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및 디지털 재화의 지불용의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2-C00010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5월 01일 ~ 201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소라
연구수행기관 국립순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온라인상으로 전달되는 파일공유 방식이 정보의 분산과 공유라는 인터넷 정신에 근거한 것인가, 아니면, 경제적 영역에서는 인터넷의 규제와 통제가 과감히 이루어질 수 있는가는 소비자들에게도 관심 있는 주제가 되었다. 이에 근거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재화에 대한 저작권의 강화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소비자의 견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디지털 재화를 사용하는 개인 소비자들이 음원 또는 영화와 같은 재화의 유료이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며, 어느 정도의 지불용의(Willingness to Pay)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이용시, 디지털 재화의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식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소비자들의 디지털 재화의 이용현황은 어떠한가?
    셋째, 디지털 저작권강화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어떠한가?
    넷째, 소비자들은 디지털 재화를 구매하는 데 있어 어느 정도의 지불용의를 가지고 있는가?
    다섯째, 디지털 재화의 지불용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대한 고찰은 인터넷 사용수준이 세계 1위인 한국인에게 정보화역기능의 한 부분인 디지털 재화이용에 대한 소비자의 권리와 책임을 강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특히, 디지털 재화의 이용은 명의도용, 개인정보침해 및 익명성의 남용에 이르는 정보화역기능 문제와도 깊이 연결되어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식수준과 행태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로 사료된다.
  • 기대효과
  •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기술적 측면, 법제적인 측면에서 주로 이루어진 것이 사실이다. 소비자의 견해와 지불의사를 조사한 본 연구로부터 기대된 결과는 디지털 저작권에 규제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디지털 격차를 줄이면서, 바람직한 인터넷 문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디지털 재화의 효율적인 이용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특히, 디지털 재화의 이용은 익명성의 남용이기도 하지만, 프라이버시문제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현황을 이해하는 것은 소비자, 사이트운영자, 저작자 모두를 생각하는 규제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또한, 소비자 조사를 통한 소비자들의 디지털 저작권 지식수준과 저작권강화에 대한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소비자 교육 및 소비자정보제공 관련 소비자정책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소비자측면에서 볼 때,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과 태도 및 이용 현황 등의 자료는 소비자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프로그램 컨텐츠를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소비자들의 바람직한 인터넷 사용 태도를 함양시키고, 디지털 재화 이용에 있어 소비자들에게 도움을 주도록 소비자교육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운영자 측면에서 볼 때, 소비자들이 디지털 재화를 합리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테면, 소비자들의 지불용의에 맞추어 유료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소비자들의 특성에 따라 디지털재화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소비자들이 보다 필요로 하는 디지털 재화에 대해 적절한 비용으로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것은 소비자, 사이트운영자, 저작자 모두에게 의의 있는 일일 것이다. 궁극적으로 디지털 재화의 바람직한 이용문화는 소비자 만족 극대 뿐 아니라 방문자수를 늘리기 위한 사이트운영자와 창작물을 보호받고자 하는 저작자 모두를 위해 정착되어야 할 과제와 같다.
  • 연구요약
  • 지적재산권의 제한이라는 법적 장치는 저작물에 내재해 있는 공공재적인 속성을 반영하여 이용자의 권리를 보호함으로써 저작자와 이용자 간의 이익을 조절한 것이다. 문제는 이와 같은 저작권이 디지털 재화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가이다. 재생산비용이 거의 0에 가까운 디지털 재화의 사용에 저작권을 강화하는 것에 대한 반발과 저작자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입장도 공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수용자들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인터넷 운영자들의 이해관계도 함께 하고 있어 쉽게 그 균형점을 찾기가 힘들다.
