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7812&local_id=10024641
중국인유학생과 한국대학의 동상이몽에 관한 문화기술지적 연구: 서울 및 지방소재 두 사립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A00119 |
선정년도 |
2009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11년 04월 21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11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왜 최근 한국대학에서 중국인 유학생이 급증하게 되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대학의 중국인 유학생 유치동기와 전략을 조사하고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동기와 유학경험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유명사립대학과 지방 사립대학 두 대학을 선택하여 ...
본 연구는 왜 최근 한국대학에서 중국인 유학생이 급증하게 되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대학의 중국인 유학생 유치동기와 전략을 조사하고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동기와 유학경험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유명사립대학과 지방 사립대학 두 대학을 선택하여 그 유치 동기와 전략을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참여관찰과 문헌조사를 병행했다. 서울 사립대학과 지방 대학에서 각각의 중국인 유학생회 회장을 비롯하여 중국인 유학생을 심층인터뷰하였다. 또한 교직원, 교수를 심층인터뷰하였다.
먼저 두 대학의 중국인 유학생 유치 동기 및 전략에 대해 살펴보면,정원을 충족하기도 어려운 지방사립대의 경우 중국인 유학생 유치가 대학재정충당과 학생수 부족을 매우기 위해 중요한 전략이며, 이를 위해 적극적인 중국인 유학생 유치를 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서울소재 사립대학은 대학평가와 관련한 대학의 국제화지표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 최근 외국인 유학생 수를 늘리고 있었다. 중국인유학생 유치에 다양하고 적극적인 전략을 세우고 있는 수도권 다른 대학이나 지방대학과 달리, 연구대상인 서울 소재 사립대학은 중국유학생들 사이에 알려진 자대학의 브랜드가치만으로도 많은 유학생들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유학생 수의 양적증가에만 초점이 맞추어지고, 유학생들이 입학 한 후 수업과 유학생활에 적응해나가는 측면에서 학사관리, 문화교류, 자치활동 지원 등의 사후관리에는 적극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비해 지방 사립대의 경우 좀 더 적극적으로 유학생을 유치하고 관리하는 전략을 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학업에 별로 의미부여를 하지 않는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학사관리, 생활적응 등에 대한 고민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동기와 대학선택, 그리고 유학생활에 대해 고찰하였다. 대체로 지방대학에 비해 서울소재대학 중국인 유학생들은 자비유학생으로서 가정형편이 넉넉한 편이었고 한국과 관련한 경험이나 관심이 많은 편이었다. 이들은 이 대학의 명성을 이미 알고 유학 준비를 했으며 이 대학의 브랜드가 학교선택에 중요하였다. 한국으로 유학을 오게 된 이유로는 ‘한국어’를 배우는 것이 앞으로 자신들의 미래에 문화적 자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대체로 한국유학이 미국이나 영국 등 영어권 국가로의 유학보다는 차선책임을 인정하면서 이후에 영어권 국가로 다시 대학원 유학이나 이민을 희망하는 경우도 있었다. 유학생활 속에서 외국인, 특히 중국인이기 때문에 차별경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었고 학업을 따라가기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으나, 대체로 한국생활에 적응하면서 만족하는 편이었다. 이에 비해 지방대학의 중국인 유학생들은 한류의 영향, 한국어, 한국문화에 대한 호기심이 한국 유학 선택에서 주요한 동기였다. 이들은 대체로 경제적인 요인이나 입학의 용이성 때문에 서울에 있는 다른 대학보다 이 대학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고 협정을 맺은 중국대학에 다니다가 편입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언어문제로 수업을 따라가기가 힘든 경우도 있고 아르바이트 등을 하느라 학업을 등한시 하는 경우도 있고 여러 가지 유학생활의 어려움이 있었다.
-
영문
-
Globalization and knowledge-based economy have accelerated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sectors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East Asian countries. Nowadays Korean universities have actively begun recruiting international s ...
