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정신장애인의 낙인의식과 지역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맥락의 효과
The effects of the community context on self-stigma and community integration amo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1016108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민소영
연구수행기관 경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중심전략의 핵심 목표인 지역사회통합과 이를 방해하는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맥락적 변수를 추출하여 지역사회를 유형화한다.
    둘째, 지역사회맥락이 정신장애인의 낙인 의식과 지역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 관계를 규명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도

    첫째, 정신장애인의 낙인의식 및 지역사회통합의 결정 요인을 지역사회맥락 속에서 발굴함으로써, 그 동안 정신장애인 개인이나 시설 중심적 접근으로만 진행되었던 선행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할 것이다. 이는 미시와 메조 및 거시 체계 모두를 포함한 생태학적 접근이 정신보건체계에서 중요하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둘째, 정신장애인이 거주하는 지역사회를 진단하고 유형화함으로써, 지역사회맥락을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를 개발하는 후속 연구들을 자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기존 연구들이 주로 구 단위 수준의 지역사회 지표를 사용했던 방법에서 보다 진일보하여 동단위 수준의 지표를 사용하기 위하여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지역효과에 대해 분석하려는 후속 연구들에게 유용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2) 지역사회정신보건 실천현장에 대한 실천적 함의

    첫째, 지역사회중심의 정신보건전달체계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정신장애에 대한 낙인 감소와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해서는 지역사회맥락적 접근을 통한 개입 전략이 필요함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지역사회맥락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문화와 지역사회 실정에 적합한 지역사회개입 프로그램을 구상하는 데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지역별로 획일적인 프로그램을 세우기보다는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속에서 낙인의식 감소와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운영할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나아가 프로그램의 구체적 개입 방향을 설정하는 데 구체적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지역사회중심전략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정신장애인의 낙인의식을 감소시키고 이들의 지역사회통합을 달성시킬 수 있는 요인을 발굴하여 실효성있는 개입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많은 선행 연구들은 정신장애인의 낙인 의식과 지역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민소영, 2009; 김성용․강상경, 2012; Kennedy, 1989; Lundberg et al., 2007). 이러한 요인들은 크게 정신장애인의 개인적 특성, 시설 및 프로그램 특성, 그리고 지역사회특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민소영, 2009; 김성용․강상경, 2012). 그런데 국내 대부분의 연구들은 주로 정신장애인의 개인적 특성이나 시설 및 프로그램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결정요인을 찾는 반면, 지역사회의 맥락적 특성이 정신장애인의 낙인 의식이나 지역사회통합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는 미흡하다.
    반면,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지역사회정신보건 실천 현장에서는 지역사회개입 전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운영하고 있다. 결국 학문적으로는 이러한 실천 현장의 흐름을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분석해 내지 못한 채, 낙인 의식 감소와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클라이언트 및 시설 차원에서 주로 제시하면서, 지역사회의 맥락적 차원의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개발을 소홀히 다루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신장애인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지역사회 차원에서 규명하는 본 연구가 보다 더 효과적으로 낙인의식 감소와 지역사회통합을 달성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를 마련해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획득이 비교적 수월한 구단위의 자료 외에 다양하게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동단위의 데이터를 새롭게 구축하여 지역사회맥락을 보다 객관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렇게 구축될 구단위와 동단위의 이차행정 자료와 지역거주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수행하게 될 설문조사로부터 획득한 클라이언트 수준의 자료를 병합하여 다수준(multi-level) 자료를 구축한 뒤, 위계적 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l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낙인 의식 및 지역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맥락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특성에 해당되는 다양한 변수들을 동단위로 수집하여 정신장애인이 거주하는 지역사회의 특성을 분석한다. 총 34개(60.7%) 정신보건센터로부터 691명의 정신장애인의 설문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동네무질서는 농촌형이 가장 높고 도농복합형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응집력 척도는 두 종류 모두 농촌형이 가장 높았으며, 도시형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어서 지역사회통합을 살펴보면, 먼저 물리적 통합은 도시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통합과 심리적 통합은 도농복합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낙인은 도시형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농촌형이 낙인감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은 낙인과는 다르게 오히려 도시형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d the community context influencing stigma and community integration. The community context collected data based on the dong-level. 691 persons with mental illness from 34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community disorder was the highest in the rural communities and the lowest in the urban and rural communities. The physical integ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urban communities and social and psychological integ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urban and rural communities. Stigma was the lowest in the urban communities and the highest in the rural communities. discrimination was the highest in urban commun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낙인 의식 및 지역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맥락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특성에 해당되는 다양한 변수들을 중심으로 정신장애인이 거주하는 지역사회의 특성을 분석한다. 56개 정신보건센터 중 총 34개(60.7%) 최종적으로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본 연구의 협조를 허락한 정신보건센터 별로 정신장애인을 약 20-25명씩 선택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691명의 정신장애인의 설문이 분석되었다.
    동네무질서는 농촌형이 가장 높고 도농복합형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응집력 척도는 두 종류 모두 농촌형이 가장 높았으며, 도시형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어서 지역사회통합을 살펴보면, 먼저 물리적 통합은 도시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통합과 심리적 통합은 도농복합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도농복합형과 농촌형이 평균 3.20점으로 도시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 만족도는 도시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농복합형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어서 낙인은 도시형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농촌형이 낙인감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도농복합형인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농촌형인 경우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은 낙인과는 다르게 오히려 도시형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은 도농복합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삶의 질은 도시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증상은 농촌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지역사회맥락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문화와 지역사회 실정에 적합한 지역사회개입 프로그램을 구상하는 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둘째, 무엇보다도 지역별로 획일적인 프로그램을 세우기보다는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속에서 낙인의식 감소와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운영할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다. 나아가 프로그램의 구체적 개입 방향을 설정하는 데 구체적 도움으로 활용할 것이다.
    셋째, 기존 연구들이 주로 구 단위 수준의 지역사회 지표를 사용했던 방법에서 보다 진일보하여 동단위 수준의 지표를 사용하기 위하여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지역효과에 대해 분석하려는 후속 연구들에게 유용한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지역사회통합, 정신장애, 지역사회환경, 낙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