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노인에 대한 사회적 보호 인력의 노동 경험 분석 - 치매 인식과 직무 스트레스, 만족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6-332-B00272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1 년 (2006년 07월 01일 ~ 200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최희경
연구수행기관 신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2008년 노인수발보험제도 실시에 따른 노인시설 사회복지사와 간호사 등 전문인력의 특성과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2) 노인보호 기관 및 시설 종사 전문인력의 직무 및 노동 관련 경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스트레스 대응전략을 사회복지사와 간호사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전문직종별로 특화된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3) 노인보호에 있어 노인보호 전문 인력의 치매인식을 조사하고, 노인보호의 질을 향상시킴에 있어 전문보호인력의 치매인식과 직무간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4) 조사결과를 토대로 노인보호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처우 및 업무환경 개선, 스트레스 경감책, 노인보호관련 전문적 교육과 훈련, 양성과 관련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5) 노인에 대한 보호제공 전문인력의 사회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전문적 보호노동의 현실과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노인에 대한 사회적 보호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도모하고, 2008년 수발보험제도 실시에 따른 노인의 사회적 보호의 제도화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
    2) 노인보호시설 및 기관에서 근무하는 핵심적 보호 전문 인력인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에 대한 처우개선, 업무 스트레스 경감 및 업무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밝힘으로써 이들의 전문성 향상과 직업만족도 향상, 이직률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치매노인의 보호에 있어 전문적인 사회적 보호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인간중심 케어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치매노인 관련 사회적 비용 감소와 가족 부담 경감에 기여할 수 있다.
    4) 노인보호의 주체인 전문적 보호인력의 처우와 근무여건을 향상시키고 전문적 지식과 인식을 향상시킴으로써 노인보호 서비스의 질과 보호대상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5) 사회적 보호노동의 위상 정립을 통해 보호전문인력의 수급, 양성, 훈련, 처우 등과 관련된 관련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대구, 경북, 부산지역의 노인보호를 담당하는 노인복지시설과 기관 (주간보호소, 단기보호소, 노인생활시설)의 주요 전문인력인 사회복지사와 간호사 각각 200명(총 400명)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 전문인력의 인구학적 특성, 직무내용과 환경, 처우 등을 조사하고, 2)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스트레스 원인, 스트레스 반응과 대처 등) 및 직무만족을 비교 분석하며, 3) 간호사와 사회복지사의 치매인식을 조사하여 치매인식과 직무스트레스 및 만족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4) 조사대상자 중 10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노인에 대한 사회적 보호노동의 내용과 특성, 주관적 노동경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등을 분석한다. 5)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보호전문인력 관련 정책에 대한 함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노인보호노동과 노인보호인력의 전반적 특징에 대한 문헌연구, 선정된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에 대한 설문조사, 설문조사 대상자 중 선정된 10인에 대한 심층면접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 한글키워드
  • 치매 인식,직무스트레스,노인에 대한 사회적 보호,노인보호 전문인력 정책,만족,사회적 보호노동 담당인력
  • 영문키워드
  • social care for the elderly,policy for social care workforce,work stress,social care workforce,attitudes toward dementia,work satisfac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에서는 부산과 대구 지역의 노인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생활지도원 502명을 대상으로, 노인보호 관련 종사자들의 업무특성을 반영하여 고안된 측정도구들을 활용하여 이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업무 스트레스, 업무 만족, 치매 및 인간중심 보호와 관련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시설 종사자들의 급여수준이 낮고 근무시간이 길며 업무 부담이 과중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및 인간중심 보호와 관련된 종사자들의 인식수준은 높은 편이었으나, 업무 만족 수준이 낮았고 노인에 대한 보호 제공 및 업무환경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을 앞두고 노인에게 사회적 보호를 제공할 전문 인력의 원활한 수급과 전문성 향상, 보호의 질 제고를 위하여 노인시설 종사인력에 대한 처우 개선과 인력 확충, 중장년기 인력 활용, 노인시설 종사인력에 대한 전문적 훈련과 교육 강화, 노인시설에서의 인간중심 보호 방식의 도입과 실천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영문
  • The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work stress,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of social care work force for dependent elders in Korea. Data were from 502 staffs including social workers, nurses, and direct care workers from 45 diverse type of nursing facilities in Busan and Daegu a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y are low paid and overloaded in general. The respondents espoused highly hopeful and person-centered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the elderly, while they showed low level of satisfaction related to work. The stress levels were higher in sub scales concerning care tasks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work plac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denote that those hav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ho are nurses, have no intension to quit, have more experiences of work education, and working in facilities with more frail elders. Stresses were closely related to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the intension to quit. Person centered attitude was more often reported by those who have more elderly clients to take care of and are working in facilities with more elders who are demented and over 80. In particular, the association was consistent between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the person centered attitude.
