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자료학]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피해자 귀환관련 자료연구
일본지역 강제동원 피해자 귀환중 해난사고와 귀환정책 관련자료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B4A01044636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2 년 (2013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신진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오영달(충남대학교)
아사노 토요미(中京大學)
김인성(충남대학교)
이동준(고려대학교)
김미경(廣島大學)
윤명숙(강원대학교)
양병창(충남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일제하에서 일본으로 강제동원 되었거나 일본에 체류 중이던 재일한인들의 한반도로의 귀환 과정에서 발생한 해난 사고와 관련된 미국정부, 연합국군총사령관최고사령부(Supreme Commander of the Allied Powers. SCAP 또는 General Headquarters, GHQ), 남조선미군정청(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MGIK) 그리고 일본정부 등의 1차 사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해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 강제동원되었거나, 일자리를 찾아 일본에 체류하고 있던 한인들의 해방후 귀환과정에 발생한 해난 사고로 인해 최소 약 1천명에서 최대 약 8천명이 희생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사고에 대해서는 관련 국가나 기관의 책임이 막중함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 발생했던 해난 사고의 실상은 물론, 관련 자료도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팀은 우선 소재가 밝혀진 자료들을 수집, 분석, 해제하여 학문적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미발굴 자료들을 추가로 수집하여,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은 문제들을 파악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일본과의 외교 협상 및 배상청구소송의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세 가지 세부과제를 설정한다. 1)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된 조선인의 해방후 귀환 중 해난사고 관련 자료 조사, 2) 우키시마호 침몰 진상규명을 위한 자료 조사, 그리고 3) 일본정부와 GHQ의 귀환정책 관련 자료 조사.
  • 기대효과
  • 1)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1945년까지의 강제동원피해를 조사한 한국정부의 활동에 의해, 강제동원 문제를 연구하는 인력이 다수 양성되어 한국근대사를 비롯한 여러 분야의 연구가 상당 부분 진척되었다. 그러나 귀환 과정에 대해서는 공동연구가 충분히 진전되지 못하여 개별 연구에 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에 덧붙여, 미발굴 자료에 대해 추가 수집과 정리 및 DB화를 진행함으로써 귀환 과정에 관한 종합적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2)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응하는 논리적 근거 개발과 활용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 지원위원회가 수행한 진상조사 과정을 통해, 강제동원 귀환 관련 연구는 정부 차원의 조사만으로 해결되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동위원회는 귀환 과정에서 발생한 해난사고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의 자료 제공이 수반되지 않는 한 추가조사를 통해 의미 있는 결론을 내기는 어렵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그러나 학계는 공식적대일 외교 현안의 제약을 받을 수 있는 정부기관 조사와 달리, 다양한 조사 방법을 보다 자유롭게 시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최근 일본 정계의 보수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종군위안부 및 근로정신대 등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에 대해 일부 정치지도자들이 그 실체 및 일본 국가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사례가 있다. 본 연구는 관련 학계에서 지속적으로 전개한 강제동원 피해 연구에 부가하여 귀환 과정에서도 일본 정부의 책임을 부각시킬 역사적 사례와 논리적 근거를 제기함으로써 일본 정계 일각의 역사왜곡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근거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3) 피해자 손해배상청구를 위한 증거 자료로 활용
    아울러 우키시마호 사건으로 대표되는 귀환 과정에서의 각종 해난사고는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대응이 주요 원인으로, 일본정부와 법원은 전후의 혼란한 상황에 기인한 불가항력임을 내세워 면책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귀환자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비공식적 수단을 동원할 수밖에 없었던 직접적인 원인은 당시 일본정부가 귀환 관련 조직과 수단을 체계적으로 갖추지 못한데 있음을 정책문서를 통해 규명하여, 일본정부를 상대로 한 피해자의 소송에 증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 연구요약
  • 일제 강점기에 강제동원된 조선인들의 귀환 과정에서 수천 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고, 피해는 거의 대부분이 해난사고와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정밀한 조사는 대단히 미흡하며, 관련 학술연구 조차도 ‘이끼섬 조선인 사체 표착 사고’와 관련된 연구논문 밖에 없다. 특히 우키시마호와 관련해서는 수천명의 추정 사망자수에도 불구하고 면밀한 조사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으로 강제동원된 조선인의 귀환과정에서 나타난 해난 사고와 관련된 사료와 귀환정책 즉, 당시 연합국군총사령관최고사령부(Supreme Commander of the Allied Powers. SCAP 또는 GHQ)와 남조선미군정청( USMGIK) 그리고 일본정부 등이 생산한 1차 사료, 언론자료, 생존자 구술 조사 등을 통해 모든 자료들을 발굴·수집하고 조사·분석하여 후속 연구와 진상규명에 사용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해제한 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공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된 조선인의 해방후 귀환 중 해난사고 관련 자료 조사, 2) 우키시마호 침몰 진상규명을 위한 자료 조사, 그리고 3) 일본정부와 GHQ의 귀환정책 관련 자료 조사를 추진한다.
