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간접광고의 노출형태가 시각적 주의 및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이트래킹 기법을 활용하여
The effects of PPL's exposure type on the visual attention an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Using eye-tracking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2A01019196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수범
연구수행기관 인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간접광고의 도입으로 광고시장은 활성화를 띄고 있으나 지나친 간접광고에 대한 문제점 및 불만의 목소리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고, 이에 따라 간접광고에 대한 실증적 조사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간접광고는 배치유형과 제시형태에 따라 시청자들이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해 기울이는 주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간접광고는 현재 다섯 단계의 노출수준에 따라 차등적으로 광고비를 책정하고 있다. 간접광고가 등장인물과 관련된 요소로 등장하는 경우와 달리 프로그램 배경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시청자들이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해 주의를 특별하게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기억에 저장되기 어렵다. 각 단계의 노출수준이 시청자의 속성에 따라 광고효과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실증적 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프로그램 내에 삽입되는 간접광고는 프로그램 내에서 여러 차례 반복해서 노출될 수 있는데, 광고비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협찬지원 및 제작지원의 광고효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간접광고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협찬지원 및 제작지원의 효과를 비교하여 검증해 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방송프로그램제작 및 방송광고 관련 산업적 차원과 방송광고심의의 제도적 차원에서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산업적 차원에서 본 연구결과가 간접광고를 실행함에 있어서 광고주차원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접광고 실행방법 모색을 위한 비교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비용대비 광고효과 차원에서 간접광고 노출단계 및 노출반복 등의 실행수준에 따라 간접광고의 주의투여 및 기억 효과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데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간접광고에 대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제재조치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간접광고 도입 이전부터 논의되어왔던 시청권의 침해와 관련해서 수용자의 실제 TV시청행위를 전제로 한 조사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간접광고 제재에 있어서 시청자 차원에서의 반응을 반영하여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간접광고가 활성화되는 상황에서 간접광고의 효과를 실험연구 및 심층면접 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간접광고의 노출수준을 중심으로 제품 및 브랜드의 반복수준 및 제시형태, 유사개념과의 효과 비교 등을 아이트래킹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수용자의 내면 및 심층적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심층면접을 진행하고자 한다. 실험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2012년 한 해 동안 실시된 간접광고 운행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실험연구에 사용될 자극물 구성을 위해 간접광고가 포함 정도를 기준으로 상위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간접광고의 노출수준 및 제시형태 등을 살펴 자극물 구성에 참고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피험자는 성별 및 연령대를 고려하여 구성하고자 한다. 남녀 각 30명, 연령대는 20대, 30대, 40대 각 10명, 총 6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간접광고의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효과를 비교하고, 간접광고 수용자의 속성이 간접광고에 대한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간접광고가 포함된 드라마 및 예능프로그램을 자극물로 구성하고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아이트래커조사 및 설문지조사를 병행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내용과의 조화가 높은 경우 노출된 간접광고의 시각적 주의가 높았으며, 노출크기가 클수록 광고 회상 및 태도 등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자 속성에서는 30대가 간접광고에 대한 시각탐색빈도가 높았다. 또한 간접광고의 노출수준 및 노출크기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방해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PL(Product Placement) as determined by expression type. In order to examine the main effect between the audience's characteristics and visual attention, a mixed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Using the combined eye-tracking and survey method that was conducted with 60 respon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the attitude toward PPL, the level of exposure, and the size of expos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harmony with program content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visual attention. Also, the size of exposure significantly affects on advertising recall and the attitude toward PPL. Another finding reveals that the thirties show visual search toward PPL with high relevance level. However, the awareness of viewing interruption has a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effect on either the level of exposure or the size of expos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간접광고의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효과를 비교하고, 간접광고 수용자의 속성이 간접광고에 대한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간접광고가 포함된 드라마 및 예능프로그램을 자극물로 구성하고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아이트래커조사 및 설문지조사를 병행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내용과의 조화가 높은 경우 노출된 간접광고의 시각적 주의가 높았으며, 노출크기가 클수록 광고 회상 및 태도 등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자 속성에서는 30대가 간접광고에 대한 시각탐색빈도가 높았다. 또한 간접광고의 노출수준 및 노출크기는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방해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우선 산업적 차원에서 본 연구결과가 간접광고를 실행함에 있어서 광고주차원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접광고 실행방법 모색을 위한 비교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비용대비 광고효과 차원에서 간접광고 노출단계 및 노출반복 등의 실행수준에 따라 간접광고의 주의투여 및 기억 효과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데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간접광고에 대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제재조치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간접광고 도입 이전부터 논의되어왔던 시청권의 침해와 관련해서 수용자의 실제 TV시청행위를 전제로 한 조사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간접광고 제재에 있어서 시청자 차원에서의 반응을 반영하여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간접광고, 노출수준, 노출크기, 아이트래킹, 시각적 주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