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가공식품의 건강관련 식품표시가 소비자의 신념,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B00142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전상민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가공식품의 건강관련 식품표시가 소비자가 식품선택과정에서 소비자의 신념과 태도,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내 가공식품의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소비자의 이용실태와 만조고 등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연구동향을 정리하고자 한다. 둘째, 소비자의 신념과 태도, 구매의도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모형인 다속성태도모형(Multi-attribute Model)을 사용하여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이러한 식품표시의 영향력이 소비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그리고 제품의 관여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가공식품의 건강관련 식품표시에 대한 평가와 식품표시라는 정보제공이 소비자의 신념,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 구매행동변화를 야기하는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아울러 소비자 집단별 식품표시의 영향력을 비교분석하여 소비자 집단별 식품표시 활용도 및 소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신념-태도-구매의도에 대한 다속성태도모형을 식품소비사례를 이용하여 검증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결과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는 건강을 중시하는 현대 식품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품기업의 매출증진을 위한 표시제공 방안 마련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소비자집단별 건강관련 식품표시 이용행동을 비교함으로써 표시활용도가 낮은 집단을 분류하여 이들을 위한 정보제공 및 소비자교육을 제안하여 소비자 만족을 제고하고, 권익 증진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소비자에게 1차적인 상품인 식품을 대상으로 표시, 즉 소비자정보가 구매과정에서 미치는 영향력을 다속성태도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관련 이론에 대한 검증 및 소비자신념 및 태도 및 행동연구의 사례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식품표시제도를 평가하고, 효과적인 식품표시 제공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과 알 권리를 보호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현대 소비사회에서 건강한 삶은 주된 관심사로 소비자는 단순히 배고픈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식품을 소비한다. 식품산업의 발달로 건강에 유익한 가공식품들의 생산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수요도 커지면서 영양표시이나 유기가공인증 표시 등과 같은 가공식품의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정혜경·강주희·이해영, 2011). 이러한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기업은 식품표시를 통해 자사 제품이 건강에 좋다는 점을 직·간접적으로 소비자에게 충분히 알리고자 하고, 정부는 식품표시제도를 시행하고 이를 관리·감독함으로써 소비자의 알 권리와 건강한 식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김성용·이성희, 2010; 박기환, 2004). 그러나 이러한 건강관련 표시제도가 실제로 소비자의 건강증진과 합리적인 식품선택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논의는 진행 중이다. 전상민(2008)은 식품의 영양표시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는 식품의 영양표시를 통해 알 권리를 보호받고 지식을 증대하며, 제품선택능력이 높아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건강관련 식품표시가 소비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점도 있다.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 중 21.3%만이 가공식품을 선택할 때, 영양표시를 읽는다고 보고되었다(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6). 또한, Magat and Viscusi(1992)는 과다한 식품표시가 오히려 소비자의 정보과다(Information Overload)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였다. 