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화엄경 한역본에는 번역순으로 60화엄경, 80화엄경, 40화엄경의 세 종류가 있다. 60화엄은 동진시대 불타발타라(佛馱跋陀羅, Buddhabhadra, 359〜429)의 번역으로서 7처(處) 8회(會) 34품(品)으로 구성되어 있고, 80화엄은 당대에 실차난타(實叉難陀, Śikṣānanda)가 번역한 것으로서 7처 9회 39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60화엄보다 완결성에 앞선다. 신역(新譯) 화엄경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40화엄은 당대에 반야삼장(般若三藏)이 화엄경 전체가 아닌 입법계품(入法界品)만 번역한 것이다.
1. <화엄경소초>의 서문에 대한 과문 (大方廣佛華嚴經疏鈔序科文)과 본문에 대한 과문 (大方廣佛華嚴經疏科文)이 차례대로 수록되어 있다.
2. 본문에 대한 과문(釋此華嚴經八十卷三十九品)은 크게 初經前演義와 二正釋經文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 중 初經前演義는 '初經疏總題'와 '二述人名號'와 그리고 '三正解疏文' 중 正釋經文이전까지의 내용에 대한 과문이고, 二正釋經文은 화엄경 경문에 대한 과문이다.
3. 9회에 걸친 화엄경 무대로 보면 1회, 2회~7회, 8회, 9회로 사분되어 있다.
4. 경문 분과에서는 80화엄경 전체를 '信-解-行-證'으로 四分하고 있다.
信
第一 世主妙嚴品에서 第六 毗盧遮那品까지 총 11권
解
第七 如来名號品에서 第三十七 如来出現品까지 총 41권
行
第三十八 離世間品 총7권
證
第三十九 入法界品 총 21권
3. 서지적 특징
1. 澄觀이 80권 華嚴經에 대한 자신의 주석서인 大方廣佛華嚴經疏(60권)를 다시 과판주석하면서 만든 과문이다.
2. 모본과 과문의 일반적 특성
1. 과문은 大方廣佛華嚴經疏演義鈔序釋文의 과문과 華嚴經疏 본문에 대한 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의 과문은 다시 삼분하고(釋斯鈔序啟以三門) 본문은 크게 이분 (釋此華嚴經八十卷三十九品大文分二) 하고 있는데, 하나는 경전 해석에 앞서 대의를 설명한 부분(經前演義)이고, 다른 하나는 경문의 문구를 따라가면서 해석한 부분 (正釋經文)이다.
2. 본 과문에서 화엄경의 39품 각 품은 다음과 같은 5개 항목에 의해 과판이 전개된다. 단 넷째 항목(解妨)은 경우에 따라 생략된 품이 있다.
1. 각 품이 설해지고 구분된 맥락(來意)
2. 품명의 해석(釋名)
3. 근본 취지(宗趣)
4. 의문의 해소(解妨)
5. 경문의 해석(釋文)
3. <80 화엄경> 은 다음과 같이 7處 9會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普光明殿에서는 제2회, 제7회, 제8회 등 三會에 걸쳐 법회가 펼쳐졌다.
大方廣佛華嚴經 구성 (7처 9회 39품)
第一會 菩提道場會
第一世主妙嚴品品 ~ 第六毘盧遮那品
Subtopic
第一世主妙嚴品品
第二如來現相品
第三普賢三昧品
第四世界成就品
第五華藏世界品
第六毘盧遮那品
第二會 普光明殿
第七如來名號品 ~ 第十二賢首品品
Subtopic
第七如來名號品
第八四聖諦品
第九光明覺品
第十菩薩問明品
第十一淨行品
第十二賢首品
第三會 忉利天宮會
第十三昇須彌山頂品 ~ 第十八明法品
Subtopic
第十三昇須彌山頂品
第十四須彌頂上偈讚品
第十五十住品
第十六梵行品
第十七初發心功德品
第十八明法品
第四會 夜摩天宮會
第十七昇夜摩天宮品~第二十二十無盡藏品
Subtopic
第十九昇夜摩天宮品
第二十夜摩天宮偈讚品
第二十一十行品
第二十二十無盡藏品
第五會 兜率天宮會
第二十三昇兜率天宮品~第二十五十廻向品
Subtopic
第二十三昇兜率天宮品
第二十四兜率天宮偈讚品
第二十五十廻向品
第六會 他化自在天宮會
第二十六 十地品
第七會 普光明殿 (二會)
第二十七十定品~ 第三十七如來出現品
Subtopic
第二十七十定品
第二十八十通品
第二十九十忍品
第三十阿僧祗品
第三十一如來壽量品
第三十二菩薩住處品
第三十三佛不思議法品
第三十四如來十身相海品
第三十五如來隨好光明功德品
第三十六普賢行品
第三十七如來出現品
第八會 普光明殿 (三會)
第三十八 離世間品
第九會 逝多林會
第三十九 入法界品
4. CBETA에서는 '[○/(○*○)]'기호로 경문의 각 품이 시작되는 곳을 표시하고 있다.
예
[○/(○*○)]賢首品第十二
[○/(○*○)]昇須彌山頂品第十三
5. 연관과문과의 상이점
1. X0231(新纂卍續藏)과 U1418(洪武南藏)은 모두 澄觀의 大方廣佛華嚴經疏(60권)를 과판한 과문이다.
2. 그러나 X231은 징관이 자신의 화엄경소에 대해 다시 2차주석인 화엄경수소연의초를 저술하면서 만든 과문이고, U1418은 淨源이 징관의 화엄경소를 화엄경 경문에 배치하면서 자신의 재량에 의해 약간의 편집을 가한 과문이다.
3. U1418과 X0231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1. X0231의 구성은 '화엄경수소연의초 서문'에 대한 과문과 본문에 대한 과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U1418은 연의초 서문에 대한 과문이 없다.
2. '화엄경소' 본문에 대한 과문을 보면, X0231에서는 初經前演義(이 과단은 初經疏總題와 二述人名號와 三正解疏文( U1418의 '三述疏通經'에 해당) 중 '正釋經文' 이전까지를 하나의 과단으로 묶은 것임)와, 경문에 대한 주석인 二正釋經文의 두 과단으로 크게 나누고 있는 반면, U1418은 제목풀이(初標疏題目)와 疏의 저자에 대한 정보(二疏主嘉號)와 疏를 통해 경전을 서술하는 부분 (三述疏通經)으로 삼분하고 있다.
3. X0231의 三正解疏文과 U1418의 三述疏通經 이하 하위 과단부터는 (표현문구를 조금 달리 하거나, 상세하고 간략함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동일한 구조로 과문이 전개된다.
4. U1418은 과문이 대체로 간략하고 X0231은 매우 상세하다.
4. 편집 보정
1. 과문만 10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으로 현 Mindjet 프로그램의 용량을 초과하므로 과도를 회차에 따라 아홉 부분으로 분할했다.
2. 三正陳所說分 하위 과단이 CBETA버전에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앞뒤 문맥을 참조하여 제자리에 붙여넣었다.(제1회분)
3. 화엄경 경문의 각 품은 과판 과문의 전개와는 별개로 토픽의 색갈과 모양으로 표시하여 구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