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0727&local_id=10022955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사회의 도래와 정치커뮤니케이션의 변화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사회의 도래와 정치커뮤니케이션의 변화 | 2008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권상희(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06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03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요약문

    1) 들어가기: 본 연구는 온라인 네트워크사회의 도래에 따른 정치커뮤니케이션과 정치참여행위 변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로 정치 행위공론장의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O1-S-O2-R (McLeod, Kosicki & McLeod, 2002)모델을 적용하였다 즉 온라인 수용자의 능동성을 바탕으로 개인적인 사회자본과 선유경향이 온라인 공간상의 네트워크와 메시지수용이 2차개인 선유경향을 형성하고 이는 정치 커뮤니케이션 행위로 나타나는 모델이다. 이는 온라인 정치 자본과 정치 행위에 적용되는 O1-S-O2-R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개인의 선유경향과 소셜네트워크이용 경향에 따른 온라인 정치행위의 2차적인 선유경향의 형성(O2)에 미치는 인구변인과 소셜네트워크변인(S)변인을 측정하여 온라인 정치 행위변인(R) 요인을 분석하기위해 설계 되었다.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본 조사는 2009년 4월 1일부터 9일까지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실시하였다. 더불어 로그파일 데이터자료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된 응답자는 총 861명이었다.
    2) 연구문제: 본 연구는 ‘O1-S-O2-R 모형’을 적용하여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구조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정치 참여 행위에 대한 이해를 통해 O1-S-O2-R 모형에 기반한 연구문제의 설정이 필요하다.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인과관계에 따라 결합되어 있다. O1-S-O2-R 모형에 근거하면 행위 반응으로서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는 선유 경향, 온라인 활동, 결과 정향성 각각의 인과관계에 따른 결과이다.
    3) 연구방법:본 연구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베이를 연구방법으로 채택하는데, 그 대상은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로 응답자는 총 861명이었다.

    4) 연구결과
    정치 참여에 있어서 인터넷 이용자의 온라인 활동 중 인터넷 정치 행위 목적(인터넷 정치 참여 목적, 인터넷 정치 정보 습득 목적)과 인터넷 정치 사이트 이용(정치 전문 사이트 이용, 정치 뉴스 사이트 이용)은 인터넷 여론 합의성 인식과 인터넷 여론 대표성 인식으로 구성된 인터넷 여론 인식 모두와 인터넷 댓글 신뢰성 인식, 인터넷 댓글 객관성 인식, 인터넷 댓글 유지성 인식으로 구성된 인터넷 댓글 인식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터넷 정치 행위 목적 중 인터넷 정치 참여 목적은 직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 인터넷 정치 정보 습득 목적은 간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는 인터넷 정치 참여 목적(β=0.51, t=15.69, p<0.001), 정치 전문 사이트 이용(β=0.17, t=5.92, p<0.001), 인터넷 정치 정보 습득 목적(β=0.12, t=4.12, p<0.001), 인터넷 댓글 신뢰성 인식(β=0.07, t=2.44, p<0.05), 학력(β=0.06, t=2.64, p<0.01), 국민 참여 인식(β=0.05, t=2.05, p<0.05), 타인 신뢰 정도(β=0.05, t=2.16, p<0.05), 정치 성향 인식(β=0.05, t=2.13, p<0.05)의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인터넷 이용자가 인터넷을 정치 참여 목적으로 이용할수록, 정치 전문 사이트를 많이 이용할수록, 인터넷을 정치 정보 습득 목적으로 이용할수록, 인터넷 댓글을 신뢰할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국민 참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타인을 신뢰할수록, 정치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인터넷에서 직접적인 정치 참여 행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는 인터넷 정치 정보 습득 목적(β=0.42, t=13.23, p<0.001), 정치 뉴스 사이트 이용(β=0.23, t=8.11, p<0.001), 인터넷 정치 참여 목적(β=0.13, t=3.53, p<0.001), 국민 주권 인식(β=-0.11, t=-3.85, p<0.001), 국민 참여 인식(β=0.07, t=2.62, p<0.01), 일간신문 이용 정도(β=0.06, t=2.51, p<0.05), 정치/시사 사이트 활동(β=0.06, t=2.34, p<0.05), 종교 사이트 활동(β=0.05, t=2.10, p<0.05)의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인터넷 이용자가 인터넷을
  • 영문
  • Political Communication's Trend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Forth Coming Society of Social Network:
    Focused on O1-S-O2-R Model Application

    Kweon, Sang-Hee
    Professor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10-745, Republic of Korea
    Kim, Wi-Geun
    Post-Doctoral Researcher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10-745, Republic of Korea

