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고혈압 치료의 보조 요법으로서의 의복환경 조절을 통한 혈관 기능 개선 연구 및 의복 처방 프로그램 개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71-C00006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9월 01일 ~ 201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유신정
연구수행기관 경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최정화(서울대학교)
박준희(경희대학교)
원장원(경희대학교)
김병성(경희대학교)
이윤정(경인교육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고혈압의 예방 및 개선(치료)에 있어 의복의 효과를 규명하고, 고혈압 치료를 위한 실생활에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 국민의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고혈압 관리 방법으로서의 객관적, 정량적인 의복처방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구체적인 의복활용법을 제안하고, 의복을 활용한 혈압관리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홍보, 보급, 임상 적용을 통해 실용화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연구요약
  • 고혈압은 전세계적으로 그 유병률이 높고,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며, 의학적 치료 외에도 과학적인 식이요법이나 운동 처방이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고혈압 개선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혈압 감소와 동맥 탄성도를 향상시켜 혈관의 구조적, 기능적인 변화를 호전시키는 것으로, 체온 변화에 따른 혈관의 수축과 확장의 반복 즉 온열요법을 통해서 혈관을 단련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온열환경, 즉 추위 및 더위에의 지속적인 노출 방법은 혈관 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의복은 인간의 가장 가까이에서 24시간 함께 하는 최인접환경으로서 추위 및 더위의 자극을 지속적으로 조절해 줄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도구이다. 오늘날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방법이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영양(식이)이나 운동에 치중되어 있을 뿐 의복의 적극적인 기능에 대한 검토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혈압의 예방 및 개선(치료)에 있어 의복의 효과를 규명하고, 고혈압 치료를 위한 실생활에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 국민의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고혈압 관리 방법으로서의 객관적, 정량적인 의복처방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구체적인 의복활용법을 제안하고, 의복을 활용한 혈압관리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홍보, 보급, 임상 적용을 통해 실용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A(○○대학교 의상학과), B(○○대학교 가정의학과), C(○○교육대학교생활과학교육과/교육학과)의 3개의 연구팀으로 구성되어 진행되며, 초기 고혈압환자나 경계성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3개월간 의복을 활용한 온, 냉 자극을 부여하는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혈압을 관리하는 것을 주 연구내용으로 한다. 주요 측정항목은 혈압, 동맥맥파속도(PWV), 피부온, 심부온, 의복기후, 혈중 콜레스테롤, 혈당, 뇨단백 등이며, 훈련 처치 전, 후의 값을 비교함으로써 고혈압 관리 방안으로서의 의복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각 팀의 구체적인 역할분담은 아래와 같다.
    - A팀: 인체에 온열 자극을 부여할 수 있는 전용 실험 의복 개발 제작 및 실제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온열 자극 실험 수행 및 결과 분석, 고혈압 관리를 위한 의복처방용 프로그램 도출 등 본 연구의 전반적인 역할을 담당.
    - B팀: 피험자의 혈압 관리 측면에서 의학적 자문을 담당하고, 의학적 기준에 의한 동질적 환자 섭외 및 선정, 측정 항목선정, 처치의 의학적 근거, 처치 효과 해석 역할을 맡음.
    - C팀: 본 연구의 결과물을 통해 도출할 수 있는 고혈압 관리를 위한 의복처방용 프로그램 도출에 참여하고, 음식의 경우 섭취 칼로리나 운동의 경우 소모 칼로리처럼 일반인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고혈압 관리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의생활 교육용 프로그램 제작 담당.
  • 한글키워드
  • 온열자극,의복처방,고혈압,의생활,혈관운동,혈압 관리 프로그램
  • 영문키워드
  • Hypertention management program,Vasomtor,Thermal stimulation,Clothing life,Hypertension,Clothing prescrip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생활습관병으로 인식되고 있는 고혈압을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으로 인체와 가장 가까운 환경에서 24시간 밀착해 있는 의복 환경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였음. 의복은 하나의 온열환경이며, 혈압이 인체의 온도 자극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임. 본 연구에서는 혈관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의복 환경 변화에 따른 혈관의 수축과 확장의 반복을 통해 혈관을 단련하는 방법(의복요법)이 고혈압 환자의 혈압 관리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함.
    초기 고혈압 및 고혈압 전단계 환자 8명을 대상으로 8주간(총 24회)의 온열교대 자극의 의복요법을 수행함. 의복요법은 19℃의 인공기후실에서 의복내온도 차이가 약 3℃정도 되도록 보온력이 다른 의복(각각 0.35clo, 3.83clo)을 교대로 착용하는 방법을 사용함. 혈압, 동맥맥파속도(PWV), 혈중 지질성분 등의 변화를 측정하여 의복요법에 의한 고혈압 환자의 혈압의 강하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차이는 초기 혈압의 수준에 따라 달랐음.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음.
    ○ 혈압의 감소: 8주차에는 1주차에 비해 수축기혈압 6.1mmHg, 이완기혈압 2.0mmHg, 평균혈압 7.4mmHg의 강하를 나타냄. 초기 수축기 혈압이 높았던 환자들의 경우 의복요법 후의 혈압 강하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남.
    ○ 혈관탄성의 향상: 혈관 탄성을 반영하는 하나의 지표인 PWV에서도 의복요법 수행 전에 비해 착의훈련 기간 동안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 혈관탄성이 향상되었을 가능성이 확인됨.
