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비즈니스 뉴스 매체의 경쟁: 금융 컨설턴트들의 충족을 통한 적소 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9-332-B00682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정재민
연구수행기관 한국과학기술원(서울)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재테크 서적이 베스트셀러가 되고 투자와 경제지식을 소재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도 인기를 끌고 있다. 신문들은 경제면을 특별 섹션으로 강화해 개인의 주식, 펀드 및 부동산 투자 등 재테크에 대한 각종 정보를 싣고 있다. 1995년 케이블 방송의 시작 이래 전문 뉴스 채널이 등장했고 경제 정보만을 전문으로 하는 채널들 역시 늘어나고 있다. 아울러 온라인 전문 매체들의 성장과 경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사이트들 역시 증가하고 있다.
    몇 차례의 경제 위기를 겪으며, 또한 최근 심각한 경기 하락 국면에서 경제뉴스와 정보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폭되고 있고 그에 따른 공급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최근 경제위기 국면에서 벌어진 ‘미네르바 사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터넷을 통한 경제정보의 급속한 파급은 더욱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경제 정보를 추구하는 이용자들은 어떠한 매체에 주로 의존하게 되는지 이들 매체간에 상호 경쟁과 대체 현상은 어떠한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금융 컨설팅을 주 업무로 하는 투자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경제정보에 대한 추구동기와 만족도를 측정해보고자 한다. 이들은 경제지식이 많지 않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자산 컨설팅을 하기 때문에 가장 적극적으로 경제정보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어떤 동기에서 경제정보를 추구하는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제정보를 얻고자 하는지에 대한 정보 추구와 각각의 경제정보 매체를 통해 추구하는 욕구에 대해 얼마나 충족을 얻고 있는지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경제정보 매체들간의 경쟁 정도를 파악하고 어느 매체가 우위에 놓여있는지 적소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경제정보 수요가 높은 금융 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왜 경제정보를 추구하는지 그리고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이라는 각각의 매체를 이용한 데 따른 충족의 정도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미디어의 경쟁과 대체를 설명하는 적소이론에 기반하여 경제정보 매체의 경쟁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이론적, 방법론적, 그리고 실질적 함의를 찾고자 한다.
    첫째, 매체가 가진 모든 속성을 중심으로 매체간 경쟁을 비교분석한 기존의 적소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경제정보로 차별화시켜 분석하고자한다. 향후 콘텐츠에 따른 경쟁관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있어 적소이론의 적용을 확대해보고자 한다.
    둘째, 경제정보는 다른 어떤 정보보다 이용자의 수요가 높고, 특히 신문, 방송, 과 잡지는 전통적으로 이용자들이 경제정보 획득을 위해 주로 이용해 온 매체들이다. 인터넷과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매체가 경제정보 제공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고 향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검토해볼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셋째, 경제정보의 이용은 금융 컨설턴트들 뿐만이 아니라 일반 이용자들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거시적으로 경기의 흐름을 읽을 수 있고 또한 개인의 자산 관리와 경제생활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어느 매체에서 어떠한 영역의 정보를 얼마나 충족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향후 가장 경쟁력있는 매체를 선정하여 이 매체의 경제정보가 얼마나 일반 이용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다매체다채널 시대에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미디어의 역사를 보더라도 매체가 소멸되기 보다는 새로운 내용과 형식으로 진화해감은 주지의 사실이다(Fidler, 1997). 경제정보 영역뿐만 아니라 특정 콘텐츠에 따른 이용자의 분할이 예상된다. 향후 미디어 산업의 경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있어 이와 같은 특정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매체간 혹은 매체내 경쟁 비교가 더욱 절실하게 요구될 것이다. 경제정보의 경쟁과 대체를 분석한 본 연구가 이러한 특정 콘텐츠에서의 경쟁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연구요약
  • 이 연구에서는 신문, 방송, 잡지 그리고 인터넷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경제 정보 추구 동기와 그에 따른 매체별 충족 정도를 적소이론을 적용하여 규명해보고자 한다. 적소이론은 생태학에서 생태계내 개체군간의 경쟁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다. 특정 집단이 거주하는 공간에 새로운 개체가 유입될 때, 원래 집단이 소비하던 자원을 새로운 개체군이 같이 소비하려고 하면 경쟁이 발생하게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결국 그 공간내에서 두 집단 혹은 그 이상의 집단의 경쟁 정도에 따라 공존하거나 대체하게 된다는 이론이다.
