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5184&local_id=10047082
세계화와 생애과정의 구조변동: 동아시아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세계화와 생애과정의 구조변동: 동아시아 비교 연구 | 2010 년 | 신광영(중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17
선정년도 2010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2년 10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2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화(globalization)의 충격에 따른 사회적 변화와 생애과정(life courses)의 구조적 변동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1차년도에 한국 사례연구는 총 6가지 주제로 진행되었다. 제1주제는 “세대, 생애과정과 계급 불평등”이며, 주요 연구결과 중 하나는 한국의 성인들은 생애과정에서 40대 후반까지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평균 소득이 높아지지만, 소득격차도 더 커져서 사회경제적 지위의 양극화가 연령이 많아질수록 더 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제2주제는 “노동시장 유연화와 노동자 의식세계 변동”이며, 주요 연구결과는 연령세대별로 노동시장 유연화의 충격에 대해 상이한 주관적 심리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제3주제는 “주택체제의 금융화와 분가가구의 자가취득”이며, 주요 결론 중 하나는 한국에서는 전통적인 가족주의적 자산이전이 주거불평등에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4주제는 “한국에서 생애과정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노후를 중심으로”이며, 그 결과를 보면, 연구참여자들이 대체로 자신의 노후를 경제적 의미로 개념화하고 있다. 또한 중산층은 국민연금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 반면, 저소득층은 국민연금 접근 및 수급권에서 낮은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민연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제5주제는 “변동하는 사회, 재/구성되는 '남성성'”이며, 한국사회에서 강고했던 1인 생계부양자 모델 또한 변화하고 있고 현재 삶을 직조하는 방식과 노후를 기획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세대 간 다른 경향을 보인다. 제6주제는 “과잉노동사회의 일-생활의 불균형: 생애과정 접근으로 본 젠더화된 대응과 변동”이며, 일과 생활의 불균형에 대한 여성들의 모순적 대응, 그리고 그것의 역설적 결과는 경쟁주의적 과잉노동사회와 남성의 일중심적 생계부양자 가족규범의 구조적 실체들을 드러내준다.
    2차년도 연구주제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비교이다. 이에 대한 현재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는 “계급, 생애과정과 불평등: 대만의 사례”이다. 이는 1차년도의 한국의 분석을 대만으로 확장한 것이다. 한국에 비해 대만의 경우, 연령이 임금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패턴은 남성과 여성의 임금격차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결국 개인들의 소득은 계급, 연령, 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집합적 생애과정의 분포에 영향을 받는다. 두 번째는 “한국과 일본의 베이버붐 세대 취업남성집단의 사회적 태도”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베이버뭄 세대 남성집단들이 단순한 동(년출생)세대(birth cohort)집단인지, 고유한 사회적 특성의 세대집단(generation)인지에 대한 성격을 규명한다. 셋째, 한국, 일본, 독일의 자산·주거불평등 구조에 대한 연구는 비교분석을 위한 연구틀 구성을 완료하고 일차적으로 한국의 주거불평등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국에서는 민간임대가 지배하는 이중적, 잔여적 임대시장 구조 내에서 한국의 임대생활자들은 제도적 보호막도 없고, 개별 가구 소득지표도 악화되는 무방비 상태에 놓여 있다. 앞으로 한국, 독일, 일본 사례를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할 것이다. 넷째, “가족형성과 돌봄에 관한 한국과 일본 비교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한국에서는 여성이, 일본에서는 남성이 결혼과 가족에 대해 더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는 차이점이 드러나며, 미혼에 비해서 기혼자가 돌봄책임에 대해서 더 개방적이고, 자녀가 있다는 것이 가족공동체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공통점도 드러난다. 다섯째, 한국과 일본의 연령집단 별 결혼만족도 연구를 보면, 한국과 일본 모두 연령에 따라 결혼만족도가 온전한 U자형을 그리지 않는다. 한일 양국에서는 여성의 결혼만족도가 남성에 비해 낮고 연령이 증가해도 크게 반등하지 않는다. 여섯 번째는 조선족 기혼여성의 생애과정 연구이며,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주와 함께 시작된 이들의 생애과정의 변동과 가족의 변화는 바로 초국가적 장소의 이중성과 생애시간적 연속성의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ays in which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has changed society and individual life courses in Kore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We planned to compare the ways in which individual lives are linked to social chang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first-year study of the Korean case consists of six subjects. The first subject is "Generation, life course and class inequality." The main result is that Korean adults increase average incomes up to their late 40s, whereas the income gap among them rises simultaneously. As they are getting older, individuals are further polarized in terms of socio-economic status. The second subject is "Labor market flexibilization and changes of workers' perspectives." This study found that each male-adult cohort group (three cohort groups) born between the 1950s and the 1970s show its own distinctive subjective perspective on social change. The third study is "The Financialization of housing regime and housing ownership of a branch family." This study found that as incomes of an original family from work and real property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a branch family purchases its own house increases. This implies that in Korea, the family tradition of the transfer of assets from parents to children plays a crucial role in increasing the ineqality of housing ownership. The fourth subject 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life course in Korea, focusing on old age." The main finding is that all interviewees commonly conceptualize their old age in terms of economic matters.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milddle-income class does not rely on public pension much for their old age. On the contrary, lower-income class depends much on public pension even though this class is less likely to be a beneficiary of public pension than middle class. The fifth subject is "The Re/construction of masculinity in a changing society." The results show that one male-breadwinner family model has been transformed, and each chort group shows its own distinctive life trajectory and preparation for old age. The final subject is "Work-life unbalance in an overworked society from the life course approach." Female interviewees acquired a strong 'work identity' and 'family identity' as well. These women, however, experienced the unbalanced coexistence of work and family identities.