    디지털 시대의 지적재산권은 창작자 또는 개발자의 권리만이 아닌 인터넷 사용자들의 권리가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모두의 권리를 적당히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방식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개념은 꾸준히 변화할 수 있다.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또 다른 권리를 발생하기도 한다.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적재산권은 새로운 역할을 요구하게 된 것이다. 다만, 디지털․인터넷 시대에 있어서 “정보공유”의 순기능적인 역할이 지적재산권의 존재 의의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새롭고 대안적인 시스템에 대한 고민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시점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재화에 대한 저작권의 강화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소비자의 견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디지털 재화를 사용하는 개인 소비자들이 음원 또는 영화와 같은 재화의 유료이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며, 어느 정도의 지불용의(Willingness to Pay)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인터넷 이용시, 디지털 재화의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식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소비자들의 디지털 재화의 이용현황은 어떠한가?
    셋째, 디지털 저작권강화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어떠한가?
    넷째, 소비자들은 디지털 재화를 구매하는 데 있어 어느 정도의 지불용의를 가지고 있는가?
    다섯째, 디지털 재화의 지불용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인가를 논의하는 것이다.

    소비자 설문조사는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 현재 디지털 재화의 이용현황, 디지털 저작권강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묻는 척도를 포함할 것이다. 디지털 재화의 지불용의는 음원, 영화, 보고서 등 몇 가지 선택된 품목에 대해 소비자들의 어느 정도 금액의 지불의사가 있는 지를 질문하고자 한다.
    인터넷을 활발하게 이용하는 남녀 소비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서베이 전문업체의 패널풀을 활용하여 온라인 조사를 수행한 후, 분석을 실시한다.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지식수준, 디지털 재화의 이용 현황, 디지털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와 소비자들의 디지털 재화에 대한 지불용의 수준과 관련된 요인들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 본다. 디지털 저작권강화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지식 수준, 디지털 재화 이용 수준을 기준으로 한 소비자의 유형 분류는 군집분석을 통해 수행된다.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각 유형을 비교함으로써, 유형을 자세히 이해하고, 그에 따른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을 제언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디지털 격차를 줄이면서, 바람직한 인터넷 문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디지털 재화의 효율적인 이용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특히, 디지털 재화의 이용은 익명성의 남용이기도 하지만, 프라이버시문제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현황을 이해하는 것은 소비자, 사이트운영자, 저작자 모두를 생각하는 규제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또한, 소비자 조사를 통한 소비자들의 디지털 저작권 지식수준과 저작권강화에 대한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소비자 교육 및 소비자정보제공 관련 소비자정책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한글키워드
  • 지불용의,디지털 재화,정보공유,지적재산권,디지털 저작권
  • 영문키워드
  • Digital copyright,Willingness to Pay,Information sharing,Digital goods,Intellectual Proper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이용시, 디지털 재화의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식수준,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 저작권을 지키는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디지털 재화의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식수준,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 저작권을 지키는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셋째, 소비자들의 디지털 재화 지불용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으로부터 인터넷을 활발하게 사용하는 만 14세 이상의 남녀로 리서치업체가 보유한 전문패널 중 지역과 연령을 고려한 할당표집을 실시하였다. 총 응답자 642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빈도 및 평균, 중회귀분석 등의 분석을 통해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지식수준,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 인터넷 상에서의 저작권 준수 정도 등의 전반적인 경향을 기술적으로 살펴보고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재화에 대한 지불용의 관련 요인들은 중회귀분석을 통해 알아 보았다.

    먼저 디지털 저작권 관련 지식 수준에서 보면,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타인의 글이나 자료의 일부를 인용하는 것도 저작권 침해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으며, 여행정보처럼 객관적 사실을 설명한 글은 저작권보호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컸다. 대체적으로 소비자들은 저작권법에 대해서 실제보다 훨씬 완화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향이 컸으며, 문항에 상관없이 저작권 침해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저작권 강화에 찬성하는 태도를 보이는 응답자보다는 저작권강화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 준수 정도를 보면, 인터넷에서 사진이나 글을 마음대로 퍼오는 행동이 가장 지켜지지 않는 행동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정품이 아닌 소프트웨어 사용, 음악파일을 공짜로 사용, 리포트나 과제를 베껴서 제출하는 행동 순으로 저작권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저작권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살펴 보았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20대가 지식수준이 낮았으며, 저작권 강화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는 지식과 정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디지털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살펴 보면, 30대와 40대 이상이 다른 연령대의 응답자에 비해 저작권 강화에 찬성하는 편이었으며, 저작권 관련 지식 수준은 저작권 강화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 준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저작권을 지키는 행동 점수가 높았으며, 40대 이상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저작권을 준수하는 정도가 더 높았다. 저작권 강화에 대해 동의할수록 저작권을 지키는 수준이 또한 높았다.
