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36403&local_id=10051481
한국 중도입국 청소년이 말하는 이주의 심리사회적 경험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중도입국 청소년이 말하는 이주의 심리사회적 경험 | 2012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기현(성균관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2S1A5A8024894
선정년도 2012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3년 10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3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2011년 우리사회의 재외국인 비율은 전체 인구의 2.5%로 그 증가비율은 전년도 대비 10%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대규모 이주로 점철되어 있는 지구촌화, 국제화의 흐름 속에 우리사회에도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그간 소위 경제적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받는 나라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것으로써 일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표면적인 재외국인 숫자의 증가가 아닌 한국 재외국인 집단의 유형을 살펴보면 한국만의 특수성이 발견된다. 그것은 대규모의 결혼이주여성의 존재 및 외국인 근로자 정책과 연관된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존재이다.
    이중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개념적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청소년으로 통칭될 수 있지만 출생과 성장 지역이 한국이 아니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결혼이주 가정 자녀들과 구분되며 다른 나라의
    이주 청소년들과도 비교해 몇 가지의 독특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이들은 다른 나라들의 이주 청소년들과 비교해 결혼이주 및 여성 근로자가 한국인 배우자와의 재혼함으로 본국에서 한국으로 입국하거나 국제결혼가정의 자녀로 외국에서 성장하다 한국으로 재입국하는 특성을 보인다. 둘째, 가족단위의 공동이주가 아닌 개별적인 이주과정을 보이며 부모가 해외로 일자리를 찾거나 재혼하면서 본국에서 조부모와 친척 혹은 이웃의 보호아래 남겨지는 ‘분리기간(유수기간)’을 경험한다.
    이들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은 근래에 이르러 대두된 것으로 그간 이들에 대한 정확한 통계조차 수행된 것이 없는 수준이다. 다만 2010년의 법무부의 귀화신청 청소년의 수를 바탕으로 6000여명이상의 중도입국 청소들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국내의 중도입국 청소년을 다룬 소수의 연구 및 보고서는 이러한 상황이 이들에 대한 지원체계의 미비와도 연결되어 한국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배가시키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한국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이주경험과 적응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이들을 위한 지원정책 및 실천과정에 근거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들의 이주경험 및 적응과정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크게 한국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겪는 이주경험은 무엇이며, 한국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들 속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 가라는 연구문제 도출하였다.
    실제 연구는 크게 3가지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실제적인 조사방법은 포토보이스 프로젝트와 심층인터뷰를 이용했다. 이중 포토보이스는 연구대상자들이 직접 찍은 사진을 통해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기술해나가는 방법으로 우리나라의 연구 분야에는 처음 이용되는 방법이다. 포토보이스 프로젝트는 연구대상자가 연구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과 언어적 표현이외의 표현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강력한 메시지의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심층인터뷰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주제나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연구 단계의 첫 단계로 이주 및 중도입국 청소년 관련한 국내외의 연구들을 검토하여 조사과정에서 탐구할 내용들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인 중도입국 청소년 및 이들과 연계하고 있는 지역사회 기관 종사자, 공무원 및 각종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섭외와 실제적인 조사를 수행하였다. 중도입국 청소년들 이외의 서비스 제공자은 상호보완적인 측면에서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이주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대상자로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사된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결과보고서 및 연구보고서를 작성하였다.
