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과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연구 : 지역별, 산업 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인문사회)
연구과제번호 2006-353-B00037
선정년도 2006 년
연구기간 3 년 (2006년 09월 01일 ~ 200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백은영
연구수행기관 한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중국에 집중되는 수출과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각각의 특성과 수출과 해외직접투자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대중국 수출특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첫째, 중국의 주요 지역별 인구수, 지역별 GDP, 1인당 생산액, 교육정도, 개방도 등을 파악하고 지역별 수출금액과 연차별 증감율등을 분석하여 중국 각 지역에 대한 차별화된 정보를 구축한다. 둘째, 국내 기업의 산업별 대중국 수출 금액과 연차별 추이를 파악하고 각 산업에 따른 지역별 수출규모를 살펴본다. 셋째,국내 기업의 중국 각 지역별 수출액과 투자건수 및 투자액을 비교하여 수출과 해외직접투자와의 연관성을 분석하도록 한다. 넷째, 우리나라 기업들의 대중국 수출 특성 중 기술수준별 특성 즉, 고위기술, 중위기술, 저위기술 등에 대한 교역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중국과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 수준별 비교우위기술과 비교열위기술을 상호 분석하기로 한다.
    한편, 대중국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연구에서는 첫째, 중국의 주요 지역별 국내 기업의 해외직접투자규모를 파악함으로써 투자 지역간 차이점을 분석한다. 둘째, 국내 산업분류표에 의한 산업분류를 기준으로 산업별 대중국 해외직접투자 건수 및 규모를 파악한다. 또한 산업을 구분하여 연도별 투자 추이를 살펴보고 이를 다시 주요 지역별로 구분하여 산업별 투자규모 및 특성을 파악한다.셋째, 생산효율추구형(factor proportions hypothesis)직접투자에 기인하는지, 또는 시장추구형(market access hypothesis)직접투자에 기인하는 지를 중국의 주요 省別 투자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기로 한다. 넷째, 해외직접투자의 투자대상국별로 그 효과와 비교하여 해외직접투자의 투자대상국 선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투자대상국별로 해외직접투자의 효과를 비교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다섯째, 해외직접투자는 투자 목적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는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의 대중국 투자 목적별 진출 건수와 만족도, 그리고 애로사항을 파악한다(3차년도 설문조사를 통해). 마지막으로 국내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을 중력모형(Gravity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대효과
    첫째, 수출은 고용이나 국내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것이고 해외직접투자는 국내 산업의 산업공동화를 야기시킬 것이라는 주장이 과연 타당한가를 분석하여 학문적 이해를 확대한다. 둘째, 최근 계량경제학 분야에서 급속히 연구되고 있는 패널공적분 기법을 해외직접투자에 활용함으로써 동태적 이질성을 고려한 수출과 해외직접투자간의 관계를 분석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기여가 상당히 크다 하겠다. 셋째, 그 동안 인과관계라면 주로 Granger의 단기인과관계에 주안점이 주어졌지만 본 연구에서는 panel long run causality test를 이용하여 장기적인 인과관계를 분석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만 지평을 확대할 수 있다. 넷째, 최근 해외직접투자가 활발해지고 또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의 연구 결과물과 연구 방법론을 학생들에 대한 교육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
    2. 사회적 기대효과
    첫째,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정부의 조치들이 합리적인가를 평가할 근거를 제공해 줄 것이다. 둘째, 최근 대중국에 대한 수출과 해외직접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술의 이전이나 산업공동화의 우려 등이 산업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교한 정책이나 조치들을 위해서는 산업별로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데 이에 대한 준거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변수들간의 패널인과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수출과 해외직접투자에 관련된 정책수단이나 기업차원에서의 대응전략도 도출될 수 있다.
    3. 연구과제의 활용과 교육에의 활용 정도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다양한 실증분석 프로그램을 홈페이지에 올려 많은 관련분야 학자들이 공유하게 하고 다른 분야의 실증연구에도 함께 사용되도록 한다.
