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8969&local_id=10026524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을 통한 사회적 기업가 정신(Social Entreprenualship) 개념 규정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을 통한 사회적 기업가 정신(Social Entreprenualship) 개념 규정에 관한 연구 | 2009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배귀희(숭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591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0년 12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0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20세기말부터 사회적 기업 및 사회적 기업가정신 개념은 복지국가의 개혁과정에서 발생한 대안으로 학자들과 공무원을 포함한 실무자들 사이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은 이미 서구에서 1970년대 이후에 새로운 사회적 기업을 포괄하는 사회적 경제라는 개념과 함께 실업과 빈곤, 지속가능한 개발, 세계화대안 등의 사회적 이슈에 대응하기 위하여 등장하여 발전되었다. 1990년대에는 이러한 개념들의 제도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한국에서는 사회적 경제의 초기 시작이 정부나 제도적 지원을 통해 육성되지 않고 소비와 생산의 영역에서 대안적인 삶의 양식을 추구하고 지역사회에 밀착하여 대안적인 지역발전을 목표로 한 협동조합 조직들 또는 비영리단체의 활동이 사회적기업으로 발전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한국도 사회적 일자리 창출방안의 하나로 2006년 사회적 기업육성법을 제정하였다. 이처럼 많은 관심을 받고 사회적 기업의 핵심은 사회적기업가 정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국, 미국 그리고 유럽에서 사용되는 사회적 기업의 정의를 비교 분석과 다양한 학자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사회적 기업에 개념을 새롭게 규정함으로써 향후 사회적 기업 연구의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 영문
  •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on social enterprise or social entrepreneurship as an alternative of traditional welfare state since late of 20th century amo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Th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or social entrepreneurship has been developed with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for coping with poverty, unemployment and necess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was passed. However, the concept of social enterprise or social entrepreneurship is still vague. As a result, this paper focuses on building the concept of social entrepreneurship by using mixed method. This effort contributes to proper policy implication for promoting and enhancing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repreneurship.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20세기말부터 사회적 기업 및 사회적 기업가정신 개념은 복지국가의 개혁과정에서 발생한 대안으로 학자들과 공무원을 포함한 실무자들 사이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은 이미 서구에서 1970년대 이후에 새로운 사회적 기업을 포괄하는 사회적 경제라는 개념과 함께 실업과 빈곤, 지속가능한 개발, 세계화대안 등의 사회적 이슈에 대응하기 위하여 등장하여 발전되었다. 1990년대에는 이러한 개념들의 제도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한국에서는 사회적 경제의 초기 시작이 정부나 제도적 지원을 통해 육성되지 않고 소비와 생산의 영역에서 대안적인 삶의 양식을 추구하고 지역사회에 밀착하여 대안적인 지역발전을 목표로 한 협동조합 조직들 또는 비영리단체의 활동이 사회적기업으로 발전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한국도 사회적 일자리 창출방안의 하나로 2006년 사회적 기업육성법을 제정하였다. 이처럼 많은 관심을 받고 사회적 기업의 핵심은 사회적기업가 정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국, 미국 그리고 유럽에서 사용되는 사회적 기업의 정의를 비교 분석과 다양한 학자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사회적 기업에 개념을 새롭게 규정함으로써 향후 사회적 기업 연구의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적 기업가 정신은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업가들이 발휘하는 정신으로 정신으로 핵심에는 혁신성(innovation), 위험감수(risk-taking), 사회적 목적추구(social mission)로 요약할 수 있다. 사회적 기업가 정신 개념규정에 관한 연구는 사회적 기업을 확충하기 위해서 사회적 기업가를 어떻게 육성해야 할지에 대한 좌표를 설정해 주는 역할을 하고 사회적 기업 성공 요인에 관한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함으로써 학자ㆍ실무자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라 판단된다.
  • 색인어
  • 사회적 기업, 사회적 기업가정신, 비영리민간단체, 통합연구 방법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