    우키시마호 침몰 사건의 개요:
    대일항쟁기에 아오모리[青森]현에 강제동원되었던 약 3,700~12,000명으로 추산되는 조선인들은 일본 해군의 명령에 따라 오미나토[大湊]항에서 부산행 일본 해군 선박인 우키시마호[浮島丸]에 탑승한다. 우키시마호는 1945년 8월 22일 오후 10시경 오미나토항을 출발하여, 1945년 8월 24일 오후 5시 20분 경 교토[京都]부 마이즈루[舞鶴]항 앞바다에서 침몰한다.
    사망자수는 일본정부 주장-524명의 조선인, 목격자들의 주장- 3천~8천 명의 조선인 사망이다. 사고 발생 후 68년이 경과하였으나, 승선인원, 출항이유, 침몰원인, 사망자수 등에 관련된 구체적인 사실은 규명되지 않고 있다.
    기타 주요 해난 사고:
    ● 1945년 9월 17일, 미쓰비시 징용공 246명의 부산행 기범선조난, 승선자 전원실종
    ● 1945년 9월 18일, 조선인 귀환선이 이끼섬 가츠우라[勝浦]만에서 조난, 6명 사망
    ● 1945년 10월 11일, 조선인 귀환선이 이끼섬 아시베[芦辺]만에 조난 사체 168구 발견
    ● 1946년 2월, 쓰시마 츠츠[豆酸] 해안에 조난사고 발생, 조선인사체 30여구 해안에 표착
    연구자료의 수집
    1. 정부자료수집
    가) 일본정부 자료-일본 후생성과 외무성 소재 자료, 국회도서관 자료
    나) 미국정부자료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소재 자료발굴
    2. 언론자료
    가) 일본언론자료수집 - 일본3대 중앙일간지 読売, 朝日, 毎日와 일본 내 조선인 귀환자 집결지로 지정된 博多, 下關, 仙崎, 佐世保, 浦賀, 唐津, 名古屋지역의 언론매체인 西日本 신문, 佐世保時事신문, 中国신문, 合同신문, 神奈川신문, 中部日本신문등의 1945년 8월 15일- 1948년 8월 15일자료
    나) 한국언론자료-조선일보, 동아일보
    3. 아오모리현 근무했던 조선인 해군 군속자 약 3천명-5천명의 명단의 D/B 구축
    4. 사진 및 동영상 자료-미국 NARA 자료, 우키시마관련단체 소장자료, 해난사고 관련기관 소장자료
    5. 해난사고 관련자 면담조사자료
    기대효과
    일본의 패망 이후 혼란기에 발생한 조선인 귀환관련 재난사고들은 역사의 그늘에 가리워져 명확하게 규명되지 못한 억울한 사건들이 많다. 본 연구는 한국과 한일간 역사의 관계를 단절없이 규명하여 한일간 새로운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당시 무능한 정치지도자들로 인해 국권을 박탈당하고, 일본에 까지 끌려와 중노동에 시달리다, 해방후 귀환길에 올랐다 바다에서 수장된 안타까운 우리 선조들의 억울함을 규명하는 연구는 이러한 잘못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부로서 조사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하여는 민간의 학술적 차원에서 규명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하여 상세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