    이를 미디어산업에 시계열적으로 적용하면, 개별 미디어들간의 경쟁양상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변화해왔는지 파악할 수 있다(Dimmick & Rothenbuhler, 1984a). 각 미디어 산업은 환경 속의 유기체처럼 한정된 자원에 의존하여 생존하는데, 동일한 자원에 여러 개의 미디어가 의존할 경우, 미디어간의 생존 경쟁은 심화되며 이 과정에서 자원 획득이 우월한 미디어가 열세한 미디어를 대체하거나 특정미디어가 전략적으로 기능분화를 할 경우, 두 미디어간에 보완적인 관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적소 이론은 동일한 시장 내에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미디어들 간 경쟁을 분석하는데 적절한 이론으로 인식되고 있다(이수영, 2003, pp. 93-94).
    신속한 상세한 정보획득을 추구하는 경제뉴스 분야에서는 매체의 속성상 인터넷이 보다 더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이 경제정보를 추구하는 구체적인 동기는 무엇인지, 그리고 경제정보의 주 원천인 신문과 방송, 잡지, 그리고 인터넷에 대해 이용에 따른 충족차원에서의 경쟁관계가 어떠한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매체를 대상으로 적소분석을 통해 비교했지만, 경제정보를 주제로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경제정보에 대한 추구 동기와 네 개 매체간의 경쟁 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경제정보 추구에 있어 인터넷의 이용이 신문, 방송, 잡지의 대체를 초래했는가?
    연구문제 2. 경제정보를 추구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의 충족 적소폭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문제 4.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의 충족 적소중복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문제 5.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 이용에 따른 이용자 충족에 있어 경쟁적 우위성은 어떠한가?
    예비조사를 통해 공통적으로 얻어낸 동기에 기반하여 아래와 같은 14개의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1) 나는 내가 속한 산업의 일반적인 트렌드를 알고자 한다.
    2) 나는 국가 경제의 트렌드를 알고자 한다.
    3) 나는 글로벌 경제의 트렌드를 알고자 한다.
    4) 나는 경제 정책 입법이나 규제에 대해 알고자 한다.
    5) 나는 세금과 이자율과 같은 금융정보에 대해 알고자한다.
    6) 나는 실업률이나 성장률,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한다.
    7) 나는 인수합병의 영향에 대한 평가 정보를 얻고자 한다.
    8) 나는 새로운 시장과 고객에 대한 기회를 평가하고자 한다.
    9) 나는 경쟁사와 경쟁자들의 전략에 대해 알고자 한다.
    10) 나는 금융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 공급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한다.
    11) 나는 회사 내에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줄 아이디어를 얻고자 한다.
    12) 나는 새로운 비즈니스(영업) 스타일에 대해 알고자 한다.
    13) 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개선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고자 한다.
    14) 나는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을 도울 아이디어를 얻고자 한다.
    이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금융 컨설턴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이를 디믹(Dimmick)이 개발한 적소공식에 의거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충족기회,추구된 충족,적소중복,적소이론,미디어 경쟁,금융컨설턴트,획득된 충족,적소폭,경쟁우위,비즈니스 뉴스
  • 영문키워드
  • Niche theory,Niche breadth,Competitive superiority,Financial consultant,Media competition,Business news,Gratification opportunities,Gratification obtained,Gratification sought,Niche overlap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재테크 서적이 베스트셀러가 되고 투자와 경제지식을 소재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도 인기를 끌고 있다. 신문들은 경제면을 특별 섹션으로 강화해 개인의 주식, 펀드 및 부동산 투자 등 재테크에 대한 각종 정보를 싣고 있다. 1995년 케이블 방송의 시작 이래 전문 뉴스 채널이 등장했고 경제 정보만을 전문으로 하는 채널들 역시 늘어나고 있다. 아울러 온라인 전문 매체들의 성장과 경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사이트들 역시 증가하고 있다.