따라서, 식품산업의 발전과 소비자만족 제고를 위하여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효과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표시방안을 제안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건강관련 식품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실태와 표시제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선행연구가 수행되어 왔지만, 영양성분표시를 대상으로 한 소비자 인식도, 만족도 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영양성분표시 이외의 다른 건강관련 식품표시에 대한 연구와 소비자의 구매행동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는 다양한 유형의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신념, 태도, 구매의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건강관련 식품표시 중, 영양성분표시('저지방' 등)는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의 주된 연구대상이었는데, 최근 영양강조표시에 대한 소비자 활용도가 높아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양표시의 한 유형으로 영양강조표시에 대한 표시효과를 측정하고, 이에 더하여 유기가공인증 표시, 그리고 식품첨가물표시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Kahneman와 Tversky(1979)이 주창한 조망 이론(Prospect Theory)에 따르면, 소비자는 긍정적인 속성(영양표시)보다는부정적 속성(농약, 화학적 비료, 인공적인 첨가물 등)을 더욱 유용하다고 평가한다. 즉, 화학비료나 농약이 없이 원재료를 재배하였음을 인증하는 유기가공 인증표시와 인공적인 식품첨가물이 없다는 표시는 그 동안 주 연구대상이었던 영양성분표시 못지않게 소비자에게 소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내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비자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소비자설문조사는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제공한다고 과학적인 합의가 형성된 가공식품의 표시를 가상으로 작성하여 이에 대한 소비자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김문희·양재호, 2010; 식품의약품안전청·서울교육대학교, 2011; 전상민, 2008; 한국소비자원, 2003)를 참고하여 치즈와 우유, 녹차, 두부, 씨리얼를 검토한 결과,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영양강조표시, 유기가공인증 표시, 식품첨가물표시 모두를 제품포장 전면에 표시하고 있는 치즈를 선택하여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가상의 건강관련 식품표시는 영양강조표시, 유기가공인증 표시, 식품첨가물표시로, 예를 들면, 고칼슘 치즈, 유기농 치즈, 합성보존료 무첨가 치즈의 표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소비자설문조사는 월 1회 이상 치즈를 구매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으로 설계하고, 이 때, 가상으로 작성한 치즈 포장전면을 이미지화하여 실제 상황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상황을 연출하도록 할 예정이다. 조사대상은 청소년소비자와 성인소비자를 모두 포함하기 위하여 15-35세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며, 연령은 15-24세와 25-34세를 동일한 비율로, 성별은 남녀 동일한 비율로, 지역은 현재 전국 거주 비율에 맞춰 할당할 예정이다.
  • 한글키워드
  • 식품첨가물표시,소비자신념,소비자구매의도 ,유기가공인증표시,영양강조표시,소비자태도
  • 영문키워드
  • Consumers' Attitudes,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Consumers' Believes,Labeling of Processed Organic Food,Nutrition Claim,Labeling of Food Addictiv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결과, 건강관련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은 맛과 건강에 대한 기대와 가격수용도를 높여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품질평가 없이 제품사용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수용도는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에, 과거구매경험은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쳐 계획적 행동이론 확장모형의 주요 변수로 파악되었다. 또한,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제품구매태도로 나타났고, 지각된 행동통제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맛, 가격 등 구매 전 품질평가와 과거구매경험 변수를 포함하여 건강관련 식품표시와 제품선택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 영문
  • When consumers choose healthy foods, they base their buying decisions on health-related food labeling and quality assessment of taste, health, and price. Moreover, both purchase experience and opinions of family and friends affect consumer choices. Focusing on these poin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ealth-related food labeling on consumer choices by adding two variables quality assessment of taste, health, and price and purchase experience to the model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e also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our hypotheses. In the study, health-related food labeling includes organic labeling, nutrient claims, and food additive labeling. We conducted a mail survey among 300 married women who buy cheese slices for their children more than once a month.

