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대학교육에서의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적용 방안(조용개, 2008)의 후속 연구로, 이전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조용개, 2009) ...
본 연구는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대학교육에서의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적용 방안(조용개, 2008)의 후속 연구로, 이전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조용개, 2009)와 개발 및 적용 방안을 국내의 중고교 및 대학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적용한다. 둘째, 학기 중에 실시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적용 사례를 질적, 양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적용 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수업 개선을 위해 활용 가능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본 연구목표로 설정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적용 사례 분석을 통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및 평가 모형이 개발된다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적용 사례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을 통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은 체 ...
본 연구목표로 설정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적용 사례 분석을 통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및 평가 모형이 개발된다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적용 사례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을 통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은 체계적인 교수개발 및 평가에 필요한 이론적, 실제적인 방안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수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및 평가의 활용은 교육역량을 강화할 수 실질적인 대안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최근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인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교수개발 연구에도 기여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은 교육현장에서 수업 개선을 위한 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차후 중고교 교원평가와 관련하여 교수자의 핵심 요소인 교수역량을 평가하는 도구로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연구요약
최근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로 교육의 질을 들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의 질은 교수역량에 달려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오래 전부터 교수역량 개발을 장려해 왔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대학 내에 교수학습센터를 중심으로 수업 개선을 통한 교육의 질적 ...
최근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로 교육의 질을 들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의 질은 교수역량에 달려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오래 전부터 교수역량 개발을 장려해 왔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대학 내에 교수학습센터를 중심으로 수업 개선을 통한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1) 국내의 중고교 및 대학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학기 중에 시행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2) 이를 바탕으로 수업 개선에 필요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양적 및 질적 연구를 통하여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적용 사례를 분석하고,이를 토대로 수업 개선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글키워드
티칭 포트폴리오 평가,수업 개선,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수업,티칭 포트폴리오,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
영문키워드
Instruction,Improvement of Instruction,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and Evaluation Model,Teaching Portfolio Evaluation,Teaching Portfolio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의 목적은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 결과를 토대로 수업 개선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 및 중고등학교 교수자 18명을 대상으로 2010학년도 2학기 동안 본인 담당 교과목을 중심으로 티칭 포트폴리 ...
본 연구의 목적은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 결과를 토대로 수업 개선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 및 중고등학교 교수자 18명을 대상으로 2010학년도 2학기 동안 본인 담당 교과목을 중심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일정에 따라 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토록 하였다.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로 인터뷰와 양적 연구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반구조화된 5가지 질문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전․사후설문조사는 총 22개 문항으로 결과 분석은 빈도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 결과를 토대로 수업 개선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은 Seldin(2004)이 제안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를 적용한 교과목(course)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별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에 활용 가능한 자료들을 각 단계별로 제시하였으며,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에 근거하여 Hart(1994)가 제안한 평가 절차를 적용한 티칭 포트폴리오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은 초중고 및 대학교육 현장에서 교수자의 수업 개선뿐만 아니라 교수자의 교수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evaluation models for instruction improvement.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 to improve instruction in secondary and hig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evaluation models for instruction improvement.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 to improve instruction in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In this process, eighteen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ing portfolio(a course portfolio) during the second term, 2010. During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teaching portfolio, we carried out qualitative research with an interview and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and quantitative research with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cases, we suggested a plan tentative plan of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and evaluation models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the teaching portfolio. According to the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and evaluation models, five stages for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were applied stages suggested by Seldin(2004), and rubric for the teaching portfolio evaluation was applied the evaluation criterion of Hart(1994). We expect that these models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teaching portfolio will be able to utiliz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instruction as well as the teacher evaluation in secondary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teaching portfolio)의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중고교 및 대학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학기 중에 실시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적용 사례를 질적 및 양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 ...
본 연구는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teaching portfolio)의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중고교 및 대학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학기 중에 실시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적용 사례를 질적 및 양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 개선에 필요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0학년도 2학기 동안 대학 및 중고등학교 교수자 18명을 대상으로 본인 담당 교과목을 중심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일정에 따라 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토록 하였다.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 분석은 질적 연구로 인터뷰와 양적 연구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사례 결과를 토대로 개발한 수업 개선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은 Seldin(2004)이 제안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를 적용한 교과목(course)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별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에 활용 가능한 자료들을 각 단계별로 제시하였으며,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에 근거하여 Hart(1994)가 제안한 평가 절차를 적용한 티칭 포트폴리오 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은 Hartnell-Young et al.(1999), Wolf(1996), Barrett(2001) 등이 구분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목적 가운데 수업의 질적 개선을 통한 자기성찰에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은 주로 교과목 포트폴리오(course portfolio) 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며,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을 통하여 수업의 질적 개선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 대해 기술함과 동시에 특정 교과목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조직화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은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 5단계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으로 각 단계별로 필요한 구성요소와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함께 제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에 근거하여 Hart(1994)가 제안한 평가 절차를 적용하여 티칭 포트폴리오의 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티칭 포트폴리오 평가준거는 5가지 항목으로, 평가준거에 따른 단계별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평가기준과 채점기준을 명세화 하였으며,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필수요소 10개, 권장요소 2개)에 따라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단계별로 평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에 따라 평가하고자 할 때 본 평가 모형을 활용한다면 보다 일관성 있고 타당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은 초·중·고 및 대학교육 현장에서 교수자의 수업 개선뿐만 아니라 교수자의 교수력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는 국내의 중고교 및 대학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적용 사례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수업 개선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적용 사례를 질적, 양적으로 분석하고, ...
본 연구는 국내의 중고교 및 대학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적용 사례를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수업 개선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적용 사례를 질적, 양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교육현장에 적용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활용 방안을 기대할 수 있다.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
그간의 티칭 포트폴리오에 관한 국내의 몇몇 선행연구들을 제외하고는 티칭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와 개발 단계를 체계적으로 제시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공학적 접근을 통하여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적용 사례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인 수업방법 및 평가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해 줄 것이다. 아울러 교수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발 및 평가 모형은 교육역량을 강화할 수 실질적인 대안을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최근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인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후속 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2. 인력 양성 방안
본 연구는 교수활동에 티칭 포트폴리오를 적용하여 교수과정을 점검하고 성찰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교수력을 향상하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따라서 1차적으로는 티칭 포트폴리오를 활용하는 교수자 자신이 교수력 신장을 위한 교수전문가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며, 궁극적으로는 교육현장에 있는 모든 교수자 스스로가 교수-학습의 전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아울러 교수학습센터(Center for Teaching & Learning)를 비롯한 교수-학습관련 연수전문기관에서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을 활용하여 교수력 증진과 수업 개선, 수업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교수개발 및 평가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본 연구에서 포트폴리오의 개념을 도입한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평가 모형은 일반적으로 중고교 및 대학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방안으로 수업의 효과성을 질적, 양적으로 검증해 볼 수 있는 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그간 대부분의 교수자들은 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특히, 수업이 끝나고 난 후에 수업 전체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의 변화와 교수방법에 관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수업평가 방법, 그리고 교수(teaching) 개발의 방법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교수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각 대학별로 시행하고 있는 우수수업상(Best Teaching Award) 선정요건으로 수업평가결과(정량적 요소)와 함께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정성적 요소)을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보려해 봄직하다. 뿐만 아니라 현재 시행 중인 교원평가와 관련하여 교수자의 핵심 요소인 교수역량을 평가하는 대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도입 및 활용을 적극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