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저탄소 녹색기술의 동태적 선호 분석과 미래 시장 점유율 예측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2-B00057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5월 01일 ~ 201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배정환
연구수행기관 전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우리나라는 에너지 다소비 국가로서 전체 일차에너지의 97%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규모가 세계에서 10위권에 이르고 있음

    ◯ 특히 수송부문의 경우 연료의 100%를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요 수입국은 지정학적 위험지역이어서 국제원유 가격 변동에 따라 국내 수송부문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함

    ◯ 또한 수송부문이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로서 산업부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배출 부문임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인 저감 수단이 부재한 상태임

    ◯ 우리나라는 성장의 한계로 지목되어 온 환경을 새로운 산업으로 인식하자는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을 정립하고, 이를 위해 저탄소 녹색기술 개발에 공격적인 투자를 시작하였음

    ◯ 특히 수송부문에 대한 녹색화를 위해 ‘하이브리드카’,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자동차’등 친환경 고효율 자동차와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 등 저탄소 친환경연료 개발에 대한 지원정책에 집중

    ◯ 우리나라에 적합한 기술이 미래의 우리나라 자동차 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지금까지 주로 정부가 주도하는 하향식 친환경기술 개발로 인해 상향식 실수요자의 요구에 대한 분석이 거의 없었음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송부문에서 친환경자동차 기술 가운데 하이브리드카와 전기자동차를 대상으로 일반 승용차 운전자에 대한 동태적 선호변화를 추정함으로써 친환경 수송 기술에 대한 상향식 수요의 동태적 패턴을 도출하고자 함

    ◯ 친환경 기술이나 상품,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선호를 추정하는 방식에는 조건부가치추정법, 속성가치추정법과 같은 진술선호접근법과 헤도닉프라이싱이나 가계생산함수접근법과 같은 현시선호접근법이 있으나, 환경가치에 대한 정태적 선호분석에 그치고 있음

    ◯ 수송부문 녹색기술의 경우 기후변화 심화, 국제유가 변동과 같은 대외적인 영향과 더불어 소비자의 인식 수준 향상이나 경제 성장에 따라 녹색기술에 대한 가치 인식이 동태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기대됨
    ◯ 본 연구에서는 특히 이러한 녹색기술에 대한 동태적 선호와 시장 점유율을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인 CIMS(Canadian Integrated Modeling System)-ABM 통합 모형을 개발하여 우리나라에서 향후 친환경자동차 기술에 대한 상향식 수요를 분석하고, 시장 점유율을 예측하고자 함
  • 기대효과
  • ◯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환경가치추정법의 주류인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 CJ(Con-Jonit Analysis) 혹은 ABM 기법이 갖는 한계인 정태적 환경 가치 분석에 대해 동태적 환경 가치 추정을 하였다는 데에 학술적인 기여가 기대됨

    ◯ 또한 녹색 산업 정책에 있어서, 기존의 하향식 녹색 기술 개발 계획에 대해 상향식 니드(need)를 충족시키는 혼합형 녹색기술정책이 가능
  • 연구요약
  • 1) 이론적 모형의 정립
    - 문헌조사를 통한 ‘동태적 선호’를 인식하기 위한 속성가치평가기법(ABM)의 개선
    - CIMS와 ABM을 통합한 모형(CIMS-ABM)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 연구
    - ‘근린효과’와 ‘무형의 비용’을 CIMS-ABM 모형에 연계하기 위한 방안 연구

    2) 신기술로서 친환경 자동차의 속성 규명
    -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자동차 등 친환경자동차의 대표적 속성(attributes), 국내외 시장 현황과 기술발전 및 국내외 시장 전망(Hiedge, 2009; 지식경제부, 2009 등)에 대한 데이터 수집

    3) 동태적 선호를 감안한 ABM 모형에 기반한 설문조사
    - 기존의 ABM에 의한 소비자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는 친환경기술에 대한 정태적 선호 분석에 초점을 맞춤
    - 본 연구는 친환경기술로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의 미래 시장에 대한 시나리오가 상이한 ‘근린효과’와 ‘무형의 비용’을 반영하도록 설문 설계
    - 전국 주요 대도시권 승용차 이용자를 대상으로 시나리오별 실험 집단을 세분화

    4) 설문결과의 분석 방법
    - 일반적으로 ABM에 의해 도출되는 설문 결과는 친환경기술이 갖고 있는 다양한 속성에 대한 부분가치(part worth)로서 이를 분석하기 위해 조건부로짓모형(conditional logit model) 혹은 다중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통상 적용함
    - 수요자의 사회 경제적 속성인 소득별, 연령별, 교육수준별,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별 등의 변수가 속성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latent class model이나 mixed logit model등이 필요하며 이를 추가적으로 연구할 예정임
    - ABM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CIMS 모형내의 무형의 비용을 추정하고, 간접 데이터를 통해 획득한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고정비와 변동비를 이용하여 친환경 자동차의 동태적 시장 점유율 추정