    The second-year study is to compare East Asian countr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subject is "Class, life course, and inequality in Taiwan." Compared to Korea, age does not affect the wage determination in Taiwan. This pattern exists in both men's and women's wage determination. Individual incomes are influenced by class, age, and sex throughout the life course. The second study focuses on "Baby-boom male employees' social attitudes in Korea and Japan." This study expects to examine whether male baby boomers in Korea and Japan could be a distinctive generation rather than a birth cohort group. The third study is to compare Korea, Japan, and Germany in terms of the property and housing inequality. The current findings show that in Korea where private rendings are predominant, tenants have no proper institutional protection and are in a defenseless state. The fourth study examines the family formation and caring in Korea and Japan. The main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s that men in Japan are more open-minded attitutes toward the family and marriage than women while the opposite is true in Korea. There are many common features between two countries. The fifth study analyzes the marriage satisfaction by cohort in Korea and Japan. The results show that the curve of marriage satisfaction is not exactly U-shaped in both countries. This means that in both countries the level of women's marriage satisfaction is lower than men's and it does not increase significantly as women are getting older. The last analysis focuses on the changing life course of married Korean-Chinese ('Joseonjok') women after their transnational migration to Korea. The main conclusion is that the migration to Korea has changed their life course and family relationship. These women consider their current life stage in Korea as a pathway to their next life stage oriented toward the future of their children which they expect and desire to be wide open but successful more likely in Chin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화(globalization)의 충격에 따른 사회적 변화와 생애과정(life courses)의 구조적 변동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1차년도에 한국 사례연구는 총 6가지 주제로 진행되었다. 제1주제는 “세대, 생애과정과 계급 불평등”이며, 주요 연구결과 중 하나는 한국의 성인들은 생애과정에서 40대 후반까지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평균 소득이 높아지지만, 소득격차도 더 커져서 사회경제적 지위의 양극화가 연령이 많아질수록 더 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제2주제는 “노동시장 유연화와 노동자 의식세계 변동”이며, 주요 연구결과는 연령세대별로 노동시장 유연화의 충격에 대해 상이한 주관적 심리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제3주제는 “주택체제의 금융화와 분가가구의 자가취득”이며, 주요 결론 중 하나는 한국에서는 전통적인 가족주의적 자산이전이 주거불평등에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4주제는 “한국에서 생애과정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노후를 중심으로”이며, 그 결과를 보면, 연구참여자들이 대체로 자신의 노후를 경제적 의미로 개념화하고 있다. 또한 중산층은 국민연금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 반면, 저소득층은 국민연금 접근 및 수급권에서 낮은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민연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제5주제는 “변동하는 사회, 재/구성되는 '남성성'”이며, 한국사회에서 강고했던 1인 생계부양자 모델 또한 변화하고 있고 현재 삶을 직조하는 방식과 노후를 기획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세대 간 다른 경향을 보인다. 제6주제는 “과잉노동사회의 일-생활의 불균형: 생애과정 접근으로 본 젠더화된 대응과 변동”이며, 일과 생활의 불균형에 대한 여성들의 모순적 대응, 그리고 그것의 역설적 결과는 경쟁주의적 과잉노동사회와 남성의 일중심적 생계부양자 가족규범의 구조적 실체들을 드러내준다.
