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20세기 한국 관광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구축
Investigation, Acquisition, Analysis and DB Installation of Attractions and Sightseeing in 20th Century Kore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4A01036642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3 년 (2015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삼헌
연구수행기관 건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송민호(홍익대학교)
안남일(고려대학교)
권희주(건국대학교)
도재학
김경리(한국해양대학교)
정광식(한국방송통신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① 20세기 한국의 대표적인 지역과 도시에 얽힌 관광서사 목록 및 원문을 확보한다.
    본 연구는 개화기로부터 일제강점기 사이에 발간된 문헌들에 실린 관광 관련 텍스트를 검토하여 20세기 한국의 대표적인 지역과 도시에 얽힌 관광서사의 목록을 확인하여 확보하는 것을 1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특히 관광의 대상이 되는 공간에 대한 시선의 다층성과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에서 한국어로 생산된 관광 자료뿐만 아니라 개화기와 식민지 시기 내에 조선과 일본에서 생산된 일본어 관광 자료를 망라하여 관광서사가 담겨 있는 기록물의 목록을 확보하고 원문을 확보한다.
    자료조사를 해나가는 데 있어서 한국어 자료의 경우, 문인들이 신문과 잡지에 기고한 기행문과 지역 소개 기사를 최대한 망라하여 그 목록과 원문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어 자료의 경우, 조선총독부와 각 지역에서 󰡔경성부사(京城府史)󰡕, 󰡔전주부사(全州府史)󰡕, 󰡔대구부사(大邱府史)󰡕 등 각 지역에서 ‘부사(府史)’ 형태로 된 지역관련 자료들을 비롯하여 󰡔관광조선󰡕 등을 비롯한 잡지(종합지, 문예지, 전문지)에 실린 지역 관련 기사를 망라하여 수집하고 조선의 관광지에 대한 안내물 형태의 팜플렛 등의 목록과 원문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② 관광지 자료 및 관광서사를 집대성하여 도시별・지역별 관광서사 DB를 구축한다.
    본 연구는 이상의 과정을 통해 확보된 관광지 자료와 관광서사를 디지털화하여 DB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광지 자료와 관광서사는 문자화된 형태의 자료와 지도, 스탬프, 사진 등의 시각적인 이미지 자료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물리적 위치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언어와 형태로 된 자료가 산재되어 있어 그 범위를 한정적으로 제한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이처럼 복잡다단한 관광지 관련 자료들은 숙련된 연구자들에 의해 관광 지역과 관광 목적, 소감, 관광 기념품 등 다양한 카테고리를 통해 정리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구축된 관광지 자료 및 관광서사 DB는 주요 관광지역별, 도시별로 정리되어 관광관련 연구자 및 지방자치단계 관광 관련 행정담당자, 지역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인들 등 누구나 온라인을 통하여 접속하여 자기 지역의 관광서사들의 목록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 관광지 자료 및 관광서사 DB의 활용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마인드맵과 콘셉트맵을 구축한다. 본 연구의 마인드맵과 콘셉트맵은 관광서사 DB와 연동되어 통합 검색을 지원하는 등 DB와 연계된 서비스될 제공할 것이다. 향후 본 연구의 마인드맵과 콘셉트맵은 연구자간의 교류와 학제간 공동 연구를 지원하는 시작점이 되어 새로운 융합 연구를 파생시킬 것이며, 지역과 지역 사이의 이동을 통한 관광루트 개발 등 확장적인 콘텐츠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③ 향후 관광서비스 산업에서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창출에 기여한다.
    관광서비스 산업에 대한 국가적인 문화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다양하고 깊은 수준의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지원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관광서비스 산업에서 문화콘텐츠는 선진 문화 활동의 기반이 되어, 향후에 문화 수출로 대변되는 한류의 새로운 동력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관광지 자료와 관광서사에 대한 조사를 통해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생산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조사연구 및 DB구축을 통하여, 학계에서는 ‘관광’의 학술적인 의미를 재정립하여 수많은 후속연구들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반을 갖고, 지역자치단체에는 현재 관광산업분야에서 부족한 20세기의 관광서사에 원활하게 접근하여 관광의 시선으로 접근한 기존의 많은 관광지 자료를 통해 자기 지역의 공간적인 의미와 가치를 재발견하는 기회로 삼도록 한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지방자치 단체 및 박물관, 다양한 문화 콘텐츠 사업자들이 지역 중심의 관광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기반 자료로 활용되어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개발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지니고 있다.