Globalization and knowledge-based economy have accelerated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sectors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East Asian countries. Nowadays Korean universities have actively begun recruiting international students, especially Chinese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why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has rapidly increased in the recent years, by studying the recruit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of two Korean private universities and the motivation of Chinese students. It also examine the study abroad experience of Chinese students in these two Korean universities.
I conducted an ethnographic research on two Korean universities--a prestigious one is located in Seoul and the other province university is located in southern part of Korea. I interviewed several Chinese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ese universities.
These two universities have different motivations to recruit Chinese students. The less prestigious province university has actively recruited Chinese students in order to survive in the very hierarchical and competitive higher education sector in Korea. It provides financial supports for many Chines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is university supports Chinese students association on campus to invovle and participate in the Korea-China cultual exchange events between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In contrast, a prestigious university in Seoul is becoming concerned about its ranking in the global university league table and trying to promote its global competence. This university tries to improve its global ranking by increasing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mostly Chinese. Because of the brand capital, which was recognized by Chinese students, this university made possible the rapid increase without any proactive supports. However, it seems necessary for the university to make some efforts to support and help Chinese students.
According to my interviews with Chinese students in these two universities, they came to study in Korea because of their interests in Korea, Korean culture, especially 'Korean Wave,' and Korean language. Chinese students tend to think that learning Korean language would be helpful for their future(future jobs). Chinese students in the Seoul-located university tend to have more affluent family background in comparison to those in the other province university. They knew the prestigious reputation of the university as one of the best private universities in Korea, and ten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Chinese students in less prestigious province universities in Korea. However, they also acknowledged that the more affluent and smarter stduents would study in the U.S. or other English-speaking countries. Such remarks imply that study in Korea is a second choice, rather than the best in China. Some of them want to study in other English-speaking counties for graduate programs later after graduation in a Korean university.
Chinese students in the other province university choose this university in terms of low economic burden(i.e., financial support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low expenditures of the province) and the easiness of getting admission. They tend to mention more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as wel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대학생 유학의 불균등한 초국가적 맥락 속에서 왜 최근 한국대학에서 중국인 유학생이 급증하게 되었는지를 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한국대학의 중국인 유학생 유치동기와 전략을 조사함과 동시에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동기와 유학경험을 연구하였다. 특히, ...
본 연구는 대학생 유학의 불균등한 초국가적 맥락 속에서 왜 최근 한국대학에서 중국인 유학생이 급증하게 되었는지를 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한국대학의 중국인 유학생 유치동기와 전략을 조사함과 동시에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동기와 유학경험을 연구하였다. 특히, 다양한 한국대학들이 최근 중국인 유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지만 각 대학의 위치와 수준에 따라 그 유치동기와 전략이 매우 다를 것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유명사립대학과 지방 사립대학 두 대학을 선택하여 연구를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참여관찰과 문헌조사를 병행했다. 서울 사립대학과 지방 대학에서 각각의 중국인 유학생회 회장을 비롯하여 중국인 유학생을 심층인터뷰하였다. 또한 교직원, 교수를 심층인터뷰하였고 외국인 입학전형 설명회 등의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중국유학생 관련 기사나 영상 등도 분석에 활용한다.