    5) 결과 및 시사점
    - 국내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시장 점유율과 동태적 선호의 예측
    - 친환경 자동차의 속성별 동태적 가치 도출
    - 하향식 신기술 개발 계획 대비 상향식 신기술 개발에 대한 수요 추정을 통해 혼합형 기술개발 패러다임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
  • 한글키워드
  • 속성가치추정법,친환경 기술,동태적 선호,시장 점유율,하이브리드 자동차,무형적 비용,생애주기비용,CIMS 통합 모형,근린효과,전기 자동차
  • 영문키워드
  • hybrid car,life cycle cost,attribute based method,neighbor effect,dynamic preference,Canadian Integrated modeling system,electric car,environment-friendly technology,market share,intangible cos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하이브리드카,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속성가치를 추정하고, 시장 점유율이나 기술 신뢰성, 정부의 탄소세 정책 등에 의해 이러한 속성가치가 동태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xsen et al (2009) 및 Mau et al. (2008)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CIMS 모형을 속성가치평가법과 결합하여 한국에 적용하였다. 대면접촉에 의한 설문 결과 시장 점유율이 확대될수록, 기술 신뢰성이 향상될수록, 정부의 탄소세 부과금이 증가할수록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선택 확률이 상승하였고, 자동차 가격, 연료비, 최대속도, 운전거리, 온실가스 배출량과 같은 속성들에 대한 가치도 이러한 조건들에 따라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소득이나 교육수준과 같은 개별 특성에 대한 반응을 통해 이질적 선호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선호가 이질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문지에 포함된 선택집합의 갯수에 따라 모형의 추정결과가 통계적으로 다르게 나타났고, 특히 선택 집합의 수가 적을수록 더 추정 결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택 확률을 이용하여 시장 점유율을 추정하였고, 기술 신뢰도나 시장 점유율이 향상될수록, 탄소세 규제가 강화될수록 친환경 자동차의 시장 점유율이 확대됨을 확인하였다.
  • 영문
  • Although consumer preferences on hybrid electric (HEVs) or battery electric vehicles (BEVs) might be affected by changes in intangible costs and neighbor effect relevant to different market shares, reliability of the technology, reputation from neighbors and government regulation on the emission of GHGs, mo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applying static stated preference approaches to estimate non market value of the environment friendly vehicles (EFVs).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dynamic preferences on the EFVs employing a dynamic attribute based method combined with capital integrated modeling system (CIMS). The differentiated features of this research relative to the previous similar dynamic preference studies are to test if different number of choice sets affects model estimation. The results show that coefficient estimates from the survey with smaller number of choice se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ve correct signs for most attributes while those with larger number of choice sets are not except sales price and alternative specific constants (ASCs). This consequence implies that people’s choices can be fundamentally affected by the number of choice sets in the questionnaire as they are more fatigued from longer choice task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education, and responsiveness to new technologies affect dynamically the probability of choosing EFV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하이브리드카,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속성가치를 추정하고, 시장 점유율이나 기술 신뢰성, 정부의 탄소세 정책 등에 의해 이러한 속성가치가 동태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xsen et al (2009) 및 Mau et al. (2008)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CIMS 모형을 속성가치평가법과 결합하여 한국에 적용하였다. 대면접촉에 의한 설문 결과 시장 점유율이 확대될수록, 기술 신뢰성이 향상될수록, 정부의 탄소세 부과금이 증가할수록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선택 확률이 상승하였고, 자동차 가격, 연료비, 최대속도, 운전거리, 온실가스 배출량과 같은 속성들에 대한 가치도 이러한 조건들에 따라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소득이나 교육수준과 같은 개별 특성에 대한 반응을 통해 이질적 선호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선호가 이질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문지에 포함된 선택집합의 갯수에 따라 모형의 추정결과가 통계적으로 다르게 나타났고, 특히 선택 집합의 수가 적을수록 더 추정 결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택 확률을 이용하여 시장 점유율을 추정하였고, 기술 신뢰도나 시장 점유율이 향상될수록, 탄소세 규제가 강화될수록 친환경 자동차의 시장 점유율이 확대됨을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잠재적 시장 규모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결과이며 이러한 동태적 속성가치 추정법은 향후 다양한 신기술의 시장 점유율 예측 연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기존과는 차별화되는 친환경 전력 생산 기술과 기존의 화력발전이나 원자력 등의 발전과 비교하여 소비자의 잠재적 친환경 전력 수요를 예측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색인어
  • 동태적 속성가치 추정법, 친환경 자동차, 무형의 비용, 근린효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