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만주어 및 만주문학자료 총서구축
만주어문학의 통합적인 연구를 위한 만주어 사전 및 만주문학 자료 DB 구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B4A01035397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3 년 (2012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남승호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고동호(전북대학교)
유현조(서울대학교)
신원철(서울대학교)
최운호(경희대학교)
김주원(서울대학교)
연규동(연세대학교)
신용권(인천대학교)
이용성(서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만주 문자로 기록된 주요 사전 자료와 만주번역문학 관련 텍스트 자료(이하 만주어문학 자료로 약칭함)를 입력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한국의 만주어 연구 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한국의 만주어 연구가 세계 만주어 연구를 선도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네 가지이다. 첫째 만주어는 UNESCO가 정한 절멸 임박 언어(nearly extinct language)이고, 만주퉁구스어파 혹은 만주어가 속한 남부 만주퉁구스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만주어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민족의 분포 지역을 고려할 때 한국어는 만주퉁구스어와 계통적인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이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만주족의 선조 혹은 그들과 매우 가까웠던 민족이라고 추정되는 말갈족은 고구려 및 발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금나라와 청나라를 세운 여진족은 고려 및 조선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이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만주어 자체와 만주어로 표현된 문학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고, 만주족과 그들의 문화를 정확히 이해하려면 만주어문학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완료되면 한국의 만주어문학 연구가 전 세계의 만주학을 선도할 것이며, 나아가서 퉁구스학과 알타이학에 공헌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이 연구가 필요하다.
  • 기대효과
  • 이 연구의 기대효과는 네 가지이다. 첫째 이 연구가 이루어지면, 한국은 만주어문학을 통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허브가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만주어 연구의 기초로 현전하는 주요 만문 서적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만들어서 그 결과를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현재 이러한 목표로 연구가 진행되는 곳은 없다. 이러한 기여는 한국 학계가 인쇄 매체 형식의 연구 결과가 아니라 IT 기술과 자료의 가공 및 개방으로 세계 학계에 기여한다는 의의가 있다. 둘째 이 연구는 만문 문헌을 해독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만문 문헌의 해독은 무엇보다도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주어는 문법이 북부 퉁구스어군이나 동남부 퉁구스어군처럼 복잡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많은 만주어 사전들이 편찬되었지만, 그 사전들은 대부분 ≪御製增訂淸文鑑≫을 비롯한 극히 일부의 어휘 자료를 번역한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입력하려고 하는 어휘 자료는 모두 13종 156권 201책에 달한다. 이 정도의 양이면 지금 보존되어 있는 만주어 자료를 해독하는 데 필요한 어휘를 모두 망라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한어문학, 중국 고전, 번역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입력하고 DB화하는 만주번역문학 자료들은 종래의 한어문학 연구에서 거의 활용되지 못하였으나, 이 자료들에 제시된 만문은 당대 최고 전문가들이 행한 뛰어난 번역이고, 이 전통이 이어져서 대부분의 중국 고전이 만주어로 번역되었으므로, 이 분야에서 새로운 시각의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滿漢合璧 자료는 한어문학과 만주어문학 연구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 즉 淸代에 한어가 만주어의 영향에 의하여 어떠한 변화를 겪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한어 음운변화 연구나 어휘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한어를 번역한 만주번역문학 자료들은 한어문학 연구에도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만주 문자로 기록된 주요 사전 자료와 만주번역문학 관련 텍스트 자료(이하 만주어문학 자료로 약칭함)를 입력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공개함으로써 한국의 만주어 연구 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한국의 만주어 연구가 세계 만주어 연구를 선도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만주어는 언어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언어이며, 만주족과 한민족이 접촉한 역사를 이해하고 만주족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 연구가 완료되면 한국의 만주어문학 연구가 전 세계의 만주학을 선도할 것이며, 나아가서 퉁구스학과 알타이학에 공헌하는 바가 클 것이라는 데 이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 연구는 만문으로 된 어휘 자료와 문학 텍스트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만든다는 점, 입력하는 자료가 쉽게 구하기 힘든 방대한 만주어문 자료들이라는 점, 만주어 전공자와 한어문학 전공자들이 참여해서 공동 연구를 하는 인문학 내부의 학제적 연구라는 점에서 독창적이다.
    이 연구는 앞에서 말한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헌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먼저 사전류로로는 大淸全書(1683년, 14권14책), 滿漢同文全書(1690년, 8권8책), 同文彙集(1693년序, 4권4책), 新刻淸書全集 (1699년, 5책), 滿漢類書(1700년, 32권8책), 滿漢同文類集(미상, 2권4책), 御製淸文鑑(1708년序, 24권26책), 淸文彙書(1724년, 12권12책)가 있고, 문학텍스트로는 金甁梅(1708년, 40책), 滿漢西廂記(1710년, 4권4책), 三國演義(1722~1735년, 24권48책), 御製飜譯詩經(1768년序, 8권4책, 擇翻聊齋志異(1848년, 24권24책)가 있다. 이 자료들은 연구자들이 지금까지 만주어를 연구하면서 이미 모두 확보한 상태이다. 그 외에 淸語老乞大(1765년序, 8권8책), 三譯總解(1774, 10권10책), 小兒論(1777, 1권1책), 八歲兒 (1777, 1권1책), 同文類解(1748, 2권2책), 漢淸文鑑(1779, 15권15책), 御製增訂淸文鑑(1771년序, 46권48책)은 연구진이 이미 입력해 놓은 자료를 DB로 전환시키는 작업을 한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총 20종 239권 286책에 이르는 만주어 및 만주문학 텍스트를 DB로 구축하는 작업이다.
    이 연구는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취한다. 첫째, 만문 자료(로마자 입력)와 한문 자료의 입력은 유니코드 6.1을 기준으로 구조적 문서로 구축한다. 둘째, 자료 입력을 보조하는 전산적 도구를 제공하여 최대한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구성한다. 셋째, 단순 원문 입력이 아니라 텍스트의 구조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하고 최종결과물은 TEI (Text Encoding Initiative)의 XML 지침을 바탕으로 구조화된 디지털 문서 형태로 변환한다. 넷째, 텍스트 자료는 만한 번역 관계 정보가 드러나 실질적인 의미의 만한 병렬 말뭉치로 기능도록 구성한다. 다섯째 구조화된 문서로 입력된 만주어 어휘 자료를 하나의 사전 DB로 통합한다. 여섯째 텍스트 자료에 대해 어휘색인 DB를 구축하고 사전 DB와 연결하여 만주학 연구자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포괄적인 만주어문 DB로 완성한다.
    이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가 이루어지면, 한국은 만주어문학을 통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허브가 될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만문 문헌을 해독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한어문학, 중국 고전, 번역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滿漢合璧 자료는 한어문학과 만주어문학 연구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국내 만주어학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연구 기간 동안 정기적인 연구집회를 열어 학문후속세대 양성을 도모하고, 만주어 교육과 이 연구를 연계해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