    2차년도 연구주제는 동아시아 국가들의 비교이다. 이에 대한 현재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는 “계급, 생애과정과 불평등: 대만의 사례”이다. 이는 1차년도의 한국의 분석을 대만으로 확장한 것이다. 한국에 비해 대만의 경우, 연령이 임금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패턴은 남성과 여성의 임금격차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결국 개인들의 소득은 계급, 연령, 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집합적 생애과정의 분포에 영향을 받는다. 두 번째는 “한국과 일본의 베이버붐 세대 취업남성집단의 사회적 태도”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베이버뭄 세대 남성집단들이 단순한 동(년출생)세대(birth cohort)집단인지, 고유한 사회적 특성의 세대집단(generation)인지에 대한 성격을 규명한다. 셋째, 한국, 일본, 독일의 자산·주거불평등 구조에 대한 연구는 비교분석을 위한 연구틀 구성을 완료하고 일차적으로 한국의 주거불평등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국에서는 민간임대가 지배하는 이중적, 잔여적 임대시장 구조 내에서 한국의 임대생활자들은 제도적 보호막도 없고, 개별 가구 소득지표도 악화되는 무방비 상태에 놓여 있다. 앞으로 한국, 독일, 일본 사례를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할 것이다. 넷째, “가족형성과 돌봄에 관한 한국과 일본 비교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한국에서는 여성이, 일본에서는 남성이 결혼과 가족에 대해 더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는 차이점이 드러나며, 미혼에 비해서 기혼자가 돌봄책임에 대해서 더 개방적이고, 자녀가 있다는 것이 가족공동체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공통점도 드러난다. 다섯째, 한국과 일본의 연령집단 별 결혼만족도 연구를 보면, 한국과 일본 모두 연령에 따라 결혼만족도가 온전한 U자형을 그리지 않는다. 한일 양국에서는 여성의 결혼만족도가 남성에 비해 낮고 연령이 증가해도 크게 반등하지 않는다. 여섯 번째는 조선족 기혼여성의 생애과정 연구이며,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주와 함께 시작된 이들의 생애과정의 변동과 가족의 변화는 바로 초국가적 장소의 이중성과 생애시간적 연속성의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

    본 연구는 세계화라는 거시적 사회변동이 각국의 사회구조 및 제도 변동을 경유하여 각 개인의 생애과정과 일상의 삶을 새롭게 패턴화하고 구조화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출생, 교육, 취업, 결혼, 출산, 양육, 이직과 퇴직, 노후의 삶 등과 같은 생애과정상의 다양한 차원들이 세계화의 영향으로 어떤 새로운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어떤 순서와 패턴으로 구조화되고 있는지, 그리고 생애과정의 패턴이 계급, 성별, 학력 등 계층적 변수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협력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공백을 메우는 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풍부한 후속 연구를 촉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화의 충격, 특히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동아시아 사회변동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개인들의 생애과정 전체의 패턴 변화에 충분한 관심을 갖지 못했으며, 생애과정을 주목하는 경우에도 취업, 직업이동, 결혼과 출산, 노령화 등 생애과정의 한 차원에만 초점을 맞췄다. 그러므로 전체 생애과정을 사회구조 변동과 연관시켜 분석하는 본 연구는 이후 다양한 주제영역에서 생애과정 접근에 입각한 통계적 분석과 생애사 연구, 국제비교 연구를 촉발시키는 파생효과를 가질 것이다.
    연구진들은 아직 발표하지 않은 글들은 앞으로도 계속 학술대회에 참석하여 발표하고, 이후 학술지에 게재하여 연구성과를 널리 알리고자 한다. 또한 연구진들은 국내에서는 개인의 생애과정을 거시와 미시의 연계, 다차원적/종합적 접근, 국제비교 분석으로 폭넓게 살펴본 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에서 연구성과들을 단행본으로 발간할 예정이다. 이는 기존의 사회사 분석과 다른 접근으로 훨씬 풍요로운 사회변동과 개인의 삶에 대한 연구가 가능함을 보여줄 것이다.

    2) 사회적, 정책적 기대효과

    정책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고용불안, 소득불평등, 자산불평등, 가족관계의 변화, 저출산과 고령화 등 한국사회가 당면한 문제들을 전체 생애과정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종합적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사회적 삶의 여러 영역들이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시스템 관계 속에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생애과정을 시야에 넣지 못한 국부적 정책은 다른 시스템 요소에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생애과정 접근은 정책적 차원에서도 보다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지적 자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세계화라는 공통의 지구적 환경 속에 놓여 있는 동아시아 사회 세계화 체험의 공통점과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각국의 체험과 성공적 실험, 또는 문제적 현실을 배우고 국경을 초월하는 상호계몽과 공동의 해결방안 모색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개별 연구진들은 전문가로서 시민사회단체나 정부정책에 관여할 때 세계화 시대에 개인 생애과정의 폭넓은 변동과 그 의미가 모든 정책들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사회정책들이 개인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다.
  • 색인어
  • 세계화, 생애과정, 사회변동, 동아시아 국제비교, 노동, 계층, 성별, 섹슈얼리티, 친밀감, 저출산, 고령화, 고용, 소득, 자산, 교육, 시민사회, 세대, 코호트, 가족관계, 가족가치, 인구, 생애단계, 초국적 가족, 이주, 코호트 분석, 다변량 회귀분석, 생애사 연구, 노동시장 유연화, 베이비붐 세대, 산업화, 민주화, 주택체제의 금융화, 노후, 노후보장제도, 노인세대, 남성성, 신자유주의, 과잉노동사회, 일-생활 불균형, 연령, 임대시장, 가족형성, 돌봄, 결혼만족도, 초국적 이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