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3629&local_id=10002804
일본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 나타난 오류 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일본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 나타난 오류 분석 | 2003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삼형(한양대학교) [ NRF 인문사회 연구책임 8회 수행 / 공동연구 4회 수행 / 학술논문 58편 게재 / 총 피인용 869회 ]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78
선정년도 2003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4년 09월 0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4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휘 오류는 어휘의 의미를 혼동하여 생기는 오류와 어휘의 의미나 쓰임새를 알지 못해서 발생하는 오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아울러 형태상의 오류로 많이 나타난다. 문법상의 오류 중 조사의 오류는 조사를 생략해서 발생하는 오류, 불필요한 조사를 사용한 오류, 조사를 잘못 끈 오류 등으로 나누어지는 데 역시 조사를 잘못 쓰는 오류가 가장 빈도수가 높다. 시제의 오류는 시제어미를 생략해서 발생하는 오류, 시제 어미를 잘못 쓴 오류 등이 있으며 높임법의 오류는 존대어미를 생략해서 오는 오류와 과대 사용하는 데서 오는 오류가 있는데 이들 오류는 빈도수가 그렇게 놓지 않았다. 종결어미의 오류도 문장의 종결과 관련되어 많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결어미는 매우 많이 나타났다. 연결어미의 오류는 ‘한 가지 이상의 일을 나열하는 것’, ‘한 가지 이상의 일이 동시에 일어남을 보이는 것’, ‘서로 상반됨을 보이는 것’, ‘이유나 원인을 보이는 것’, ‘어떤 일의 결과나 상태의 지속을 보이는 것’ 등에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다. 문장의 오류는 부분적 오류와 전반적인 오류가 있는데 전반적인 오류는 문장구조가 잘못된 데서 오는 오류가 대부분이나 한국인들도 이러한 오류를 자주 범한다.
  • 영문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rror which Japanese's learners makes mistakes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This study analysed learner's writing materials. There are many the error from meaning similarity and misunderstanding meaning in vocabulary error. The post-positional error are numerous, too. Especially, there many the replacement error. Tense error and honorific error are not many. In the ending errors, the connection ending's error are many. Especially, the cause and reason ending errors are most plentiful. The sentence errors are divided into partial error and whole error. The partial error which is the deletion of the component of sentence is more than the adding error. There are many the structure error, but Korean make mistakes this error, too.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휘 오류에는 어휘의 의미를 혼동하여 생기는 오류와 어휘의 의미나 쓰임새를 알지 못해서 발생하는 오류 그리고 형태상의 오류로 나누어진다. 문법상의 오류 중 조사의 오류는 조사를 생략해서 발생하는 오류, 불필요한 조사를 사용한 오류, 조사를 잘못 끈 오류 등으로 나누어진다. 시제의 오류는 시제어미를 생략해서 발생하는 오류, 시제 어미를 잘못 쓴 오류 등이 있다. 높임법의 오류는 존대어미를 생략해서 오는 오류와 과대 사용하는 데서 오는 오류가 있다. 종결어미의 오류는 종결 어미의 생략에서 오는 오류, 종결어미를 잘못 쓴 오류로 나누어진다. 연결어미의 오류도 연결어미의 생략 오류와 연결어미의 잘못 쓴 오류로 나누어진다. 문장의 오류는 부분적 오류와 전반적인 오류가 있는데 전반적인 오류는 문장구조가 잘못된 데서 오는 오류가 대부분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일본인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어휘의 오류는 의미적 유사성에서 오는 오류와 개념을 잘못 이해한 데서 오는 오류가 빈도수가 높았으며, 형태적 오류도 매우 빈도수가 높았다. 한국어는 공통으로 한자를 사용하지만 단어에 따라서 그 조어가 다름으로 인해 한국어에 없는 어휘를 사용하는 오류도 나타났다. 일본어도 조사가 매우 발달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인 학습자들이 학습 초기에는 학습에 큰 어려움이 없으니 한국어와 일본어의 용법의 차이가 있어서 조사를 잘못 쓴 오류가 발생한다. 시제의 오류는 일본이 학습자들이 오류의 빈도수가 높지는 않았다. 문장 종결의 어미는 양태를 나타내는 데서 주로 오류가 발생하였다. 일본인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 중의 하나가 연결어미의 오류이다. 한국어는 연결어미가 배우 발달하였기 때문에 일본일 학습자들이 오류를 쉽게 범하는 것 같다. 이 중에서 ‘한 가지 이상의 일을 나열하는 것’, ‘한 가지 이상의 일이 동시에 일어남을 보이는 것’, ‘서로 상반됨을 보이는 것’, ‘이유나 원인을 보이는 것’, ‘어떤 일의 결과나 상태의 지속을 보이는 것’ 등에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다른 것에는 오류가 많이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이유나 원인을 보이는 것에 집중적으로 오류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의 종류 및 빈도수 등을 기초로 하여 일본인들에게 한국어를 학습할 때 강조해야 할 점을 제시해 주며 나아가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에 주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오류 분석, 어휘의 오류, 조사의 오류, 시제의 오류, 종결어미의 오류, 연결어미의 오류, 문장의 오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