    둘째, 많은 국가들이 대중국 수출이나 해외직접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하에서 본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는 여타 경쟁국들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자료로 이용될 수 것이다.
    셋째, 중국의 각 지역별로 해외직접투자와 수출이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와 산업별로 해외직접투자와 수출간의 관계를 통해 산업정책이나 해외직접투자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구체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중국을 대상으로 중국의 각 지역에 따른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 특성과 국내 기업의 산업별 대중국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연구한다.
    1) 먼저 국내 기업의 중국 省別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를 산업별, 연도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와 함께 전 세계의 대중국 省別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 역시 산업별, 연도별로 구분하여 국내 기업들과 전 세계 대중국 투자를 비교 분석하기로 한다.
    2) 본 연구는 대중국 진출 기업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주요 省別 자료를 활용하여 대중국 수출, 또는 해외직접투자의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이에 본 연구를 위한 분석모형으로는 Brainard(1997)의 모형을 응용하여 중국의 주요 지역별 인구수, 지역별 GDP, 1인당 생산액, 교육정도, 개방도 등을 파악하고 지역별 수출금액 또는 해외직접투자와 연차별 증감율 등을 분석한다.
    3) 우리나라 기업의 지역별 해외직접투자간에 결정요인이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한다. 또한 이러한 결정요인이 산업간에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하고자 한다.
    4)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대중국 진출기업들의 투자성향이 어느 형태의 투자에 기인하는 지 즉, 생산효율추구형(factor proportions hypothesis)직접투자에 기인하는지, 또는 시장추구형(market access hypothesis)직접투자에 기인하는 지를 중국의 주요 省別 투자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기로 한다.
    5) 해외직접투자가 원인이 되는지 결과가 되는지에 대해서는 실증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인과관계 분석에 많이 이용하던 Granger causality를 수정하여 제시된 패널장기인과관계 분석기법을 사용한다.
    6) 1년차와 2년차 연구를 근간으로 국내기업의 대중국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연구목적별 분석 외에 실제 기업들의 대중국 진출 애로사항 및 수출과 해외직접투자를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파악하도록 한다.
    7) 국내 기업의 대중국 해외직접투자 유형별, 동기별, 투자지역별로 기업차원에서 기술이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조사연구 한다. 일반적으로 해외직접투자의 형태가 Greenfield-investment인가, 아니면 기존기업의 인수나 지분을 통한 직접투자인가에 따라 기술이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한다. 이러한 조사분석 역시 설문 조사 및 심층사례분석으로 진행된다.
  • 한글키워드
  • 중국,수출,해외직접투자,심층사례분석,설문조사,중력모형,패널장기인과관계 분석,투자형태,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지역별 특성,산업별특성
  • 영문키워드
  • china,export,location decision,panel long run causality test,panel data,FDI,outward investmen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먼저, 대중국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수출이 경제성장과 깊은 연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거대한 중국시장에 대한 전략적 수출과 효과적인 수출채산성 확보를 위해 보다 세분화된 지역별 시장분석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중국의 31개 지역(省․市)에 대해 교역과 연관되는 변수들(1인당 GDP, 총인구수, FDI, 수출입, 소비, 연안여부(더미변수))을 사용하여 대한국 수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31개 지역별(횡단면 자료), 1998~2005년까지 8개연도(시계열자료)를 통합한 패널자료를 구축하여 중력방정식을 확대, 패널분석기법인 고정효과모형과 랜덤효과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대한국에서의 FDI가 지역별 대한국 수입을 증가시키는 대표적인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대중국 FDI로 인해 소재․부품 등 원부자재의 수입 역시 증가한다는 많은 연구들의 내용과 부합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도 매우 밀접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지역별 시장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별 총인구수의 대한국 수입과의 연관성을 분석해본 결과 중국의 각 지역별 인구수에 따라 대한국 수입규모도 영향을 받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의 각 지역별 대세계 수출입이 대한국 수입을 유인하는 변수로서 상당한 유의성을 띠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지역별 대세계수출이 증가할수록 지리적 잇점과 기술우위에 있는 대한국으로부터의 수입역시 증가하며, 이는 곧 대세계수입에도 반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중국 현지 투자기업의 수익성과에 대한 연구는 대 중국 투자환경이 점차 불리해져 감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막대한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또는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경영성과(수익성 부문)를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먼저, 중국 8개 지역에 진출한 230개의 현지투자법인의 영업이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합작투자변수와 영업시작년도변수로써 1% 유의수준 하에서 매우 유의미함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합작투자변수의 유의함에서 우리는 우리나라 전체적인 대 중국 현지투자법인의 수익성 증가에 중소기업 위주의 단독투자법인(분석대상 기업의 단독투자법인 165개중 중소기업이 69%)보다는 대기업과 또는 중국 현지기업과의 합작투자법인(합작기업 65개중 대기업이 78%)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업시작년도 역시 영업이익과 당기 순이익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대 중국 투자 시 대 중국 투자환경의 변화를 면밀히 파악하고 투자초기의 불리함을 신속히 극복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대 중국 투자기업의 중요한 관건이라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한편, 대 중국 투자법인의 매출구조요인 중에서는 중국현지판매와 대 한국수출변수가 수익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로 분석되었다. 