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생명 영역의 오개념 교정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B00338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은진
연구수행기관 부산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 생물영역 교과 내용을 기반으로 이와 관련된 오개념들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초등과학교육과정과 연계된 간편한 오개념 교정 매뉴얼로 제작하여 초등예비교사들의 생물교재연구 강좌에 적용함으로써 초등예비교사들의 생물영역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 분석하는데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생명 영역에서의 주요 오개념이 분석될 것이며, 그 결과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오개념을 교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중간 산물로서 개발되는 생물 오개념 교정 매뉴얼은 추후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과 교육에 활용되어 초등 예비교사들의 오개념 교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뿐 만 아니라, 본 매뉴얼을 현장 교사들에게 보급한다면 초등학교 현장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을 높이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추후에 본 매뉴얼을 스마트폰 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변환할 수 있다면 초등 교사들에게 보급하여 보다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더 빠르고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오개념과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결과가 교육대학교 과학교과과정의 개발과 강좌의 운영에 반영된다면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높여주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개정안 생물 영역 개념 분석과, 초등학생들의 오개념 정리, 예비교사들의 오개념 분석 결과들은 추후에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교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생물 오개념이 교정된다면 궁극적으로 초등 학생들의 올바른 생물 개념 형성을 도울 수 있으며, 초등예비교사들의 고양된 교수효능감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과학학습에서 오개념은 견고하여 교정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으며, 정확한 과학개념의 학습을 방해하므로서 후속학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러한 오개념을 교사가 가지고 있다면 교수학습과정을 통해서 학생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교사교육기관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오개념을 갖지 않도록 특별한 오개념 교정 장치가 필요하다. 교과내용 지식으로서 생명 영역의 개념을 바르게 학습하고 오개념을 교정한다면 초등 예비교사들의 지식 자신감이 향상될 것이며, 이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교육과정에 기초한 주제별 오개념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주제별 오개념과 공인된 과학개념을 비교하여 제시하는 방식의 오개념 교정 매뉴얼을 개발하여 초등 예비교사 과학교과연구수업에 활용함으로써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오개념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상당히 오래된 주제이며, 비교적 연구방법도 간단한 편이므로 연구결과는 상당량 축적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도 학교현장에서는 과학 오개념으로인한 학습의 어려움이 호소되고 있다. 이는 오개념의 견고한 특성 뿐 만아니라, 연구결과물이 교육현장으로 환류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이면서도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적된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초등과학교과의 단원의 지도에 밀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간편하고 휴대하기 편리한 핸드북형태의 오개념 교정 매뉴얼을 만들고, 이를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교재연구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오개념 교정의 효과를 높이고, 연구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오개념 교정 매뉴얼을 활용한 과학교재연구수업과 기존의 과학교재연구 수업을 실험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이 매뉴얼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볼 것이다.
    본 연구과정에서 개발된 오개념 교정 매뉴얼과 분석 자료들은 향후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교육대학교 교과과정에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 한글키워드
  • 대학교육과정,오개념 교정 매뉴얼,생명영역,과학교과,오개념,초등예비교사
  • 영문키워드
  • university curriculum,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misconception,science,misconception correcting manual.,biolog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생명영역 단원을 기반으로 초등 예비교사들의 오개념 교정을 돕고, 초등학교 과학교육 현장의 교수활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초등과학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개발하였으며, 이 책자를 초등 예비교사의 초등과학 생명역영 교재 연구 강좌에 자료로 활용하여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과 초등과학 생명영역에 대한 오개념의 수정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효능감 면에서 본 연구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사용하였을 때 사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교수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되었다. 따라서, 교수효능감면에서 초등과학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 소책자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성별과 계열에 따른 차이, 또는 이 둘 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성별에 따라서, 또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초등과학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 면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은 본 책자를 사용하여 강좌를 수강하였을 때, 사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오개념의 교정에 효과가 있었다. 이는 실험반과 비교반의 오개념 검사의 공변량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사후 오개념은 성별, 계열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이 둘 사이의 상호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실험반과 비교반 모두에서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셋째, 과학교수효능감과 오개념 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두 집단 모두 과학 교수효능감과 오개념 교정 점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사전검사에서는 이 두 점수 간에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사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부터 초등과학 생명영역 수업을 통해서 초등과학에 대한 효능감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오개념 교정이 잘 되었을수록 더욱 효능감이 높아졌다고 말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본 연구를 통해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오개념을 교정하면서 과학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소책자는 연구의 적용 시기에 따라 2007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2013년인 올해부터는 2009 교육과정이 초등 1,2학년부터 점진적으로 적용되는 시기에 있다. 