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신문, 방송, 잡지 그리고 인터넷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경제 정보 추구 동기와 그에 따른 매체별 충족 정도를 적소이론을 적용하여 규명해보고자 한다. 적소이론은 생태학에서 생태계내 개체군간의 경쟁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다. 특정 집단이 ...
이 연구에서는 신문, 방송, 잡지 그리고 인터넷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경제 정보 추구 동기와 그에 따른 매체별 충족 정도를 적소이론을 적용하여 규명해보고자 한다. 적소이론은 생태학에서 생태계내 개체군간의 경쟁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다. 특정 집단이 거주하는 공간에 새로운 개체가 유입될 때, 원래 집단이 소비하던 자원을 새로운 개체군이 같이 소비하려고 하면 경쟁이 발생하게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결국 그 공간내에서 두 집단 혹은 그 이상의 집단의 경쟁 정도에 따라 공존하거나 대체하게 된다는 이론이다.
이를 미디어산업에 시계열적으로 적용하면, 개별 미디어들간의 경쟁양상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변화해왔는지 파악할 수 있다(Dimmick & Rothenbuhler, 1984a). 각 미디어 산업은 환경 속의 유기체처럼 한정된 자원에 의존하여 생존하는데, 동일한 자원에 여러 개의 미디어가 의존할 경우, 미디어간의 생존 경쟁은 심화되며 이 과정에서 자원 획득이 우월한 미디어가 열세한 미디어를 대체하거나 특정미디어가 전략적으로 기능분화를 할 경우, 두 미디어간에 보완적인 관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적소 이론은 동일한 시장 내에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미디어들 간 경쟁을 분석하는데 적절한 이론으로 인식되고 있다(이수영, 2003, pp. 93-94).
신속한 상세한 정보획득을 추구하는 경제뉴스 분야에서는 매체의 속성상 인터넷이 보다 더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이 경제정보를 추구하는 구체적인 동기는 무엇인지, 그리고 경제정보의 주 원천인 신문과 방송, 잡지, 그리고 인터넷에 대해 이용에 따른 충족차원에서의 경쟁관계가 어떠한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매체를 대상으로 적소분석을 통해 비교했지만, 경제정보를 주제로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 연구에서는 경제정보에 대한 추구 동기와 네 개 매체간의 경쟁 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경제정보 추구에 있어 인터넷의 이용이 신문, 방송, 잡지의 대체를 초래했는가?
연구문제 2. 경제정보를 추구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의 충족 적소폭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문제 4.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의 충족 적소중복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문제 5. 신문, 방송, 잡지, 인터넷 이용에 따른 이용자 충족에 있어 경쟁적 우위성은 어떠한가?
예비조사를 통해 공통적으로 얻어낸 동기에 기반하여 아래와 같은 14개의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1) 나는 내가 속한 산업의 일반적인 트렌드를 알고자 한다.
2) 나는 국가 경제의 트렌드를 알고자 한다.
3) 나는 글로벌 경제의 트렌드를 알고자 한다.
4) 나는 경제 정책 입법이나 규제에 대해 알고자 한다.
5) 나는 세금과 이자율과 같은 금융정보에 대해 알고자한다.
6) 나는 실업률이나 성장률,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한다.
7) 나는 인수합병의 영향에 대한 평가 정보를 얻고자 한다.
8) 나는 새로운 시장과 고객에 대한 기회를 평가하고자 한다.
9) 나는 경쟁사와 경쟁자들의 전략에 대해 알고자 한다.
10) 나는 금융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 공급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한다.
11) 나는 회사 내에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줄 아이디어를 얻고자 한다.
12) 나는 새로운 비즈니스(영업) 스타일에 대해 알고자 한다.
13) 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개선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고자 한다.
14) 나는 문제해결이나 의사결정을 도울 아이디어를 얻고자 한다.
이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금융 컨설턴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이를 디믹(Dimmick)이 개발한 적소공식에 의거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