이는 중국현지판매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중국 내 경쟁, 즉, 저가의 중국산 제품과의 가격경쟁과 중국 내 외자기업 제품들과의 품질 및 시장점유율 확대 경쟁 등이 기업의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를 다시 당기 순이익요인에 비추어 보면 대 중국 현지투자법인의 실질적인 순이익은 대 한국수출에 의한 수익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중국 내 시장확대형 수익성 구조보다 비용절감형 수익성 구조가 현지투자법인의 순익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중현지투자법인들은 각 기업의 매출구조 특성에 따라 적합한 수익모델을 수립하고 또한 이에 대한 면밀한 재조정이 기업의 대중 투자 성공의 관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본바와 같이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 대 중국 현지투자법인들의 수익성 성과는 한정된 자료로 인한 제약은 있었지만 늘어만 가는 대 중국 해외직접투자규모에 대해 실제 현지투자 기업들의 실질적인 수익성과를 실증분석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대중국 현지투자기업의 장애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먼저, 설문 응답기업들이 현지에서 체감하는 장애요인을 크게 기업특유 & 고용비용 장애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중국 현지 장애요인 중 우리나라 투자기업의 고용비용 장애요인, 즉, 생산직 인력난, 인건비 상승, 이직률, 환율변동 등의 변수 중 인건비 상승에 대한 장애요인과 이직률 요인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영문
  • Fir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export factor of Korean into China by 31 Province and City. Using the panel data on Korean export factor in China for the years 1998-2005, we examined the factors determinants of import in China(by region)from Korean firms. This study based on Gravity Model to extend and fixed & random effect Model.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 The effect of significant on Import from Korean is FDI from Korea, export into world , import from world, population in region. But per GRDP, consumption, FDI into world variable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lso coastal region variable is not a clear
    Second,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China busin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erformance of Korea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China. Using the panel data on Korean manufactur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firms in China for the years 2004-2006.
    We examined the effect of business beginning year, sales in China, export to Korea, export to the third country on sales ratio. The method of analysis employed random effect model by panel dat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joint-venture and business begin year variable is very significant to firm's profit ratio in China. Also local sales in China and Korea export variable is more significant to business sales ratio than export to third country. But the firm size and greenfield investment have a negative effect on business profit ratio.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barrier the performance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in China. Also an empirical data use the field survey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in China. as a result, First, we find that employment-cost factor, that is rising labor costs, a change of occupation is an effect the performance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in China. Second, business beginning year and by 7 region factor is very significant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FDI firms in china. And then, Korean corporate investment in China is a desirable form of long-term investment shall be determined. also we know that regions of China, differentiated investment approach is effective. finally, The result shows that FDI to China is need of the long term plan, and In actual use, these FDI should be applied flexibly in china business environ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나라의 대중국 교역은 1992년 8월 수교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92년 63.7억 달러에서 2005년 1005.8억 달러를 기록하여 지난 13년간 15.8배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수출은 기업의 양적 성장을 가져오는데 수출이 기업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첫째, 수출은 제품의 판매시장을 넓힌다. 특히 중소기업들이 심각하게 직면하는 문제가 판로이다. 수출로 인한 판매시장 즉, 시장규모의 확대는 분업과 전문화의 이점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무역의 이익의 창출과 함께 기업성장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특정 품목이나 제품에 보다 전문화함으로써 기업의 노동이나 자본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 기업성장을 유인하는 것이다.