    디지털 저작권이 포함된 저작물에 대한 소비자 지불용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는 20대의 응답자가 다른 연령대의 응답자보다 지불용의가 높았으며, 저작권 관련 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지불용의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었지만, 저작권강화에 대한 태도와 저작권 준수 정도는 지불용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sumers' knowledge about digital copyright, consumer attitudes towards digital copyright reinforcement, and their adherence to digital copyright. Moreover, the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knowledge about digital copyright, consumer attitudes towards digital copyright reinforcement, their adherence to digital copyright, and consumer wilingness to pay for digital goods. The data was collected between April, 28 and May, 3 in 2011 through the Internet surveys. Total 642 respon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findings are follws as: First, consumers showed relatively less agreement for digital copyright reinforcement, Second, consumer attitudes towards digital reinforcement were less important than consumer knowledge about digital copyright in adherence to digital copyright. Third, consumer attitudes toward digital copyright was most important factor on consuemrs' willingness to pay for digital work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온라인상으로 전달되는 파일공유 방식이 정보의 분산과 공유라는 인터넷 정신에 근거한 것인가, 아니면, 경제적 영역에서는 인터넷의 규제와 통제가 과감히 이루어질 수 있는가는 소비자들에게도 관심 있는 주제가 되었다. 이에 근거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재화에 대한 저작권의 강화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소비자의 견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디지털 재화를 사용하는 개인 소비자들이 영화와 같은 재화의 유료이용에 대해, 어느 정도의 지불용의(Willingness to Pay)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이용시, 디지털 재화의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식수준,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 저작권을 지키는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디지털 재화의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식수준,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 저작권을 지키는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셋째, 소비자들의 디지털 재화 지불용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문헌고찰을 통한 자료와 사이트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를 근거로 하여 설계한 조사도구(설문지)는 다수의 항목으로 설계된 척도와 인구통계학적 특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은 법제에 근거하여 불법여부를 잘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OX 이분형 문제로 구성될 계획이다. 디지털 저작권 강화에 대해서 소비자들이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 어떠한 항목에 있어 더 반대하는지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영화, 게임 아이템 등 특정 항목에 대해 얼마까지 지불할 용의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9)의 설문을 응용하여 저작권이 포함된 음원을 제시된 가격 중 최대 얼마까지 구매할 의향이 있는가를 질문하였다. 선택 항목은 "구매하지 않겠다" 에서부터 시작하여 가격 리스트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소비자들에게 가상의 상황에서 조건을 제시하며 특정 디지털 재화에 대해 어느 정도의 지불의사가 있는지 물어 보았다.

    자료는 2011년 3월 중 2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점검하였다. 정답율 또는 오답율이 지나치게 높거나 한 쪽으로 편중된 문항은 삭제한 후 최종 자료수집은 (주)한국리서치에 의뢰하여 2011년 4월 28일부터 5월 3일까지 인터넷 조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취지를 설문 조사자들에게 설명한 후 자기기입식 응답을 유도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으로부터 인터넷을 활발하게 사용하는 만 14세 이상의 남녀로 리서치업체가 보유한 전문패널 중 지역과 연령을 고려한 할당표집을 실시하였다. 총 응답자 642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빈도 및 평균, 중회귀분석 등의 분석을 통해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지식수준,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 인터넷 상에서의 저작권 준수 정도 등의 전반적인 경향을 기술적으로 살펴보고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재화에 대한 지불용의 관련 요인들은 중회귀분석을 통해 알아 보았다.