    Several practical suggestions linked to the analysis were made including improving the welfare for staffs working in nursing facilities and providing continuous professional training and education for them particularly on person-centered care. In addition, it was emphasized to raise the morale of social care work force considering the rapidly increasing need of long term care and the important influence that care work force has on older persons' quality of life from now 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에서는 부산과 대구 지역의 노인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생활지도원 502명을 대상으로, 노인보호 관련 종사자들의 업무특성을 반영하여 고안된 측정도구들을 활용하여 이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업무 스트레스, 업무 만족, 치매 및 인간중심 보호와 관련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시설 종사자들의 급여수준이 낮고 근무시간이 길며 업무 부담이 과중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및 인간중심 보호와 관련된 종사자들의 인식수준은 높은 편이었으나, 업무 만족 수준이 낮았고 노인에 대한 보호 제공 및 업무환경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을 앞두고 노인에게 사회적 보호를 제공할 전문 인력의 원활한 수급과 전문성 향상, 보호의 질 제고를 위하여 노인시설 종사인력에 대한 처우 개선과 인력 확충, 중장년기 인력 활용, 노인시설 종사인력에 대한 전문적 훈련과 교육 강화, 노인시설에서의 인간중심 보호 방식의 도입과 실천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에서는 노인시설에 종사하는 주요 전문인력 집단, 즉, 사회복지사, 간호사, 생활지도원의 특성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노인시설 종사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안된 세 종류의 척도를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노인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종사자 5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노인시설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예상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처우가 열악하고 격무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들은 대부분 30대 중반으로 직장 종사 경력이 3년 이하로 짧았으며, 3분의 1이상이 이직 및 사직의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노인시설에서 종사자의 잦은 이직과 변동(turnover)으로 인한 인력 수급과 보호의 질 문제가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치매 및 인간중심보호에 대한 인식, 업무 스트레스와 업무 만족을 측정한 결과,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와 인간중심 보호에 대한 인식 수준이 기존연구 결과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 스트레스는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나 노인에 대한 보호 제공 및 시설의 물리적 환경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각 직종 집단은 업무 특성별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가운데 공통적으로 업무만족도가 낮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노인시설 종사자들의 치매 및 인간중심보호에 대한 인식과 업무 스트레스, 업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치매노인과 80세 이상 노인 비율이 높은 시설의 종사자들일수록, 1일 평균 담당노인수가 많은 시설의 종사자들일수록, 그리고 업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치매 및 인간중심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스트레스는 이직의사가 있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업무만족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요양원이 아닌 노인시설(전문요양원, 전문병원, 주간 및 단기보호소) 종사자일수록, 간호사일수록, 이직의사가 없고 전문교육과 연수 횟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업무 만족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업무 만족과 치매노인 및 치매노인 보호에 대한 인식은 정적(positive) 관계를 보였으며 업무 만족과 업무 스트레스 사이에는 부적(negative) 관계가 나타났다. 업무 스트레스와 치매인식 및 태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노인시설에 종사하는 인력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이들에 대한 종합적 조사에 기반하여 이들의 현황과 특성을 직종 집단별로 파악하는 한편, 노인시설 종사자들의 업무 스트레스와 만족, 치매노인 및 인간중심보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을 앞두고 노인에 대한 사회적 보호를 담당할 전문적 보호인력에 대한 방안과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가 되는 자료와 통찰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의 조사에서 활용한 척도들은 노인 보호업무의 특성을 반영하여 고안된 도구들로서, 국내에서는 처음 사용되었으며 앞으로 노인시설 종사자들의 특성과 태도를 파악하는데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노인시설 종사자, 직무 스트레스, 직무 만족, 치매 및 인간중심 보호 인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