    It was discovered that health-related food labeling positively affected the level of quality assessment of taste, health, and price, and consequently led to positive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Particularly, health-related food labeling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 toward using products without assessing the quality of taste, health, and price. The level of quality assessment of price positively affected attitude toward using and purchasing products, and purchase experience positively affected attitude toward using and purchasing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 purchasing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was the most positi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urchase intentions was not significant. Overall, this study essentiall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 theoretical framework of food labeling and consumer choices, which includes quality assessment of taste, health, and price and purchase experience, by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소비자는 건강식품을 구매할 때, 건강관련 식품표시 뿐 아니라, 제품의 맛과 가격을 함께 고려하고, 과거구매경험과 주변 사람들의 의견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적 행동이론의 모형에 맛, 건강 기대도와 가격수용도 등의 구매 전 품질평가 변수와 제품사용태도, 과거구매경험 변수를 추가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제품 선택 시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건강관련 식품표시는 유기가공표시, 영양강조표시, 식품첨가물표시로 구성하였고, 자녀용으로 슬라이스 치즈를 월 1회 이상 구입하는 기혼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건강관련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은 맛과 건강에 대한 기대와 가격수용도를 높여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품질평가 없이 제품사용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수용도는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에, 과거구매경험은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쳐 계획적 행동이론 확장모형의 주요 변수로 파악되었다. 또한,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제품구매태도로 나타났고, 지각된 행동통제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맛, 가격 등 구매 전 품질평가와 과거구매경험 변수를 포함하여 건강관련 식품표시와 제품선택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틀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건강관련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은 맛과 건강에 대한 기대도와 가격수용도를 높여 결과적으로 호의적인 제품사용 및 구매태도를 이끌고 구매의도를 높였다. 또한, 구매 전 평가 항목에 대한 표시인식의 영향력 크기를 비교하면, 건강 기대도에 대한 영향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이 맛 기대도, 가격수용도로 나타나 건강관련 식품표시인식은 건강과 직결된 정보인 만큼 건강 기대도를 가장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건강관련 식품표시는 제품사용태도에도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는데, 그 크기가 가격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관련 식품을 구매할 때, 가격수용도는 구매와 직결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쳐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 모형에서 주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구매 전 품질평가의 다른 항목인 맛 기대도, 건강 기대도도 제품사용태도를 거쳐 제품구매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가격수용도는 제품사용태도 뿐 아니라 제품구매태도에도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 원인을 논하자면, 맛은 제품을 구매하여 먹어보기 전에는 알 수 없고, 건강혜택은 제품을 구매하여 먹은 뒤에도 직접 경험하거나 정확히 알 수 없는 반면, 가격정보는 구매 전에 확인할 수 있고, 구매 결정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속성을 가지고 있어 구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Grunert 2004).

    셋째, 제품구매태도가 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외생변수로 나타났고, 주관적 규범과 과거구매경험도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분석되었다. 특히, 과거구매경험은 구매의도 뿐 아니라, 제품사용태도, 제품구매태도에도 정적 영향을 미쳐 계획적 행동이론 확장모형의 설명력을 높이는 주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규범의 경우, 유기농식품 소비에 있어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제시한 유소이 외(2008)와 로하스식품 소비에 있어 주관적 규범의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밝힌 Vermeir and Verbeke(2004)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구매의도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가 20-40대의 기혼여성이고, 구입 제품이 자녀 취식용이므로 가족이나 친구들의 의견에 민감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단, 지각된 행동통제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와 관련하여 이학식·김영(2000)은 지각된 행동통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외생변수가 아닌 조정변수인 것으로 제안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입증한 바 있다. 비록 많은 선행연구들이 지각된 행동통제와 관련된 제품을 구입하는 편의성(convenience), 소비자효율성(consumer efficacy) 등을 구매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외생변수로 제시하였으나(정학균∙장정경 2011; 최자영·김경자 2003; Carrigan and Attalla 2001; Dickson 2001; Vermeir and Verbeke 2004), 본 연구에서는 그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소비자가 식품을 구입할 때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읽으면, 제품이 건강에 도움이 되고, 맛이 있고, 가격도 적정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제품을 사용(취식)하면 좋겠다고 생각하게 되고 구매에 대해서도 긍정적이 되어 실제로도 구매의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의도에 대한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영향력은 총효과 기준으로 계획적 행동이론의 주요 변수인 주관적 규범, 과거구매경험, 지각된 행동통제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식품소비에 있어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중요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제공 및 강조전략이 식품업체의 마케팅에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역으로 허위적이고 기만적 표시가 제공될 경우에는 소비자가 낮은 품질의 제품을 높은 가격에 구매할 가능성이 높아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된다. 따라서 업체는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되, 표시정보의 진실성 확보 등 표시자율규제에 힘쓰고 이에 대한 정부기관의 관리감독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건강관련 식품표시, 구매 전 품질평가, 과거구매경험, 계획적 행동이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