먼저 두 대학의 중국인 유학생 유치 동기 및 전략에 대해 살펴보면,정원을 충족하기도 어려운 지방사립대의 경우 중국인 유학생 유치가 대학재정충당과 학생수 부족을 매우기 위해 아주 중요한 전략이며, 이를 위해 적극적인 중국인 유학생 유치를 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서울소재 사립대학은 대학평가와 관련한 대학의 국제화지표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 최근 외국인 유학생 수를 늘리고 있었다. 중국인유학생 유치에 다양하고 적극적인 전략을 세우고 있는 수도권 다른 대학이나 지방대학과 달리, 연구대상인 서울 소재 사립대학은 중국유학생들 사이에 알려진 자대학의 브랜드가치만으로도 많은 유학생들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유학생 수의 양적증가에만 초점이 맞추어지고, 유학생들이 입학 한 후 수업과 유학생활에 적응해나가는 측면에서 학사관리, 문화교류, 자치활동 지원 등의 사후관리에는 적극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비해 지방 사립대의 경우 좀 더 적극적으로 유학생을 유치하고 관리하는 전략을 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학업에 별로 의미부여를 하지 않는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학사관리, 생활적응 등에 대한 고민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동기와 대학선택, 그리고 유학생활에 대해 고찰하였다. 대체로 지방대학에 비해 서울소재대학 중국인 유학생들은 자비유학생으로서 가정형편이 넉넉한 편이었고 한국과 관련한 경험이나 관심이 많은 편이었다. 이들은 이 대학의 명성을 이미 알고 유학 준비를 했으며 이 대학의 브랜드가 학교선택에 중요하였다. 한국으로 유학을 오게 된 이유로는 ‘한국어’를 배우는 것이 앞으로 자신들의 미래에 문화적 자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한국대학을 나오고 한국에서 취업하거나 중국에서 한국과 관련된 일을 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몇 사례들이 보여주는 것처럼 중국인으로서 한국에서 취업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었다. 이들은 대체로 한국유학이 미국이나 영국 등 영어권 국가로의 유학보다는 차선책임을 인정하면서, 한국유학을 또 다른 글로벌 이동의 발판으로 삼으며 영어권 국가로 다시 대학원 유학이나 이민을 희망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다른 유학생활 속에서 외국인, 특히 중국인이기 때문에 차별경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었고 학업을 따라가기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으나, 대체로 한국생활에 적응하면서 만족하는 편이었다. 이에 비해 지방대학의 중국인 유학생들은 한류의 영향, 한국어, 한국문화에 대한 호기심이 한국 유학 선택에서 주요한 동기였다. 이들은 대체로 경제적인 요인이나 입학의 용이성 때문에 서울에 있는 다른 대학보다 이 대학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고 협정을 맺은 중국대학에 다니다가 편입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언어문제로 수업을 따라가기가 힘든 경우도 있고 아르바이트 등을 하느라 학업을 등한시 하는 경우도 있고 여러 가지 유학생활의 어려움이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먼저 연구결과의 사회적, 정책적 기여 및 교육연계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적인 현지조사연구에 기반한 본 연구결과는 대학의 다양한 구성원들(교직원, 교수, 한국학생과 외국학생 모두 포괄)에게 변화하고 있는 대학사회에 대한 좀 더 성찰적인 이해를 도울 ...
먼저 연구결과의 사회적, 정책적 기여 및 교육연계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적인 현지조사연구에 기반한 본 연구결과는 대학의 다양한 구성원들(교직원, 교수, 한국학생과 외국학생 모두 포괄)에게 변화하고 있는 대학사회에 대한 좀 더 성찰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학술적 정보는 대학당국자들에게 한국대학의 발전방향과 전략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경험적이고 성찰적 이해에 기반하여 본 연구결과가 대학교육과 연계되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호스트대학 내에서 한국학생과 외국유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공식, 비공식적 커리큘럼과 프로그램을 통한 다양한 다문화교육을 확산시키고 개발하는데, 이 연구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단편적이고 한정된 언론 보도가 주도하면서, 급증하는 중국인 유학생 증가와 그것이 미치는 문화적, 사회적 효과에 대한 편파적인 대중적 이해를 극복하고, 중국인 유학생들(또는 다른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좀더 신중한 이해를 돕고 사회적으로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포용과 배려에 대한 논의를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는 한국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관련 정책, 특히 중국인 유학생 관련 정책에 대한 점검 및 제고를 위한 유용한 기반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중국인 유학생, 한국대학, 유학생 유치동기 및 유치전략, 대학교육의 국제화, 초국가적 이동, 전지구화, 유학동기, 유학경험, 코스모폴리탄 정체성, 다문화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