    포토보이스 프로젝트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말하는 이주의 심리사회적 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어려움은 이들의 생활 전 방위적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은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새로운 가족환경, 학교환경 등에 적응하는 과정의 어려움과 제도적인 지원체계의 미비함으로 인한 어려움등 복합적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들의 민족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에는 스스로 규정하기, 규정의 근거, 정체성에 대한 개인의 정서적 반응, 그리고 정체성의 형성 상태 등 다양한 측면들이 중요하게 관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들은 자신의 민족 정체성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 문화적 경험들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들의 적응을 촉진시키는 것과 저해시키는 것들 역시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존재하고 있었으며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어려움을 경험하는 동시에 이를 극복하고 대체해나가는 방식을 체득하고 있기도 했다. 또한 본국에서의 삶속에서 체득해왔던 문화 혹은 향수, 부모와의 분리기간과 같은 요인들은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이 늘어나면서 중도입국 청소년들 각자의 다양한 적응 유형으로 발전함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통해 한국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적응을 위한 정책 및 실천 방향을 도출하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영문
  • Large-scale migration, especially that transcends national boundari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mages that mark our time. Most globally rich countries have experienced rapid increase in immigrants, who now occupy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whole population in each country. Korea is not an exception.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living in Korea as of July 2011 is 1,265,006, taking up 2.5% of the whole resident-registered population in Korea. This number has increased over 1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ich indicates that Korea is also quickly enter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f the scope is limited to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e age of middle-school students or older out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rofile becomes a little different. This is because the history of marital-immigrant women is relatively recent, and thus most children born in marital-immigrant families are currently preschool children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2010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school-aged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consist of 78.6%(23,602) elementary-school students, 16.0%(4,814) middle-school students, and 5.4%(1,624) high-school students, which reflects such phenomenon. The group that takes up a great part of multicultural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which take up 21.4% of the total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is immigrant adolescents along with children born in marital-immigrant families.
    Immigrant adolescents in Korea are a group of people formed based on Korea’s unique foreign workers policy. Korea allows foreign workers who have specialized jobs to enter the country with their families, but does not allow simple unskilled workers to do the same. Therefore, unlike many other countries, there are not many foreign worker households in family units in Korea. In Korea where unskilled foreign workers are prohibited from migrating with their families, most immigrant adolescents are either children brought from the native countries of foreign workers migrated to Korea and remarried to Korean spouses, or adolescents who are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s who had grown up in the native countries of the foreign parents and then reentered Korea (Jang & Song, 2011). In the view of cross-national comparison, immigrant adolescents are a unique group among all the adolescents of immigrants in Korea.
    This research project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immigrant adolescents settled down in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objectives, the study was designed to combine two different types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First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26 immigrant adolescents and 28 service providers. Second, we also completed the photovoice projects with 11 immigrant youths. Photovoice is the data collection method, which has not yet been introduced to Korea. In Photovoice, the study participants take pictures relevant to the topic they choose and convey their messages through visual images. Photovoice is a powerful method in that participa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tell their own stories from the participants' perspectives. It is a very appropriate method for the novel topic such as immigrant youths in Korea.
    Results from the three different data sources indicate that challenges that the immigrant youths confront were found in the multi-layers of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Issues of language, new families, and school adjustments were complexly interwoven. Second, in understanding their ethnic identities, self-evaluation, bases of evaluation, feelings towards their ethnic groups, stages of their identity exploration, involvement with cultural activities were all important dimensions in understanding the adolescents' ethnic identity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program of research, we expect that the studies contribute for developing Korean policy and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adjustments among the adolescents immigrated to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2011년 우리사회의 재외국인 비율은 전체 인구의 2.5%로 전년도 대비 10%이상 증가한 것이다. 이는 대규모 이주로 점철되어 있는 지구촌화, 국제화의 흐름 속에 우리사회에도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많은 나라들이 경험하는 공통적인 현상으로써 대규모의 이주현상과 달리 한국 사회의 이주현상은 몇 가지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다수의 결혼이주여성의 존재와 한국의 외국인 근로자정책과 연관된 중도입국 청소년의 존재이다. 이중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한국에 이주해온 결혼이주 여성이나 여성 근로자와 한국인 배우자의 재혼으로 본국에서 한국으로 입국하거나 국제결혼가정의 자녀로 외국에서 성장하다 한국으로 재입국한 이주 청소년을 지칭하는데, 이들은 국제 비교적 관점에서 매우 독특한 이주 청소년 집단이다.