    둘째, 수출은 개발도상국로 하여금 선진국의 기술습득을 가능하게 한다. 즉, 무역을 통해 선진 생산이나 경영기법 등의 기술이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기업의 기술축적 속도를 증가시켜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 확산 과정에서 기업의 기업활동, 사업제도, 경영마인드 등에 대한 모방과 개선이 일어나며 경험으로부터의 지식습득도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수출은 경쟁의 강도와 폭을 심화시킴으로서 국내기업의 생산성제고 노력을 촉진시킨다.
    그동안 수출과 기업성장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특정국을 대상으로 지역을 구분하여 각 지역별 수출특성을 살펴보거나 또는 산업별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진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그동안 주요 수출대상국으로 미국의 비중이 가장 컸으나 2000년 이후 매년 40% 내외의 수출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을 대상으로, 수출특성을 규명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거대 수출시장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각 지역을 구분하여 지역별 차이를 분석하거나, 국내 기업을 산업별로 분류하여 산업별 대중국 수출특성을 분석한 연구 역시 부진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업의 대중국 수출에 대한 중국의 각 지역별 수출 특성과 산업별 수출특성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연구과제라 판단된다. 한편,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직접투자는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활발해 지기 시작했는데 이는 만성적인 경상수지 적자에서 벗어나 흑자를 보기 시작한 시기와 일치한다. 이때 정부는 과도한 경상수지흑자를 보완하기 위해 적극적인 해외직접투자를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1985년 38건으로 1억불에 불과하던 투자실적이 1996년에는 1,468건, 44억불로 증가하다가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주춤하였지만 곧 다시 증가하여 2004년에는 3,779건, 59억불에 이른다. 그러나 2000년을 전후로 중국이 세계 생산기지로 급부상하면서 저임금 이점을 활용하기 위한 해외직접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2004년 우리나라 기업의 전세계 투자총액 대비 대중국 해외직접투자는 4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외직접투자는 외국인 직접투자와 마찬가지로 외국의 선진기술이나 경영기법을 습득하는 중요한 통로가 되고 이는 결국 투자를 행하는 국가의 생산성을 증가시켜 성장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해외직접투자는 현지법인이나 자회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본국에서의 중간재나 원자재를 수입하게 되어 본국의 수출을 증대시키고 또한 고용이나 투자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해외직접투자로 인해 공장이 해외로 이전함에 따라 국내에서의 생산이나 고용은 줄고 나아가 국내산업의 공동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대중 해외직접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들이 국내에 투자하지 않고 중국에 투자함으로써 국내산업의 공동화를 가져오고, 실업을 증대시켜 국내경기를 침체시킨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또한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 해외직접투자의 효과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졌지만 산업간의 차이를 규명하는데는 아직도 부진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연구"는 첫째, 대중국과의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중국의 지역별, 업종별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대중국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기업의 2004년부터 2006년 총 3년간의 수익성과를 분석하여 기업의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중국 우리나라 제조직접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field survey를 하여 중국 현지 기업활동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장애요인을 수렴하였으며 이러한 장애요인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우리나라와 교역 1위를 나타내고 있는 중국을 상대로 수출과 해외직접투자요인을 규명하므로써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연구를 보다 체계화 시키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한 연구과제라 판단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먼저, 대중국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수출이 경제성장과 깊은 연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거대한 중국시장에 대한 전략적 수출과 효과적인 수출채산성 확보를 위해 보다 세분화된 지역별 시장분석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중국의 31개 지역(省․市)에 대해 교역과 연관되는 변수들