    1) 학문적 기대효과
    근대 관광지 자료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인 부분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대 관광지에 대한 자료의 현황 및 실물이 확보되고 DB화되어 자료의 체계화 및 분석 작업이 구체적으로 진행되면, 한국 근․현대 문화사는 물론이고 출판문화사, 번역문학사, 비교문화사, 한국 근․현대 지성사, 시각표상 문화사 등에 다각도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일본어로 된 자료는 모두 번역될 예정으로 일본어에 근접이 어려웠던 다양한 분야에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타 학문의 발전 및 연계에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사회적 기대효과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및 관광관련 사업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DB는 도시별, 지역별로 정리되어 각 지역의 관광 정책을 수립하고자 하는 담당자들이 곧바로 자신의 지역에 어떤 관광자료와 관광서사들이 존재했는가 하는 것을 확인하여 자기 지역의 관광 정책 수립에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는 또한 일반 시민들에게 동영상 및 시각이미지, 텍스트로도 제공될 수 있어 한국관광지에 대한 폭넓은 이해의 장과 우리 국토에 대한 관심을 환기한다는 측면에서 사회에 기여하는 역할을 지대할 것으로 사료된다.

    3) 교육적 기대효과
    ① 대학 교육과정
    대학 내에서도 융복합 수업이 점차 개설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성과는 관광학과, 지리학과, 국문학과, 일문학과 및 교육 공학과 컴퓨터학과까지 대학 전공 및 교양 수업에 대한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화콘텐츠로서의 활용방안을 접목하여 학과간 융복합 수업을 개설할 수 있어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② 초ㆍ중등 교과 과정
    우리의 국토를 바르게 이해하고 관심을 환기하는데 이용가능하다. 지역별로 안고 있는 역사성과 문화유산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할 것인지를 스마트기기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우리의 문화를 좀 더 풍성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4) DB 활용적 측면의 기대효과
    ① 마인드 맵을 활용한 관광사서 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원본 자료를 제공된다.
    복원과 발굴로 구축된 자료집과 관광서사 DB는 도시 중심의 관광자료를 검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광서사 학술 연구자들의 연구 자료 접근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관광서사 원본 자료는 기존의 종이 자료가 지니지 못한 자료 접근의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서 새로운 자료 축적의 성과로서 다양한 활용 가치를 지닌다. 특히, 마인드 맵을 활용한 관광서사 검색은 연구자들에게 풍족한 검색 결과를 줄 것이고, 이를 통해 학술 자료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② 도시별・지역별 관광 콘텐츠의 구조와 관광 지형도를 파악할 수 있다.
    20세기 한국의 관광서사를 수집, 정리하고 새롭게 발굴한 자료를 통해 기존의 관광서사를 보완함으로써 시대별・도시별・관광 특성별의 관광 지형도를 새롭게 그릴 수 있다. 특히, 마인드 맵을 활용한 DB를 검색하게 되면, 연관된 시대별 관광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대별, 관광 분류별 등의 학술 자료를 다각도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것을 토대로 시대별 관광 지형도를 새롭게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③ 컨셉트 맵을 기반으로 개별 학술 연구자들의 융합 연구 접근이 수월해진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셉트 맵을 활용한 관광서사 DB는 관련한 정보의 다층적 DB와 연계될 뿐만 아니라 연구 주제 및 연구 방향성을 기반으로 하는 검색이 가능하다. 따라서 텍스트, 간행물, 발행 지역, 도시 등의 다양한 항목에 융합적인 검색을 가능하게 해주면, 기존의 학술 연구 자료간의 관계를 구축하고 연관 컨셉트(주제 관계)를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학술 연구자간의 융합 연구나 학제간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① 언어적 경계를 넘어서서 한국의 관광서사를 집대성
    본 연구는 국내에서 국내 문인들의 시선을 통해 기록되고 생산된 관광서사에 그치지 않고 국외, 특히 식민지 시기 일본을 통해 적극적으로 생산된 한국의 관광서사를 망라하는 초유의 기획으로서 의미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행 관광지 자료 및 관광서사 연구의 문제점을 이해하고 관광이라는 개념의 형성에는 필연적으로 외부의 시선이 도입되어야만 한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식민지시기 내내 한국을 다양한 관광의 시선으로 바라보았던 일본인들이 생산해낸 새로운 자료들의 목록과 원문을 집대성하고 번역해 이를 DB화하여 해당 지역의 공간 이해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관광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도록 도모하는 연구이다.
    ② 문자화된 텍스트만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적인 이미지를 함께 다루는 탈매체적 성격
    본 연구에서는 당시 사람들의 관광서사 속에 녹아 있는 구체적인 실감을 가진 경험들을 추적하기 위해서 잡지나 단행본 등에 실린 기행문, 감상문 중심의 활자화된 텍스트를 다룰 뿐만 아니라 지도, 사진, 스탬프 등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모으고 이를 집적하여 DB에 축적한다. 관광에 있어서 실제 관광객의 활자화된 소감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과거를 실제 감각을 통해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화된 자료들이다. 본 연구는 특정한 매체에 국한된 협소성을 띤 연구가 아니라 관광의 시선을 통해 보다 생생하게 살아 있는 공간을 재발견하고자 하는 성격의 연구이다.