    일반적으로 이들의 정주지국가의 적응과 발달과정을 다룬 연구들은 개인의 자질이나 가족, 학교, 이웃, 정주지 국가의 문화적 사회적 요소들의 복합적 작용이 영향을 미침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가 가진 절대다수의 단일민족의 존재와 본국에서 상당기간의 유수기간을 거치며 입국하는 한국중도입국 청소년들의 특성을 고려할 때 기존 이론이나 선행연구들을 그대로 적용시키는 것에 무리가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들에 대한 실천적, 학문적 관심과 진행단계는 초보적인 수준이기에 이들의 적응과정을 포괄적으로 탐색하여 한국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적응에 관한 논의의 단초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사전 준비조사를 통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크게 한국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겪는 이주경험은 무엇이며, 한국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들 속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 가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룰 연구방법은 질적연구 방법론으로써 포토보이스 프로젝트와 심층인터뷰를 고려하였다. 특히, 중도입국 청소년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이들과 연계하고 있는 지역사회 기관 종사자, 공무원 및 각종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수행함으로써 상호비교 보완이 가능한 연구결과 도출을 계획하였다. 실제적인 연구진행과정은 이주 및 중도입국 청소년 관련 문헌연구 및 자문위원 회의 및 연구보조원 교육, 심층인터뷰 및 포토보이스 대상자 섭외 및 인터뷰 진행, 데이터 정리 및 전사,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와 연구논문 작성의 과정으로 이뤄졌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크게 3가지 영역에서 도출되었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청소년들의 적응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은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인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가족, 또래집단, 학교, 사회 빛 국가적 차원의 광범위한 요인들이 청소년의 적응 혹은 부적응의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 중 복기할 만한 사항은 민족정체성에 관한 부분으로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결혼이주 청소년들과 달리 한국인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낮을 것이라는 실무자들의 의견이 있었지만 결혼이주 청소년과 중도입국 청소년들 사이에서 민족 정체성과 관련된 큰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다음으로 중도입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포토보이스 프로젝트에서 청소년들은 대한민국에 적응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은 물론 이를 극복하고 대체하는 기제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체득하고 배워나감을 나타냈다. 특히 중도입국 청소년이라는 명칭 속에 담긴 사회적 취약계층의 은유를 탈피해 자신들도 한국사회에서 소명의식을 이룩하며 누군가를 도우며 살아가고 싶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러한 과정은 이주를 연속적인 과정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기조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으로 본국에서의 삶속에서 체득해왔던 문화 혹은 향수는 한국에서의 거주기간이 늘어감에 따라 자신들이 인지하는 정체성과 적응수준에 다양한 유형으로 결합되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도입국 청소년 관련 실무자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드러난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적응과정의 어려움은 전 방위적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의 어려움은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요인들과 이주 과정에서 경험한 요인들은 물론 제도적인 지원체계의 미비함으로 인한 어려움이 복합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기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도입국 청소년에 관한 학술지논문을 게재하였다. 현재 게재가 확정된 논문은 한국사회복지연구에 투고한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민족정체성 탐색과 형성’이다. 이 논문을 통해 발달과정에 있어 중요성을 지니는 정체성 중 하나로 민족정체성이 형성하는 과정과 이에 대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심사평가 중인 논문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에 투고한 ‘다문화중도 입국 청소년의 눈을 통해 본 이주 후 초기 적응 경험’이다. 이 논문은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적용하여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네러티브 탐색을 효과적으로 수행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중도입국 청소년들에 대한 초기 지원프로그램과 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투고예정 중인 논문으로 이주가 단순한 경험이 아닌 환경변화와 발달과정이 연합된 `과정‘임을 다룬 논문이다. 이를 통해 이주 청소년 유형으로써 독특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이주경험과 과정을 포괄적으로 탐색하였으며 이 논문을 SSCI 등재지에 투고 준비 중이다. 또한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학교진입과 적응과정에 작용하는 여러 장애요인의 해결을 위해 이들과 연계된 서비스 제공자들의 심층인터뷰를 담은 논문을 집필중이다. 이는 중도입국 청소년들과 상호보완적인 시각에서 이주적응과 발달의 문제를 바라보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중도입국 아동, 중도입국 청소년, 심리사회적 적응, 이주 경험, 포토보이스 프로젝트, 심층인터뷰, 중도입국 청소년 서비스 제공자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