및 섬유구조의 복잡성 다양성으로 인한 구조 분석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최첨단 광학 현미경 방법에 따른 물질구조 분석이 요구된다. 경제적으로 폐섬유와 헌의류를 재생하여 차세대 섬유 생산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열적, 화학적, 물리적, 그리고 효소사용 방법을 제안한다. 현재 재활용 의류소재 제품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의향은 낮은 편이며, 섬유폐기물 재활용 의류제품의 실구매자와 사용자에 대한 정확한 요구도에 대한 파악이 미흡하다. 환경 보전과 자원 절약을 목적으로 하는 지속가능성 경향인 “리사이클”은 저성장 지향과 윤리적인 책임의식 강조에 의한 심미성 추구 지양의 관점으로 제한될 수 있다.
    재활용된 제품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여전히 자리 잡고 있다. 이에 재활용 의류소재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인식 및 구매의도 향상을 위한 소비자 취향 및 감성 중심 상품기획 및 디자인이 요구된다. 지속가능한 섬유 및 의류제품의 기술개발과 생산은 디자인부터, 기획, 품질, 마케팅 등 전사적인 참여와 협업이 필요하다. 기술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제품개발의 중심에 디자인이 있으며 아무리 훌륭한 기술력이 있어도 그 사용자인 사람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좋은 기술이 될 수 없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제품 개발과정은 주로 기술 개발자 관점에서 이루어져 재활용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부정적이며 사용 의도가 적극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섬유폐기물 재활용 기술개발로 우수한 물성의 소재를 개발하고(이공분야-공학), 소비자 선호도 분석을 통한 트렌드 정보, 글로벌마케팅 수요조사 결과, 패션 및 소재 마켓 동향 등을 분석하여 친환경적 사회적 가치와 미의식, 소비자 감성을 반영한 지속가능하고 신뢰성 있는 미래형 그린 텍스타일 개발 및 섬유제품 디자인을 창조하여 소비자 니즈를 충족하는 상품개발(인문사회분야-의류학)에 수행하였다.
    화학적 (무독성 화학물 사용 목표), 열적 (저온 반응 목표), 물리적 (적은 에너지 소비 목표)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면직물 분해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였다. COVID-19 어려움 속에서도 연구 기간에 목표로 정한 국내외 학술대회 참가 및 논문게재에 있어서 성공적인 결과를 산출하였다. 섬유폐기물 재생 및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제품을 디자인하고 브랜드화하여 상용가능한 제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패션 트렌드 정보수집 및 지속가능한 패션의 현황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노톡(NOTTOC)’이라는 브랜드를 개발하였다. ‘노톡’ 브랜드의 정체성, 추구가치, 로고, 캐릭터 및 모티브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패션의류·패션잡화·리빙 제품으로 구분하여 디자인 샘플북을 제작하였다. 소비자 조사를 바탕으로 실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및 상품 트렌드 조사와 소비자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2차년도에 개발된 지속가능한 브랜드 콘셉트와 로고를 기업전문가와 소비자에게 소개하여 의견과 반응을 조사하는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수렴하여 추후 디자인 개발 및 브랜딩에 적용하였으며 3차년도에는 개발된 제품을 브랜딩하고, 지속가능한 유통채널에 대한 미국 소비자 조사 및 지속가능한 브랜드 관련 잠재적 시장성이 있는 스트리트 패션 관련 빅데이터 논문을 투고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외 섬유폐기물을 화학적, 효소적 재생(chemical recycle)을 통해 자원화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자, 즉 소비자 중심의 제품으로 디자인 및 상품화하였다.
  • 영문
  • Regulations on waste are expected to become rigorou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which will make recycling of textile waste more important both industrially and social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recycle waste fibers,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fundamental and experimental understanding of fiber structure after base or acid or enzyme treatment. Complex reaction mechanisms, including swelling processes and interactions between textiles and chemicals, and various surface functional groups (i.e., bulk fibers and microfibers) of chemically treated products are all deweaving. Until now, there is a lack of spectroscopic and microscopic data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morphology of lung fibers. Because structural analysis due to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clothing and fiber structures is not performed accurately, material structure analysis using state-of-the-art optical microscopy methods is required. We propose eco-friendly thermal, chemical, physical and enzyme use methods that can economically regenerate waste fibers and antiquities and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next-generation fiber production. Currently, domestic consumers are less willing to buy recycled clothing materials, and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exact requirements for actual buyers and users of recycled textile waste clothing products. Recycling, a sustainability trend aimed at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source conservation, can be limited to the perspective of pursuing aesthetics by emphasizing low growth and ethical responsibility.
    Negative images of recycled products are still in pl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and design products centered on consumer preferences and emotions to improve consumers' positive perception of recycled clothing material products and their purchasing intentions.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sustainable textile and clothing products requires company-wid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from design to planning, quality, marketing, etc. Design is at the center of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as well as technology, and no matter how good the technology is, it cannot be a good technology unless you understand the user first. However, so far, most product development processes have been mainly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developers, and consumers' perception of recycled clothing products is negative and their intention to use them is not activ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developed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xtile waste recycling technology (science and engineering), analyzed trend information based on consumer preference analysis, global marketing demand survey.
