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과 그 가족,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좋은 돌봄’에 대한 인식과 기대, 개념, 이와 관련된 구체적 사건을 기술하도록 하고 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좋은 돌봄’의 개념과 주요 구성요소를 추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좋은 돌봄’과 관련된 주요 요소들을 기 ...
본 연구는 노인과 그 가족,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좋은 돌봄’에 대한 인식과 기대, 개념, 이와 관련된 구체적 사건을 기술하도록 하고 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좋은 돌봄’의 개념과 주요 구성요소를 추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좋은 돌봄’과 관련된 주요 요소들을 기존의 노인 돌봄 서비스 질 평가 범주를 근거로 구분하되, 이들의 진술로부터 새롭게 도출된 요소와 주제들을 반영하여 범주를 재구성한다. 도출된 주제와 요소들을 Duffy et al.(1997)이 노인 돌봄 서비스의 질 평가에서 과정 평가 요소를 가장 광범위하게 포함할 수 있는 범주로 제시한 시설 및 환경(tangibles), 신뢰성(reliability), 반응성(responsiveness), 지지성(supportiveness), 정서적 공감(empathy) 범주를 중심으로 재배치하고, 구성된 범주와 이에 해당하는 요소들에 기반하여 ‘좋은 돌봄’ 서비스 평가를 위한 새로운 지표 목록을 작성한다. 또한 노인의 진술과 가족의 진술, 종사자의 진술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각각의 진술에서 나타난 특성과 특정 주제의 빈도,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주체의 진술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노인과 가족, 종사자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기대에 대한 조사 결과 도출된 주요 요소들의 내용 및 특성을 기존에 노인 시설 및 돌봄 서비스의 질 평가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지표들(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개발한 노인요양시설 평가 지표, 서비스 품질 평가 지표(SEVQUAL), 영국의 국가 서비스 최소기준(NMS), 최근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평가의 핵심적 지표로 부각된 인간중심 돌봄 지표(PCCI), 우리나라의 보건사회연구원(김승권 외, 2004)이 개발한 사회복지시설 평가지표, 우리나라에서 중증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개발된 노인요양시설 질 관리 지표(QMI)와 비교, 검토한다. 비교 및 검토 결과 현재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돌봄 서비스 질 평가 지표의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노인 돌봄 서비스의 질 평가 기준으로 새롭게 추가되어야 할 요소를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의 조사에서 도출된 좋은 돌봄의 요소와, 기존의 평가지표에서 제시된 질 관련 요소들을 종합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노인 돌봄 서비스 질 평가 지표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들을 목록화하여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