    This research explored the factors of online political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coming social network society. The political model of O1-S-O2-R is applied to explain and describ the online politicla activities. The survey method was adopted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There are 861 subject's data to conduct to analyzing.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online political particiapation has two levels: direct and indirect participation. In addtion, there are several internet political activities and online networks. The political communication and activiites are significant affected from personal orientation(O1) such as education, income and age. The personal orientation brings to reception of online network (frequency and size of the network) that affect the impact of political messages(S). The second perseonal orientation(O2), called political orientation denotes previous personal orientation(O1) and reception of online network(S). All three variables affect to the political responses(R) in online social network.
    The data analyses reveal that direct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is aff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variables of goal of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β=0.51, t=15.69, p<0.001), uses of the political websites (β=0.17, t=5.92, p<0.001), goal of internet political information collection(β=0.12, t=4.12, p<0.001), cognition of credibility in online replies (β=0.07, t=2.44, p<0.05), education(β=0.06, t=2.64, p<0.01), recognition of civil participation (β=0.05, t=2.05, p<0.05), level of credibility toward others (β=0.05, t=2.16, p<0.05), political orientation(β=0.05, t=2.13, p<0.05). This research confirms that the online political responses are closely related to personal orientation and social network message effect(network's size and variabil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온라인 네트워크사회의 도래에 따른 정치커뮤니케이션과 정치참여행위 변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로 정치 행위공론장의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연구에 이론적바탕은 온라인 정치 자본과 정치 행위에 적용되는 O1-S-O2-R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개인의 선유경향과 소셜네트워크이용 경향에 따른 온라인 정치행위의 2차적인 선유경향의 형성(O2)에 미치는 인구변인과 소셜네트워크변인(S)변인을 측정하여 온라인 정치 행위변인(R) 요인을 분석하기위해 설계 되었다.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본 조사는 2009년 4월 1일부터 9일까지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실시하였다. 더불어 로그파일 데이터자료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결과 분석에 사용된 응답자는 총 861명이었다.
    연구결과 정치 참여에 있어서 인터넷 이용자의 온라인 활동 중 인터넷 정치 행위 목적(인터넷 정치 참여 목적, 인터넷 정치 정보 습득 목적)과 인터넷 정치 사이트 이용(정치 전문 사이트 이용, 정치 뉴스 사이트 이용)은 인터넷 여론 합의성 인식과 인터넷 여론 대표성 인식으로 구성된 인터넷 여론 인식 모두와 인터넷 댓글 신뢰성 인식, 인터넷 댓글 객관성 인식, 인터넷 댓글 유지성 인식으로 구성된 인터넷 댓글 인식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터넷 정치 행위 목적 중 인터넷 정치 참여 목적은 직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 인터넷 정치 정보 습득 목적은 간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인터넷 정치 사이트 이용 중 정치 전문 사이트 이용은 직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 정치 뉴스 사이트 이용은 간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치/시사 사이트 활동은 간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연구의 결과 온라인 정치참여행위 변인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선유 경향(인구사회 특성, 개인 특성, 미디어 이용 정도), 온라인 활동(인터넷 정치 행위 목적, 인터넷 정치 사이트 이용,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요이 행위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온라인 행위 정향성(인터넷 여론 인식, 인터넷 댓글 인식)은 행위 반응으로서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 중 직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의 64%, 간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의 54%를 설명하고 있었다.
    온라인 정치자본인 새로운 온라인 정치공론의장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새로운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인식과 새로운 정치 참여요인을 제공하는 소셜네트워크는 새로운 정치 커뮤니케이션과 참여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인과 온라인 미디어는 수용자의 선유경향이 이용과 정치커뮤니케이션과 참여에 미치는 요인으로 O1-S-O2-R모델를 적용하여 인터넷 정치에 대한 인식과 인터넷 정치 행위에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 기술하였다. O1-S-O2-R모델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 환경하에서 네트워크와 정치 자본과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참여의 과정을 정리하면 개인의 선유경향(O1)은 온라인활동(S)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새로운 온라인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선유경향(O2) 영향을 미치고 선행변인들은 전체 정치참여와 행위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네트워크사회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정치의사소통방식이 새로운 형태의 정치자본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통해 현재 변화의 핵심에 놓인 정치와 사회의 변화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한 새로운 정치커뮤니케이션으로서 인터넷미디어의 인식과 온라인정치자본의 변화현상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정치커뮤니케이션 변동기술 차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 미디어의 등장이 사회문화 자본과 정치지형(political landscape) 변화의 상관성의 코드를 읽을 수있다. 이를 통해 새롭게 등장하는 미래 사회의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의사소통행위 변화를 예측(predict) 할 수 있다.
    둘째 인터넷의 정치 자본과 정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향후 정치인식과 정치행위의 파악을 가능하게해준다.
    셋째, 사회문화자본의 변화가 직접민주주의, 또는 정치 제도신뢰, 정치인신뢰, 전통방송과 신문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새로운 민주주의 흐름을 파악하고 기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가 현대 정치커뮤니케이션 양식에 미치는 차원과 그 형태를 파악하고 새로운 정치의사표현, 참여, 커뮤니케이션 유형들의 차원을 규명하고 새롭게 등장하는 정치표현과 참여가 개인, 사회, 국가적인 차원의 파급효과를 기술(discribe), 설명(explain), 예측(predict)할 수 있다.
  • 색인어
  • 온라인 정치자본, 소셜네트워크, O1-S-O2-R모델, 인터넷 정치참여, 선유경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