    먼저 디지털 저작권 관련 지식 수준에서 보면,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타인의 글이나 자료의 일부를 인용하는 것도 저작권 침해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으며, 여행정보처럼 객관적 사실을 설명한 글은 저작권보호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컸다. 대체적으로 소비자들은 저작권법에 대해서 실제보다 훨씬 완화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향이 컸으며, 문항에 상관없이 저작권 침해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저작권 강화에 찬성하는 태도를 보이는 응답자보다는 저작권강화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 준수 정도를 보면, 인터넷에서 사진이나 글을 마음대로 퍼오는 행동이 가장 지켜지지 않는 행동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정품이 아닌 소프트웨어 사용, 음악파일을 공짜로 사용, 리포트나 과제를 베껴서 제출하는 행동 순으로 저작권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20대가 지식수준이 낮았으며, 저작권 강화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는 지식과 정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디지털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살펴 보면, 30대와 40대 이상이 다른 연령대의 응답자에 비해 저작권 강화에 찬성하는 편이었으며, 저작권 관련 지식 수준은 저작권 강화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수준,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 인터넷상에서의 저작권 준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나아가 디지털 저작물의 지불용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디지털 저작권 관련 지식 수준에서 보면,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타인의 글이나 자료의 일부를 인용하는 것도 저작권 침해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으며, 여행정보처럼 객관적 사실을 설명한 글은 저작권보호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컸다. 대체적으로 소비자들은 저작권법에 대해서 실제보다 훨씬 완화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향이 컸으며, 문항에 상관없이 저작권 침해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저작권 강화에 찬성하는 태도를 보이는 응답자보다는 저작권강화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응답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 준수 정도를 보면, 인터넷에서 사진이나 글을 마음대로 퍼오는 행동이 가장 지켜지지 않는 행동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정품이 아닌 소프트웨어 사용, 음악파일을 공짜로 사용, 리포트나 과제를 베껴서 제출하는 행동 순으로 저작권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저작권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살펴 보았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20대가 지식수준이 낮았으며, 저작권 강화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는 지식과 정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디지털 저작권 강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살펴 보면, 30대와 40대 이상이 다른 연령대의 응답자에 비해 저작권 강화에 찬성하는 편이었으며, 저작권 관련 지식 수준은 저작권 강화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 준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 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저작권을 지키는 행동 점수가 높았으며, 40대 이상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저작권을 준수하는 정도가 더 높았다. 저작권 강화에 대해 동의할수록 저작권을 지키는 수준이 또한 높았다.
    디지털 저작권이 포함된 저작물에 대한 소비자 지불용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는 20대의 응답자가 다른 연령대의 응답자보다 지불용의가 높았으며, 저작권 관련 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지불용의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었지만, 저작권강화에 대한 태도와 저작권 준수 정도는 지불용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기술적 측면, 법제적인 측면에서 주로 이루어진 것이 사실이다. 소비자의 견해와 지불의사를 조사한 본 연구로부터 기대된 결과는 디지털 저작권에 규제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디지털 격차를 줄이면서, 바람직한 인터넷 문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디지털 재화의 효율적인 이용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또한, 소비자 조사를 통한 소비자들의 디지털 저작권 지식수준과 저작권강화에 대한 태도를 살펴봄으로써, 소비자 교육 및 소비자정보제공 관련 소비자정책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소비자측면에서 볼 때,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과 태도는 이용 현황 등의 자료는 소비자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프로그램 컨텐츠를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소비자들의 바람직한 인터넷 사용 태도를 함양시키고, 디지털 재화 이용에 있어 소비자들의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소비자교육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운영자 측면에서 볼 때, 소비자들이 디지털 재화를 합리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테면, 소비자들의 지불용의에 맞추어 유료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소비자들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재화의 제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소비자들이 보다 필요로 하는 디지털 재화에 대해 적절한 비용으로 사용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은 소비자, 사이트운영자, 저작자 모두에게 의의 있는 일일 것이다. 궁극적으로 디지털 재화의 바람직한 이용문화는 소비자 만족 극대 뿐 아니라 방문자수를 늘리기 위한 사이트운영자와 창작물을 보호받고자 하는 저작자 모두를 위해 정착되어야 할 과제와 같다.
  • 색인어
  • 디지털 저작권, 저작권강화에 대한 태도, 디지털 저작권 준수행동,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지불용의, 저작권법, 디지털 저작물, 정보공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