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5971&local_id=10046480
사회적 기업 활동을 통한 빈곤여성가구주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사회적 기업 활동을 통한 빈곤여성가구주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2011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효순(세종사이버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445
선정년도 2011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2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2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에 근무하는 빈곤여성가구주의 임파워먼트 경험과정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에 근무하는 9인의 빈곤여성가구주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및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결과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16개의 하위구성요소들을 도출한 뒤 다시 하위구성요소들을 묶어 최종적으로 8개의 핵심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정리된 빈곤여성가구주들의 임파워먼트 경험은 개인내적 차원에서는 “미래에 대한 희망과 불안감의 교차”, “홀로 서기를 통한 경제적 자립”, “보람과 강해지는 자심을 발견”, 관계적 차원에서는 “수평적 연대의식”, “조직에 내재하는 갈등상황에 대한 고민”, 사회적 차원에서는 “전문성과 자긍심의 발휘”, “문제해결능력”, “사회에 기여한다는 자부심 함양” 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8개의 핵심 주제를 통해 볼 때, 사회적 기업에 근무하는 빈곤여성가구주들의 임파워먼트 경험은 개인내적인 차원에서뿐만이 아니라 관계적, 사회적 차원에서도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개인내적, 관계적 및 사회적 차원의 동력이 있는 임파워먼트는 좌절과 고난의 순간에도 빈곤여성가구주를 일으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빈곤여성가구주들의 사회적 기업 근무 여건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참여프로그램를 통해서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및 임상적 프로그램 개발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영문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owerment experience of female-headed families in poverty through social enterprise activities. For this study, nine famale -headed women were interviewed and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hrough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Main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ight main construct factors, such as the intersection of hope and unhappy, economic independence through being alone, finding myself strong and worthy in personal level, consciousness of horizontal bondage, trouble situation in organization in relational level, professionalism and pride, capacity to problem solving, self-importance of contribution to society in social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owerment experience of female-headed families in poverty through social enterprise activities were strengthened in personal level and relational level as well as in social level. the powerful empowerment experience in these three levels can be motivate female-headed women in poverty to be strong even in hardships and difficulties. Therefore, various policies and practical programs to improve not only empowerment of female-headed families in poverty through social enterprise activities but also their working conditions are needed to develop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나라 여성가구주 비율은 1975년도 이후 201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5년에 21.9%였던 여성 가구주 비율이 2010년도에는 25.9%로 4% 증가폭을 나타내었다(통계청, 2010). 이러한 빈곤여성들은 불안전한 고용구조와 소비에서의 고비용 부담조건 때문에 저임금과 고정적인 수입이 보장되지 못하고, 이러한 현실은 정상적인 노동력 재생산에 미치지 못하는 생활 곤란으로 연결되어 빈곤여성들을 경제적으로 더욱 불안정한 상황에 처하게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저학력으로 인한 심리적 위축감과 사회생활 수행능력 부족에서 오는 자신감 저하, 상대적 빈곤으로 인해 파생되는 소외감과 박탈감, 자신들을 통제하는 사회구조에 대해서는 물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무력감의 문제를 갖고 있다.
    한편, 최근 시장영역에서 일자리가 고갈되고 경제위기가 깊어가는 상황에서 사회적 기업이 실업극복과 일자리창출의 대안으로 급부상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공공적 서비스 중심이므로 경영진까지는 아니더라도 피고용인 다수는 취약계층, 특히 저소득 여성이 다수를 차지한다는 점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빈곤여성가구주에 대한 임파워먼트 연구는 자활사업에 참여한 빈곤여성이나 실천가 중심의 임파워먼트 과정이나 프로그램개발에 초점이 맞춰져왔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에 참여한 빈곤여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며 특히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고 있는 빈곤여성가구주 자신의 임파워먼트 경험을 살펴보고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기본적으로 빈곤 여성가구주는 빈곤과 여성이라는 두 가지 사회적 맥락에 놓여 있기 때문에, 그 속에서 자신들이 처한 사회적 맥락을 어떻게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며 역량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실제 어떠한 경험을 통하여 역량강화에 이르렀는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다양성들을 그들의 입장에서 접근한다면 역량강화를 위한 개입방안이나 임파워먼트 향상모델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여성의 사회적 기업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실제 참여율 또한 높다고 할 수 있으나 사회적 기업이 실행된 시점이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으므로 빈곤여성가구주의 사회적 기업 활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진다면 정책적인 개선이나 활성화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빈곤여성가구주의 사회적 기업참여를 통하여 빈곤여성 가구주 자신이 임파워먼트 되는 경험을 탐색해보고 둘째, 본 연구를 통하여 빈곤여성가구주의 사회적 기업 참여에 있어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개입방향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총 9인으로 대개 고졸 학력으로 역시 고졸 학력을 가진 배우자를 만나게 되었고, 결혼초기부터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컸음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연구를 활용하여 사회적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빈곤여성가구주의 임파워먼트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빈곤여성가구주 자신의 변화과정, 즉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소속감, 연대감 등을 인식하게 된 경험과 영향력 등을 임파워먼트로 개념화하고 그들이 임파워되어서 발생한 결과보다는 임파워 되어가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이렇게 정리된 임파워먼트 경험은 개인내적 차원에서는 “미래에 대한 희망과 불안감의 교차”, “홀로 서기를 통한 경제적 자립”, “보람과 강해지는 자심을 발견”, 관계적 차원에서는 “수평적 연대의식”, “조직에 내재하는 갈등상황에 대한 고민”, 사회적 차원에서는 “전문성과 자긍심의 발휘”, “문제해결능력”, “사회에 기여한다는 자부심 함양” 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8개의 주제를 통해 볼 때, 빈곤여성가구주들의 임파워먼트 경험은 개인내적인 차원에서뿐만이 아니라 관계적 차원에서, 더 나아가 사회적 차원에서도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즉, 빈곤여성가구주들의 임파워먼트는 관계적 측면에서의 역량과 당당한 사회인으로 자부심을 드러내는 긍정적 변화과정에서 그 정점을 드러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내적, 관계적 및 사회적 차원의 동력이 있는 임파워먼트는 외부상황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 좌절과 고난의 순간에도 빈곤여성가구주를 일으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기업 참여 빈곤여성가구주들은 이러한 임파워먼트의 과정을 통해 삶속에서 부딪히는 갈등에 대처하고 그것을 극복하면서 나아가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은 이론적 측면에서는 빈곤여성의 임파워먼트 과정에 대한 모델개발이나 이론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지며, 임상적 측면에서는 사회적 기업 참여 빈곤여성의 임파워먼트 과정에 대한 실체를 규명하여 임파워먼트 향상방안을 위한 개입방안에도 기여한다. 이러한 빈곤여성 임파워먼트 이론개발이나 임파워먼트 향상방안 연구를 통해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방안도 도출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성과에 대해서는 첫째, 2011년 추계사회복지학회 자유주제논문발표 4. 노동과 복지 쎄션에서 사회적 기업 활동을 통한 빈곤여성가구주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현재 사회복지학회지에 논문 투고를 준비 중이다.
  • 색인어
  • 빈곤여성 가구주, 임파워먼트, 사회적 기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