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소비사회에서 건강한 삶은 주된 관심사로 소비자는 단순히 배고픈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식품을 소비한다. 식품산업의 발달로 건강에 유익한 가공식품들의 생산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수요도 ...
현대 소비사회에서 건강한 삶은 주된 관심사로 소비자는 단순히 배고픈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식품을 소비한다. 식품산업의 발달로 건강에 유익한 가공식품들의 생산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려는 소비자의 수요도 커지면서 영양표시이나 유기가공인증 표시 등과 같은 가공식품의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정혜경·강주희·이해영, 2011). 이러한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기업은 식품표시를 통해 자사 제품이 건강에 좋다는 점을 직·간접적으로 소비자에게 충분히 알리고자 하고, 정부는 식품표시제도를 시행하고 이를 관리·감독함으로써 소비자의 알 권리와 건강한 식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김성용·이성희, 2010; 박기환, 2004). 그러나 이러한 건강관련 표시제도가 실제로 소비자의 건강증진과 합리적인 식품선택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논의는 진행 중이다. 전상민(2008)은 식품의 영양표시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소비자는 식품의 영양표시를 통해 알 권리를 보호받고 지식을 증대하며, 제품선택능력이 높아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건강관련 식품표시가 소비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점도 있다.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 중 21.3%만이 가공식품을 선택할 때, 영양표시를 읽는다고 보고되었다(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6). 또한, Magat and Viscusi(1992)는 과다한 식품표시가 오히려 소비자의 정보과다(Information Overload)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였다. 따라서, 식품산업의 발전과 소비자만족 제고를 위하여 건강관련 식품표시의 효과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표시방안을 제안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건강관련 식품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실태와 표시제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선행연구가 수행되어 왔지만, 영양성분표시를 대상으로 한 소비자 인식도, 만족도 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영양성분표시 이외의 다른 건강관련 식품표시에 대한 연구와 소비자의 구매행동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는 다양한 유형의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신념, 태도, 구매의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건강관련 식품표시 중, 영양성분표시('저지방' 등)는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의 주된 연구대상이었는데, 최근 영양강조표시에 대한 소비자 활용도가 높아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양표시의 한 유형으로 영양강조표시에 대한 표시효과를 측정하고, 이에 더하여 유기가공인증 표시, 그리고 식품첨가물표시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Kahneman와 Tversky(1979)이 주창한 조망 이론(Prospect Theory)에 따르면, 소비자는 긍정적인 속성(영양표시)보다는부정적 속성(농약, 화학적 비료, 인공적인 첨가물 등)을 더욱 유용하다고 평가한다. 즉, 화학비료나 농약이 없이 원재료를 재배하였음을 인증하는 유기가공 인증표시와 인공적인 식품첨가물이 없다는 표시는 그 동안 주 연구대상이었던 영양성분표시 못지않게 소비자에게 소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내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비자설문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소비자설문조사는 건강관련 식품표시를 제공한다고 과학적인 합의가 형성된 가공식품의 표시를 가상으로 작성하여 이에 대한 소비자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김문희·양재호, 2010; 식품의약품안전청·서울교육대학교, 2011; 전상민, 2008; 한국소비자원, 2003)를 참고하여 치즈와 우유, 녹차, 두부, 씨리얼를 검토한 결과,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영양강조표시, 유기가공인증 표시, 식품첨가물표시 모두를 제품포장 전면에 표시하고 있는 치즈를 선택하여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가상의 건강관련 식품표시는 영양강조표시, 유기가공인증 표시, 식품첨가물표시로, 예를 들면, 고칼슘 치즈, 유기농 치즈, 합성보존료 무첨가 치즈의 표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소비자설문조사는 월 1회 이상 치즈를 구매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으로 설계하고, 이 때, 가상으로 작성한 치즈 포장전면을 이미지화하여 실제 상황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상황을 연출하도록 할 예정이다. 조사대상은 청소년소비자와 성인소비자를 모두 포함하기 위하여 15-35세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며, 연령은 15-24세와 25-34세를 동일한 비율로, 성별은 남녀 동일한 비율로, 지역은 현재 전국 거주 비율에 맞춰 할당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