초등 과학교육과정은 2007에 비해 전폭적인 큰 변화는 없으나, 소폭 변화된 내용과 단원 명 등을 고려하여 수정 및 보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오개념의 특성상 시간이 경과하면 교정율이 현저히 떨어져 원래대로 복구되는 특징이 있음을 고려하여, 가능하다면 추수연구(follow up study)를 진행하여 연구결과의 질을 높이는 것이 더 교육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 면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2007 개정안 생명영역 개념 분석과 관련 오개념 조사 및 분석결과와 예비교사들의 오개념 분석 결과들은 향후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교재로 활용되어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에 기여하고, 과학 교수효능감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모델로 생명영역 이외에 물리, 화학, 지구과학 등과 관련된 교육대학교 과학교과과정에 있어서 과학 오개념과 관련된 강좌를 신설하거나 기존의 강좌에 적극적으로 오개념 교정을 위한 방안을 개발하여 활용한다면,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책자를 현장 교사들에게 보급한다면 초등학교 현장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술적인 면에서 차후로 본 소책자의 컨텐츠를 스마트폰 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변환한다면 초등 교사들에게 보급하여 보다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더 빠르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생명 영역 오개념을 교정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생명영역의 개념 형성을 도울 수 있으며, 초등예비교사들의 고양된 교수효능감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mall sized manual of biology misconception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correcting power of biology misconceptions of the preservice teachers after using the book in a university course during one semester. The professors lectured on the course about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and material analysis/study on life science to two groups with the experimental used with the manual and the control without 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on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 experimental group got higher score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than the control one, therefore the manual has an effectiveness for enhancing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second, on the correcting power biology misconception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he experimental group got also higher score on the correcting misconceptions of biology than the control one, therefore the manual has an effectiveness for correcting the biology miscon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he third, on the relation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correcting level of misconceptions, there was no relation with two test scores before the experiment implementing but there was relation with statistical meaningfulness between two tests after the experi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way to help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reduce their misconceptions about biology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improve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which is the manual developed at this stu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생명영역 단원을 기반으로 초등 예비교사들의 오개념 교정을 돕고, 초등학교 과학교육 현장의 교수활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초등과학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개발하였으며, 이 책자를 초등 예비교사의 초등과학 생명영역 교재 연구 강좌에 보조자료로 활용하여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과 초등과학 생명영역에 대한 오개념의 교정도를 실험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되었으며, 초등과학 생명영역 오개념의 교정 정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오개념 교정 소책자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오개념을 교정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교수효능감 면에서 본 연구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사용하였을 때 사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교수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증가되었다. 따라서, 교수효능감면에서 초등과학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 소책자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성별과 계열에 따른 차이, 또는 이 둘 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성별에 따라서, 또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초등과학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 면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은 본 책자를 사용하여 강좌를 수강하였을 때, 사용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오개념의 교정에 효과가 있었다. 이는 실험반과 비교반의 오개념 검사의 공변량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사후 오개념은 성별, 계열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이 둘 사이의 상호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실험반과 비교반 모두에서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셋째, 과학교수효능감과 오개념 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두 집단 모두 과학 교수효능감과 오개념 교정 점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사전검사에서는 이 두 점수 간에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사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부터 초등과학 생명영역 수업을 통해서 초등과학에 대한 효능감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오개념 교정이 잘 되었을수록 더욱 효능감이 높아졌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2007 개정안 생명영역 개념 분석과 관련 오개념 조사 및 분석결과와 예비교사들의 오개념 분석 결과들은 추후에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교재로 활용되어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에 기여하고, 과학 교수효능감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명영역 이외에 물리, 화학, 지구과학 등과 관련된 교육대학교 과학교과과정에 있어서 과학 오개념과 관련된 강좌를 신설하거나 기존의 강좌에 적극적으로 오개념 교정을 위한 방안을 개발하여 활용한다면,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높여주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책자를 현장 교사들에게 보급한다면 초등학교 현장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에 본 소책자를 스마트폰 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변환한다면 초등 교사들에게 보급하여 보다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더 빠르고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생명 영역 오개념을 교정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생명영역의 개념 형성을 도울 수 있으며, 초등예비교사들의 고양된 교수효능감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초등과학, 생명영역, 2007 교육과정, 오개념, 초등예비교사, 교수효능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