    ○ 혈중 지질성분의 개선: 의복요법 후에 저밀도 콜레스테롤 및 LDL/HDL ratio가 감소하는 등 혈중 지질성분에서의 의복요법 효과의 가능성 또한 확인됨.
    의복 환경을 이용한 온열교대 자극 훈련을 통한 의복 요법이 고혈압 환자의 혈압 강하, 혈관탄성 향상, 혈중 지질 성분의 개선 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적 의복 생활이 국민의 건강 증진 및 질병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함.
  • 영문
  • Blood pressure is known to be influenced by temperature stimulation of human body. Clothing therapy for hypertension was introduced and verified in this study. Clothing therapy is to provide alternate (cool/warm) thermal stimulation in microclimate conditions of the wearers by clothing training. Eight participants with prehypertension or early-stage hypertension went trough eight-week clothing training; they ware two kinds of clothing with different insulating capacity (0.35 clo vs. 3.83 clo) alternately at 19℃. The temperatures difference in the microclimate provided by two garments was about 3℃. Blood pressure, pulse wave velocity (PWV, for vascular compliance), and blood lipid profile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s results, after clothing training
    ○ Decreased blood pressure: Decreased 6.1mmHg in systolic blood pressure, 2.0mmHg in diastolic pressure, 7.4mmHg in average blood pressure. Participants with higher level of starting blood pressure showed larger decrease of blood pressure after clothing therapy.
    ○ Improved vascular compliance: PWV, one of the indices of vascular compliance, decreased indicating vascular compliance was improved by clothing therappy.
    ○ Improved blood lipid profile: Low density cholesterol and LDL/HDL ratio decreased in the treated group after clothing therapy.
    The results verified the potential of clothing therapy and its effects on decrease in blood pressure, improvement of vascular compliance and blood lipid profile of hypertension. Clothing training based on the scientific research should be introduced for public heath enhancement as well as for people with metabolic syndrome such as hypertension and obes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생활습관병으로 인식되고 있는 고혈압을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으로 인체와 가장 가까운 환경에서 24시간 밀착해 있는 의복 환경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였다. 의복은 하나의 온열환경이며, 혈압이 인체의 온도 자극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혈관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의복 환경 변화에 따른 혈관의 수축과 확장의 반복을 통해 혈관을 단련하는 방법(의복요법)이 고혈압 환자의 혈압 관리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초기 고혈압 및 고혈압 전단계 환자 8명을 대상으로 8주간(총 24회)의 온열교대 자극의 의복요법을 수행하였다. 의복요법은 19℃의 인공기후실에서 의복내온도 차이가 약 3℃정도 되도록 보온력이 다른 의복(각각 0.35clo, 3.83clo)을 교대로 착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혈압, 동맥맥파속도(PWV), 혈중 지질성분 등의 변화를 측정하여 의복요법에 의한 고혈압 환자의 혈압의 강하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차이는 초기 혈압의 수준에 따라 달랐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음.
    ○ 혈압의 감소: 8주차에는 1주차에 비해 수축기혈압 6.1mmHg, 이완기혈압 2.0mmHg, 평균혈압 7.4mmHg의 강하를 나타냄. 초기 수축기 혈압이 높았던 환자들의 경우 의복요법 후의 혈압 강하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남.
    ○ 혈관탄성의 향상: 혈관 탄성을 반영하는 하나의 지표인 PWV에서도 의복요법 수행 전에 비해 착의훈련 기간 동안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 혈관탄성이 향상되었을 가능성이 확인됨.
    ○ 혈중 지질성분의 개선: 의복요법 후에 저밀도 콜레스테롤 및 LDL/HDL ratio가 감소하는 등 혈중 지질성분에서의 의복요법 효과의 가능성 또한 확인됨.
    의복 환경을 이용한 온열교대 자극 훈련을 통한 의복 요법이 고혈압 환자의 혈압 강하, 혈관탄성 향상, 혈중 지질 성분의 개선 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적 의복 생활이 국민의 건강 증진 및 질병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함.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심도 있는 연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이미 운동요법, 식이조절 등의 효과가 과학적으로 규명되어 건강과 질병의 관리에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이 과학적인 의생활 지도가 생활습관에 의한 고혈압, 비만 등의 질병 예방과 치료에 사용될 것을 기대할 수 있음.
    본 연구 결과의 파급효과와 이를 통한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음.
    1) 일상생활이나 병원에서 의복 요법의 처방: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해당 식품이나 운동에 대해 각각 섭취 칼로리와 소모 칼로리를 제시할 수 있는 것 같이 일상생활 및 병원에서 개인의 상태에 따라 의복 요법을 제시(적용 프로그램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체계적 연계 연구 필요).
    2) 의복을 통한 혈관운동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혈관운동용 스마트 웨어의 개발과 적용: 중증이나 단기간에 빠른 효과를 요구하는 환자의 경우 치료효과 극대화.
    현재 고혈압의 질병관리 차원에서 제공되고 있는 정보는 약물치료와 함께 영양관리, 체중관리, 운동량, 스트레스 관리 등이 전부이나 세계적으로도 처음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요한 생활습관 중의 하나인 의복 생활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고 대 국민 교육을 통해 고혈압 유병율의 저하에 기여할 수 있음.
  • 색인어
  • 고혈압, 혈관탄성, 의복기후, 맥압, 내한성, 내열성, 혈중 지질 성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