    Research on the decomposition of cotton fabrics has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while changing chemical (non-toxic chemical use target), thermal (low temperature reaction target), and physical (low energy consumption target) conditions. Despite the difficulties of COVID-19, successful results were calculated in participating in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conferences and publishing papers aimed at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 goal is to design and brand products that utilize recycled and recycled textile waste materials, and to present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Based on collecting fashion trend information and analyzing sustainable fashion status, we developed a brand called NOTTOC. Based on the identity, pursuit value, logo, character, and motif of the " NOTTOC" brand, we created a design sample book by dividing it into fashion clothing, fashion miscellaneous goods, and living products. Based on consumer surveys, we made actual design prototyp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stainable Fashion Brand and Product Trend Survey and Consumer Survey, we proposed sustainable brand concepts and logos developed in the second year to corporate experts and consumers to conduct interviews and surveys. We collected this and applied it to future design development and branding, branding the developed products in the third year, and published a U.S. consumer survey on sustainable distribution channels and a big data paper on street fashion with potential marketability related to sustainable brands. Finally, this research developed a technology to resource domestic and foreign textile waste through chemical recycling, and designed and commercialized it as a user-centered produ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위해 의류학 분야와 공학기술 분야의 융합연구를 통해 섬유폐기물을 재활용한 환경친화적 의류소재 기술 개발과 이를 적용한 소재 및 패션 디자인 제품을 제작하여 유통하는 것이다. 4차 산업 첨단 기술제품의 특징은 기술과 사회, 사람의 관점이 어우러진 창의적이며 융합적인 제품 개발 과정을 중요시한다는 점이다. 인문학을 통한 인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과 기술의 상호작용과 사용자 중심의 기술 창출을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학문적 접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지속가능한 섬유 및 의류제품의 기술개발과 생산은 디자인부터, 기획, 품질, 마케팅 등 전사적인 참여와 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5명의 연구자들로 구성된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며, 각 연구원들의 전공분야에 따라 기술팀(Sustainable Engineering), 디자인팀(Creative Design), 경영팀(Merchandising & Retailing) 등 다음과 같이 세 팀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3차년도로 진행되었으며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기간 동안 화학적 (무독성 화학물 사용 목표), 열적 (저온 반응 목표), 물리적 (적은 에너지 소비 목표)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면직물 분해에 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였다. 섬유폐기물 재생 및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제품을 디자인하고 브랜드화하여 상용가능한 제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COVID-19 어려움 속에서도 연구 기간에 목표로 정한 국내외 학술대회(국제 5회, 국내 6회)와 전시 2회 참가 및 논문게재(SCI 2편, SSCI 7편, 한국연구재단등재지 5편)에 있어서 성공적인 결과를 산출하였다. 패션 트렌드 정보수집 및 지속가능한 패션의 현황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노톡(NOTTOC)’이라는 브랜드를 개발하였다. ‘노톡’ 브랜드의 정체성, 추구가치, 로고, 캐릭터 및 모티브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패션의류·패션잡화·리빙 제품으로 구분하여 디자인 샘플북을 제작하였으며 소비자 조사를 바탕으로 실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지속가능한 패션브랜드 및 상품 트렌드 조사와 소비자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2차년도에 개발된 지속가능한 브랜드 콘셉트와 로고를 기업전문가와 소비자에게 소개하여 의견과 반응을 조사하는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수렴하여 추후 디자인 개발 및 브랜딩에 적용하였으며 3차년도에는 개발된 제품을 브랜딩하고, 지속가능한 유통채널에 대한 미국 소비자 조사 및 지속가능한 브랜드 관련 잠재적 시장성이 있는 스트리트 패션 관련 빅데이터 논문을 투고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외 섬유폐기물을 화학적, 효소적 재생(chemical recycle)을 통해 자원화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자, 즉 소비자 중심의 제품으로 디자인 및 상품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즉 융합연구를 통해 소비자 니즈와 감성기반 섬유폐기물 재활용 소재의 공학기술 개발과 이를 상품화하는데 요구되는 디자인 상품기획 및 판매홍보 전략을 구축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면직물 재활용 프로세스를 위한 새로운 방법 개발에 잠재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를 더 자세히 조사하려면 이 프로세스를 더 큰 볼륨과 패브릭 크기로 확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현재의 연구는 면 모슬린 직물의 직조된 섬유 간 구조가 monomers 또는 oligomers로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후속 재사용을 위해 저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험에서 도출된 특성화 결과(i.e., spectroscopic and microscopic)는 화학 반응 메커니즘, 특히 고체-액상 상호 작용과 관련된 메커니즘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수행을 통해 디자인팀은 지속가능한 패션 브랜드를 개발하고 다양한 전시회 참여를 통해 실제 소비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현재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지속가능 패션의 브랜드 가치 스토리와 제품 디자인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앞으로 지속가능 패션 제품의 심미성을 높이고, 소비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기업체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더불어, 현재 소비자의 니즈와 최신 트렌드 경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연구결과로 제시된 프로토타입 제품들이 경쟁력 있는 제품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다양한 제품 종류와 카테고리로 확장될 가능성이 크며,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친환경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친환경, 지속가능성 패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며, 나아가 섬유폐기물로 야기되는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고려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정량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 고감도 고감성 섬유폐기물 재활용 상품 전략을 제안하고 소비자의 만족도 극대화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섬유폐기물 재활용 기술개발과 상품화 연구를 바탕으로 자원의 고갈과 환경문제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자들의 환경보호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해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색인어
  • 섬유폐기물, 리사이클, 지속가능성, 화학적 재생, 패션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소비자심리, 상품기획, 브랜딩, 머신러닝, 소셜빅데이터 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