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8983&local_id=10023084
노인, 가족, 종사자가 인식하는 장기요양보호 서비스의 질 비교연구 - ‘좋은 돌봄’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노인, 가족, 종사자가 인식하는 장기요양보호 서비스의 질 비교연구 - ‘좋은 돌봄’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중심으로 | 2009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희경(신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311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1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노인의 가족과 요양시설에서 돌봄 업무를 수행하는 요양보호사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를 가지고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비교, 분석한다. 노인 돌봄 서비스에는 가족적 특성과 전문적 특성이 혼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가족과 요양보호사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기대에서 두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연구 결과 종사자와 가족 모두 노인 돌봄에 있어 ‘가족적 돌봄’을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그 기대와 인식의 내용은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문적 돌봄에 대한 인식에서는 가족이 요양보호사보다 더 많은 기대를 나타내었으며 전문적 시설과 기술, 직업인으로서의 객관적이고 여유 있는 태도에 대한 기대를 나타낸 반면, 요양보호사는 보다 기능적이고 돌봄의 결과와 관련된 인식을 나타내었다. 현재 요양시설의 여건은 가족과 요양보호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돌봄을 실현하는데 많은 한계와 장애요인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장기요양보험제도, 요양보호사 자격제도와 처우 등 제도적 요인과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요양보호사와 가족이 서로에 대해 상반된 기대와 요구를 나타내었으나, 서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방법과 기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요양보호사 자격제도와 처우를 개선하는 한편, 요양시설 입소자 가족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가족과 요양보호사간의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체계적 의사소통 제도와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 영문
  • The study aims to compare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families of nursing home residents and care workers on elder care services.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wo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care - 'family like' and 'professional'. The data were drawn from in depth interviews with 9 family members who had elderly relatives living in nursing facilities and 12 direct care workers working in diverse types of nursing facilities in Busan area.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both parties showed idealization of family-like care although specific expectations were different each other. The family participants had higher expectations on professional care and their perceptions were concentrated on such elements as care techniques and equipments, therapies, programs, and professional attitudes, while the care workers perceived improvement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more importantly.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not proper systematic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although the expectations of both parties did not accord with each other on the roles of families and professional workers in nursing facilities. Policy issues were also barriers of desirable elder care such as heavy work load, deteriorated work conditions, unprofessional labour, and qualification system of care workers. Suggestions were made to reflect the insights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improving work conditions of direct care workers, and establishing effective communication programs and providing mutual education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families and care work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노인과 그 가족,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좋은 돌봄’에 대한 인식과 기대, 개념, 이와 관련된 구체적 사건을 기술하도록 하고 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좋은 돌봄’의 개념과 주요 구성요소를 추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좋은 돌봄’과 관련된 주요 요소들을 기존의 노인 돌봄 서비스 질 평가 범주를 근거로 구분하되, 이들의 진술로부터 새롭게 도출된 요소와 주제들을 반영하여 범주를 재구성한다. 도출된 주제와 요소들을 Duffy et al.(1997)이 노인 돌봄 서비스의 질 평가에서 과정 평가 요소를 가장 광범위하게 포함할 수 있는 범주로 제시한 시설 및 환경(tangibles), 신뢰성(reliability), 반응성(responsiveness), 지지성(supportiveness), 정서적 공감(empathy) 범주를 중심으로 재배치하고, 구성된 범주와 이에 해당하는 요소들에 기반하여 ‘좋은 돌봄’ 서비스 평가를 위한 새로운 지표 목록을 작성한다. 또한 노인의 진술과 가족의 진술, 종사자의 진술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각각의 진술에서 나타난 특성과 특정 주제의 빈도,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주체의 진술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노인과 가족, 종사자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기대에 대한 조사 결과 도출된 주요 요소들의 내용 및 특성을 기존에 노인 시설 및 돌봄 서비스의 질 평가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지표들(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개발한 노인요양시설 평가 지표, 서비스 품질 평가 지표(SEVQUAL), 영국의 국가 서비스 최소기준(NMS), 최근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평가의 핵심적 지표로 부각된 인간중심 돌봄 지표(PCCI), 우리나라의 보건사회연구원(김승권 외, 2004)이 개발한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우리나라에서 중증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개발된 노인요양시설 질 관리 지표(QMI)와 비교, 검토한다. 비교 및 검토 결과 현재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돌봄 서비스 질 평가 지표의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노인 돌봄 서비스의 질 평가 기준으로 새롭게 추가되어야 할 요소를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의 조사에서 도출된 좋은 돌봄의 요소와, 기존의 평가지표에서 제시된 질 관련 요소들을 종합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노인 돌봄 서비스 질 평가 지표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들을 목록화하여 제시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행에 즈음하여 노인 돌봄 서비스의 질에 대한 논의의 토대와 한국적 노인 돌봄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
    ○ 노인 돌봄 서비스의 주요 평가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노인요양서비스의 질 제고와 지속적 질 보장(Continuous Quality Assurance)을 가능하게 하고, 노인 요양서비스 표준화 및 시설평가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
    ○ 노인요양시설 및 관련 기관의 서비스 실천 매뉴얼, 관련 현장의 종사자 및 직원의 보수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음
    ○ 노인장기요양보호에서의 전문직간 협력과 다학제적 서비스 실천(Multidisciplinary Practice)을 촉진함
  • 색인어
  • 요양시설 생활 노인, 가족, 요양보호사, 서비스의 질, 좋은 돌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