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4180&local_id=10030514
협력교사와 체육 교사교육자의 상호 작용을 통한 초등체육 교육실습 개선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
B00582 |
선정년도 |
2010 년
|
과제진행현황 |
종료 |
제출상태 |
재단승인 |
등록완료일 |
2011년 10월 31일 |
연차구분 |
결과보고 |
결과보고년도 |
2011년 |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 교육실습 협력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실습과 그들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교생지도의 실제는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협력교사들에게 컨설팅을 제공하면서 상호작용을 하여 협력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이루게 하고, 이를 통한 교생의 전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 교육실습 협력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실습과 그들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교생지도의 실제는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협력교사들에게 컨설팅을 제공하면서 상호작용을 하여 협력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이루게 하고, 이를 통한 교생의 전문성 증진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협력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생실습에 대한 협력교사의 긍정적인 인식 변화와 교수 전문성 증진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는 연구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실행과 교육실습의 질을 높여 학생들의 운동 기능 성취, 체력 발달, 게임의 이해 증진은 물론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수업을 제시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도권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에 소속된 4명(각 학교 2명)의 초등체육 교육실습 협력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실습과 그들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교생지도의 실제는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교사교육자가 협력교사들에게 컨설팅을 제공하면서 상호작용을 하여 협력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촉진하고, 이를 통하여 교생 4명의 전문성 증진을 유도하는 것이다. 협력교사와 교생에 대한 면담, 참여관찰, 서류분석 및 비디오테이핑을 통해 얻은 자료를 Strauss와 Corbin(1998, 2008)이 제안한 개방 코딩, 축 코딩 및 선택 코딩의 절차에 따라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에 대한 진실성 확보를 위해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 부정적 사례 분석과 삼각검증법이 연구기간 내내 이루어질 것이다. 협력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교사와 교생의 변화를 기존의 연구문헌 또는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논의할 것이며, 이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 teaching with the collaborative approach of elementary school cooperating teacher and a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o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 teaching with the collaborative approach of elementary school cooperating teacher and a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o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video files, and documents related student teach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The analysis of the main concepts using paradigm models revealed that some student teachers were suffering difficulties in student teaching experience because they were lacked in subject content knowledge, knowledge of students,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However, some student teachers were successful in completing theirs duties of teaching physical education to students. One of the difficulties of some student teachers had been suffered was lack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student teachers adopted such interaction strategies as self-reflection, mutual communication, and utilization of teaching resources considering such intervening conditions as physical education teacher program, personal backgrounds, etc. The action/reaction strategies induced changes of teaching perspectives and representations of pedagogical knowledge. Selective coding indicated that the student teachers had develope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y developing various teaching strateg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 교육실습 협력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실습과 그들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교생지도의 실제는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협력교사들에게 컨설팅을 제공하면서 상호작용을 하여 협력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이루게 하고, 이를 통한 교생의 전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 교육실습 협력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실습과 그들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교생지도의 실제는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협력교사들에게 컨설팅을 제공하면서 상호작용을 하여 협력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이루게 하고, 이를 통한 교생의 전문성 증진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협력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생실습에 대한 협력교사의 긍정적인 인식 변화와 교수 전문성 증진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는 연구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실행과 교육실습의 질을 높여 학생들의 운동 기능 성취, 체력 발달, 게임의 이해 증진은 물론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수업을 제시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도권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에 소속된 4명(각 학교 2명)의 초등체육 교육실습 협력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실습과 그들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교생지도의 실제는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교사교육자가 협력교사들에게 컨설팅을 제공하면서 상호작용을 하여 협력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촉진하고, 이를 통하여 교생 4명의 전문성 증진을 유도하는 것이다. 협력교사와 교생에 대한 면담, 참여관찰, 서류분석 및 비디오테이핑을 통해 얻은 자료를 Strauss와 Corbin(1998, 2008)이 제안한 개방 코딩, 축 코딩 및 선택 코딩의 절차에 따라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에 대한 진실성 확보를 위해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 부정적 사례 분석과 삼각검증법이 연구기간 내내 이루어질 것이다. 협력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교사와 교생의 변화를 기존의 연구문헌 또는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논의할 것이며, 이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의 목적은 "협력교사와 교사교육자가 상호작용을 하면서 교육실습을 운영하는 동안에 협력교사와 교생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이다. 구체적으로, 수도권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에 소속된 4명(각 학교 2명)의 초등체육 교육실습 협력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실습과 그 ...
이 연구의 목적은 "협력교사와 교사교육자가 상호작용을 하면서 교육실습을 운영하는 동안에 협력교사와 교생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이다. 구체적으로, 수도권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에 소속된 4명(각 학교 2명)의 초등체육 교육실습 협력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실습과 그들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경험하는 교생지도의 실제는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교사교육자가 협력교사들에게 컨설팅을 제공하면서 상호작용을 하여 협력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촉진하고, 이를 통하여 교생 4명의 전문성 증진을 유도하는 것이다. 협력교사와 교생에 대한 면담, 참여관찰, 서류분석 및 비디오테이핑을 통해 얻은 자료를 Strauss와 Corbin(1998, 2008)이 제안한 개방 코딩, 축 코딩 및 선택 코딩의 절차에 따라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에 대한 진실성 확보를 위해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 부정적 사례 분석과 삼각검증법이 연구기간 내내 이루어질 것이다. 협력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교사와 교생의 변화를 기존의 연구문헌 또는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논의할 것이며, 이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협력교사와 교사교육자의 공동 노력을 통해서 교육실습의 질을 높이게 되면, 학생들은 운동 기능 성취, 체력 발달, 게임의 이해 증진은 물론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자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만족감의 파급 효과는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이 즐겁게 되는 것은 물론 더 자주 움직이게 되어 일시적으로 체력이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평생 동안 활동적으로 살게 하는 기틀을 마련해주는 것은 물론 뇌 신경망의 확장 또는 확장된 신경망의 유지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렇게 생활 전반에 걸쳐 고루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건강 상태의 증진을 가져와 의료비가 적게 들어 사회 경제적 측면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이 외에 땀을 흘리며 노력하는 것을 배우면서 진정한 노력의 의미와 건전한 의식을 가지게 되어 장차 사회의 중요한 일꾼이 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렇게 사회 발전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하는 교사는 교직에 대한 자부심도 더욱 가지게 되고 체육 수업에 대한 애착이 커지게 되는 것은 물론 체육 수업을 통하여 비 활동적에서 보다 더 활동적인 학교 근무를 하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교생실습, 초등체육, 협력교사, 현장 경험, 교사교육자, 면담, 참여 관찰, 근거 이론, 진실성 확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