    몇 차례의 경제 위기를 겪으며, 또한 최근 심각한 경기 하락 국면에서 경제뉴스와 정보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폭되고 있고 그에 따른 공급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최근 경제위기 국면에서 벌어진 ‘미네르바 사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터넷을 통한 경제정보의 급속한 파급은 더욱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경제 정보를 추구하는 이용자들은 어떠한 매체에 주로 의존하게 되는지 이들 매체간에 상호 경쟁과 대체 현상은 어떠한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금융 컨설팅을 주 업무로 하는 투자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경제정보에 대한 추구동기와 만족도를 측정해보고자 한다. 이들은 경제지식이 많지 않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자산 컨설팅을 하기 때문에 가장 적극적으로 경제정보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어떤 동기에서 경제정보를 추구하는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제정보를 얻고자 하는지에 대한 정보 추구와 각각의 경제정보 매체를 통해 추구하는 욕구에 대해 얼마나 충족을 얻고 있는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경제정보 매체들간의 경쟁 정도를 파악하고 어느 매체가 우위에 놓여있는지 적소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 영문
  • In the capitalistic society, many people try to get economic, business, and financial information through a variety of ways to make financial decisions. Sometimes, those decisions are relatively trivial, but sometimes they have far-reaching consequences (Warfield, 1994). The Internet is the ideal medium for financial news, because of its real time information. It is not surprising, then, that more and more people rely on the Internet to check market fluctuations for their individual investment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media market has undergone a great transformation and has faced greater competition among media. Adopting niche theory from organization ecology, this study analyzed competition of business news among four major media: network television, cable/satellite broadcasting, magaznie and the Internet.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vel of obtained gratification and gratification opportunities provided by the four media.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Internet has been positioned as the most general media by showing the widest niche breadth.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strong competition exists between network television and the Internet in the dimension of information, and that the Internet has gained superiority over network television. On the other hand, network television is superior to cable/stellite broadcasting both in the information and the gratification opprtonities. Most noticeably, the Internet emerged as the most powerful media in terms of gratification opportunities which might be more essential resources in the age of multiple choic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금융 컨설팅을 주 업무로 하는 투자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경제정보에 대한 추구동기와 만족도를 측정해보았다. 이들은 경제지식이 많지 않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자산 컨설팅을 하기 때문에 가장 적극적으로 경제정보를 추구하는 집단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어떤 동기에서 경제정보를 추구하는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제정보를 얻고자 하는지에 대한 정보 추구와 각각의 경제정보 매체를 통해 추구하는 욕구에 대해 얼마나 충족을 얻고 있는지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경제정보 매체들간의 경쟁 정도를 파악하고 어느 매체가 우위에 놓여있는지 적소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는 경제정보에 대한 수요가 높은 집단인 금융 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어떠한 동기에서 경제정보를 추구하는지 나아가 매체별 이용에 따른 충족 정도를 비교하여 매체간 경쟁정도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제정보를 얻는 주요 매체인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 4개 매체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경제정보 추구동기와 매체별 만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금융 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경제정보에 산업과 경제 트렌드 파악, 세부적인 금융정보 획득, 새로운 시장과 고객에 대한 기회평가, 개인의 의사결정을 위한 목적에서 추구하고 있었다. 매체간의 경쟁력은 전통적인 매체에서 즉시성과 정보량이 풍부한 인터넷으로 이동한 것이 주목할 만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경제정보 수요가 높은 금융 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왜 경제정보를 추구하는지 그리고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이라는 각각의 매체를 이용한 데 따른 충족의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미디어의 경쟁과 대체를 설명하는 적소이론에 기반하여 경제정보 매체의 경쟁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이론적, 방법론적, 그리고 실질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첫째, 매체가 가진 모든 속성을 중심으로 매체간 경쟁을 비교분석한 기존의 적소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경제정보로 차별화시켜 분석하고자한다. 향후 콘텐츠에 따른 경쟁관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있어 적소이론의 적용을 확대해보았다.
    둘째, 경제정보는 다른 어떤 정보보다 이용자의 수요가 높고, 특히 신문, 방송, 과 잡지는 전통적으로 이용자들이 경제정보 획득을 위해 주로 이용해 온 매체들이다. 인터넷과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매체가 경제정보 제공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고 향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검토해볼 수 있으리라 판단하였다.
    셋째, 경제정보의 이용은 금융 컨설턴트들 뿐만이 아니라 일반 이용자들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거시적으로 경기의 흐름을 읽을 수 있고 또한 개인의 자산 관리와 경제생활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어느 매체에서 어떠한 영역의 정보를 얼마나 충족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향후 가장 경쟁력있는 매체를 선정하여 이 매체의 경제정보가 얼마나 일반 이용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해보았다.
    다매체다채널 시대에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미디어의 역사를 보더라도 매체가 소멸되기 보다는 새로운 내용과 형식으로 진화해감은 주지의 사실이다(Fidler, 1997). 경제정보 영역뿐만 아니라 특정 콘텐츠에 따른 이용자의 분할이 예상된다. 향후 미디어 산업의 경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있어 이와 같은 특정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매체간 혹은 매체내 경쟁 비교가 더욱 절실하게 요구될 것이다. 경제정보의 경쟁과 대체를 분석한 본 연구가 이러한 특정 콘텐츠에서의 경쟁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색인어
  • 적소이론, 적소폭, 적소중복, 경쟁우위, 획득된 충족, 충족기회, 경제정보,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 만족도, 이용동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