    (1인당 GDP, 총인구수, FDI, 수출입, 소비, 연안여부(더미변수))을 사용하여 대한국 수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31개 지역별(횡단면 자료), 1998~2005년까지 8개연도(시계열자료)를 통합한 패널자료를 구축하여 중력방정식을 확대, 패널분석기법인 고정효과모형과 랜덤효과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대한국에서의 FDI가 지역별 대한국 수입을 증가시키는 대표적인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대중국 FDI로 인해 소재․부품 등 원부자재의 수입 역시 증가한다는 많은 연구들의 내용과 부합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도 매우 밀접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지역별 시장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별 총인구수의 대한국 수입과의 연관성을 분석해본 결과 중국의 각 지역별 인구수에 따라 대한국 수입규모도 영향을 받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의 각 지역별 대세계 수출입이 대한국 수입을 유인하는 변수로서 상당한 유의성을 띠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지역별 대세계수출이 증가할수록 지리적 잇점과 기술우위에 있는 대한국으로부터의 수입역시 증가하며, 이는 곧 대세계수입에도 반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중국 현지 투자기업의 수익성과에 대한 연구는 대 중국 투자환경이 점차 불리해져 감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막대한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또는 비용절감을 목적으로,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경영성과(수익성 부문)를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먼저, 중국 8개 지역에 진출한 230개의 현지투자법인의 영업이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합작투자변수와 영업시작년도변수로써 1% 유의수준 하에서 매우 유의미함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합작투자변수의 유의함에서 우리는 우리나라 전체적인 대 중국 현지투자법인의 수익성 증가에 중소기업 위주의 단독투자법인(분석대상 기업의 단독투자법인 165개중 중소기업이 69%)보다는 대기업과 또는 중국 현지기업과의 합작투자법인(합작기업 65개중 대기업이 78%)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업시작년도 역시 영업이익과 당기 순이익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대 중국 투자 시 대 중국 투자환경의 변화를 면밀히 파악하고 투자초기의 불리함을 신속히 극복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대 중국 투자기업의 중요한 관건이라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한편, 대 중국 투자법인의 매출구조요인 중에서는 중국현지판매와 대 한국수출변수가 수익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로 분석되었다. 이는 중국현지판매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중국 내 경쟁, 즉, 저가의 중국산 제품과의 가격경쟁과 중국 내 외자기업 제품들과의 품질 및 시장점유율 확대 경쟁 등이 기업의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를 다시 당기 순이익요인에 비추어 보면 대 중국 현지투자법인의 실질적인 순이익은 대 한국수출에 의한 수익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중국 내 시장확대형 수익성 구조보다 비용절감형 수익성 구조가 현지투자법인의 순익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중현지투자법인들은 각 기업의 매출구조 특성에 따라 적합한 수익모델을 수립하고 또한 이에 대한 면밀한 재조정이 기업의 대중 투자 성공의 관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본바와 같이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 대 중국 현지투자법인들의 수익성 성과는 한정된 자료로 인한 제약은 있었지만 늘어만 가는 대 중국 해외직접투자규모에 대해 실제 현지투자 기업들의 실질적인 수익성과를 실증분석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대중국 현지투자기업의 장애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먼저, 설문 응답기업들이 현지에서 체감하는 장애요인을 크게 기업특유 & 고용비용 장애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중국 현지 장애요인 중 우리나라 투자기업의 고용비용 장애요인, 즉, 생산직 인력난, 인건비 상승, 이직률, 환율변동 등의 변수 중 인건비 상승에 대한 장애요인과 이직률 요인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색인어
  • regional export&import, panel data, gravity model, random effect model 중국 현지투자 제조법인, 수익성 성과, 매출 구조별 성과, 투자 형태별, 투자 목적별 barrier factor, performance, firm-specific advantage factor, size, business beginning year, employment-cost fact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