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비변사등록 국역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비변사는 조선중기 1510년(중종 5년)에 설립되어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이후에는 의정부를 대신하는 국가최고 회의기관으로 그 기능이 확대, 강화되어 1865년까지 존속했던 기구이다. 이 기구의 공식 기록 중 현재 남아있는 《비변사등록》은 총 273책(광해군 9년 1월 ~ 고종 29년 12월)이다. 《비변사등록》은 《승정원일기》,《조선왕조실록》 ,《일성록》 등과 더불어 조선시대를 연구하는데 있어 특히 국방, 외교,경제 등 분야의 연구에는 없어서는 안될 1차 사료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수행기관에서는 일찍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여 탈초,영인본을 간행하였고 (1959 ~ 1960년), 색인집 (上, 下)도 간행한 바 있으며(1997년), 1989년도에 국역에 착수하여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으나 15년이 지난 2003년말 현재 273책 중 제105책(영조 15년 12월)에 머무르고 있어, 이러한 추세로 나아간다면 총 273책의 번역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30년의 장구한 세월이 소요될 것인바, 번역 완료를 고대하는 학계 및 일반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총 273책 중 제 110책(영조 18년 1월) ~ 273책(고종 29년 12월)의 국역을 목표로 하여 그 1차 3개년 계획으로 제 110책 ~ 제 191책(순조 즉위년 12월)의 국역을 추진하고자 함.
  • 기대효과
  • - 《비변사등록》을 국역, 간행함으로써 일반 국민, 특히 한글 전용세대의 우리 역사 이해의 저변을 확대시키고, 한국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

    - 《국역 비변사등록》을 전산화하여 웹에 탑재함으로써, 자료 이용에 편의를 제공함.

    - 조선후기 정치, 경제, 국방 분야, 연구의 심화에 기여함.

    - 한글 세대의 한국사 연구 활성화에 기여함.
  • 연구요약
  • 《비변사등록》 총 273책 중 제 110책(영조 18년 1월) ~ 191책 (순조 즉위년 12월)의 국역, 간행을 3개년 계획으로 아래와 같이 추진함.

    - 제 1년차 사업 (2004년 8월 ~ 2005년 7월)
    제 110책 ~ 142책 국역 (30, 000장)

    - 제 2년차 사업 (2005년 8월 ~ 2006년 7월)
    제 143책 ~ 167책 국역 (30, 000장)

    - 제 3년차 사업 (2006년 8월 ~ 2007년 7월)
    제 168책 ~ 191책 국역 (30, 000장)
  • 한글키워드
  • 사목,절목,별단,을묘왜변, 삼포왜란,삼군부,제조당상,낭관,주사, 비변사,사회경제사,조선후기,역사,한국사,임진등록,정부, 비변사등록,낭청, 지변사재상,비국,묘당,사회사,등록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비변사등록 제110책(영조18년 1월-6월)부터 제191책(정조22년 5월-12월)을 국역하였는 바(200자 원고지 90,000장),
    사료로서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원문의 뜻을 최대한 손상치 않도록 직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러나 독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마다 본문에서 주석으로 처리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역사적 배경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역사 용어등에 대해서는 상세히 서술한 것을 본문 하단에 각주로 처리하였다.
  • 영문
  • Bibyonsa Deungnok Kukyok(A Korean Version of Diary of the Border Defence Counci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조선시대 후기사를 연구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1차사료인 <비변사등록>
    총273책 중 제1책 -109책은 본 위원회에서 국역을 완료한 바 있고,
    나머지 제110책-273책중 제 110책-191책을 국역한 것임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국역, 간행함으로써 일반국민 특히 한글 전용세대의 우리 역사 이해의 저변을 확대시키고 한국사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
    - 국역, 전산화하여 웹에 탑재함으로써 자료 이용에 편의를 제공함
    - 조선후기 정치, 경제, 국방 분야 연구의 심화에 기여함
  • 색인어
  • 비변사, 비변사등록, 조선후기사, 통치자료, 사목, 절목, 재정, 국방, 외교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