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2552&local_id=10026410
정신장애인의 자기보고식 지역사회통합 척도 개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B00289 |
선정년도 |
2010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11년 10월 26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11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대한 타당성있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대한 국내외의 실증적 연구는 지역사회통합의 다차원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측정도구의 부재로 인하여 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대한 타당성있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대한 국내외의 실증적 연구는 지역사회통합의 다차원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측정도구의 부재로 인하여 각각의 차원별로 분절되어 이해되어왔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의 측정을 위한 도구를 척도화하여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지역사회통합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 정신장애인 심층면접, 전문가자문, 서베이활동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은 예비조사 1, 2, 3으로 진행되었는데 예비조사 1에서는 문헌분석과 정신장애인 심층면접으로 수행행하여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과 관련한 문항을 수집하고 제작하였다. 예비조사 2는 예비조사 1의 결과에서 나타난 문항의 선정과 수정에 초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예비조사 3에서는 예비조사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자기보고식 지역사회통합척도 최종문항을 30개로 선정하고, 이 척도의 요인구조를 검토한 결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지역사회정신보건 분야에 전반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valid self-report scale for the community integration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o this end, conducted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valid self-report scale for the community integration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o this end, conducted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a survey. This process involved preliminary researches 1, 2, and 3. The preliminary research 1 included literature review and the in-depth interview with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collection of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community integration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 second preliminary research focused on the selection and modification of the items collected in the first research. Lastly, the third research selected the final 30 items regarding the scale for the community integration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cond research.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n the factors with regard to the finally selected self-reporting scale for the community integration of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t turned out that this method is proper and will be utilized in general for the area of community mental health in the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대한 타당성있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대한 국내외의 실증적 연구는 지역사회통합의 다차원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측정도구의 부재로 인하여 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대한 타당성있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대한 국내외의 실증적 연구는 지역사회통합의 다차원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측정도구의 부재로 인하여 각각의 차원별로 분절되어 이해되어왔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의 측정을 위한 도구를 척도화하여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지역사회통합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 정신장애인 심층면접, 전문가자문, 서베이활동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은 예비조사 1, 2, 3으로 진행되었는데 예비조사 1에서는 문헌분석과 정신장애인 심층면접으로 수행행하여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과 관련한 문항을 수집하고 제작하였다. 예비조사 2는 예비조사 1의 결과에서 나타난 문항의 선정과 수정에 초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예비조사 3에서는 예비조사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자기보고식 지역사회통합척도 최종문항을 30개로 선정하고, 이 척도의 요인구조를 검토한 결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지역사회정신보건 분야에 전반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수행 결과 제작된 정신장애인의 자기보고식 지역사회통합 척도는 지역사회정신보건의 목표인 지역사회통합에 관한 논의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지역사회통합의 다차원 ...
본 연구 수행 결과 제작된 정신장애인의 자기보고식 지역사회통합 척도는 지역사회정신보건의 목표인 지역사회통합에 관한 논의를 활성화 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지역사회통합의 다차원적이고 포괄적인 특성 때문에 각 차원별로 분절되어 이해되어 왔고, 하나의 전체 개념으로 다루어지지 못해왔다. 이 척도를 활용함으로써 정신장애인 지역사회통합의 실증적 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다양한 후속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척도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개입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도구로도 활용되어 정신보건사회복지 실천 뿐 아니라 지역사회정신보건 분야에 전반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