    ③ 마인드맵(mind map) 및 콘셉트맵(concept map)을 기반으로 관광지 자료 및 관광서사 DB 구축
    본 연구는 개화기에서부터 일제강점기까지 한국어와 일본어로 된 관광지 자료 및 관광서사의 원자료(raw data)를 수집․정리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자료집의 발간 같이 단지 자료의 수량을 집적하는 데 머물러 있는 기존 연구의 수준을 넘어서는 확장성을 가진 연구이다. 마인드맵은 연구자의 주제와 방향에 대한 관점을 나무뿌리처럼 확장해줄 수 있다면, 콘셉트맵은 연구자의 연구 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생각을 나열하고 이들에 대한 관계를 의미론적으로 맺어줄 수 있다. 마인드맵을 통해 연구자의 연구 방향과 연구 주제에 대한 정리와 분석을 가능하게 해주면서 이에 따른 관광서사 자료의 검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원본 데이터에 대한 횡적 구조와 종적 검색을 총괄할 수 있는 입체적이며 효율적인 DB가 구축될 수 있는 것이다.
    ④ 지역자치단체의 실무와 연관되어 스마트 관광 서비스로 발전될 수 있는 전초적 성격
    본 연구는 또한 지금까지 이루어진 어떤 토대연구 성과물들보다도 현행 지역자치단체의 관광 업무에 즉각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DB는 도시별, 지역별로 정리되어 각 지역의 관광 정책을 수립하고자 하는 담당자들이 곧바로 자신의 지역에 어떤 관광자료와 관광서사들이 존재했는가 하는 것을 확인하여 자기 지역의 관광 정책 수립에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⑤ 누구나 손쉽게 접근 가능한 스마트 관광서사 서비스의 제공 가능
    유비쿼터스 환경을 기반으로 한 이동통신 기술과 이동단말기 기술이 발달하여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문화콘텐츠에 접근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문화 활동이 가능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관광사서 자료 서비스도 다양한 장소에서 누구나 접근하여 원하는 관광사서 자료 콘텐츠를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광서사 색인어와 분류 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관광서사 DB를 구축한다. 그리고 전자책 또는 디지털 교과서와 연계하여 학교 교육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관광사서 DB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관광서사 원문 자료를 제공하는 관광서사 DB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관광서사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멀티미디어 관광서사 콘텐츠를 통해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웹서비스를 기반으로 동영상-텍스트-이미지의 복합적인 관광서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PC, 스마트폰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관광서사 서비스는 일반인들도 쉽게 높은 수준의 관광서사 자료에 접근함으로써 국민적 문화 서비스 수준을 높일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20세기 한국 관광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구축”을 목표로 하는 과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세 가지의 세부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료 수집 측면에서 1890년에서 1945년까지 생산된 한국의 여러 관광 관련 콘텐츠를 포함한 자료의 원문과 번역문 또는 입력문을 확보한다. 둘째, DB 구축 측면에서 종합된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정보 활용 측면에서 본 연구의 성과를 통해 관광 산업의 증진에 필요한 관광・문화 콘텐츠의 개발과 확산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로 된 단행본, 신문, 잡지, 사진첩, 엽서, 팸플릿, 광고 등의 다양한 자료에서 당시 관광지 자료를 종합적으로 확보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체계적인 연구 수행을 위해, ① 자료 수집, ② 자료 목록/원문 정제, ③ 원문 입력 및 번역, ④ 원본 재확보 및 보정, ⑤ 핵심 정보 및 키워드 추출, ⑥ DB 구축의 여섯 단계에 걸친 연구방법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약 7천 건에 달하는 관광지 자료의 방대한 DB를 구축하였다.

    각 단계별로 이루어진 작업을 개관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 수집과 관련해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자료 발굴에 노력을 기울여 한국어 자료와 일본어 자료 모두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귀중・희귀 자료를 확보하였다. 특히 사진첩과 팸플릿에서 새로운 자료를 다수 확보하였다.
    둘째, 자료 목록/원문 정제 단계에서는 방대하게 수집된 자료의 목록을 정리하고 확보된 원문을 PDF 형식의 파일로 확보하였다. 장시간 다수의 인력을 투입하여 수행한 이 과정은 “① 원문 확보, ② 광역지명별 파일 분류, ③ 내용 검토, ④ 일관된 파일명 부여” 등의 체계화된 절차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질적으로 우수한 결과물을 확보하였다.
    셋째, 계획 이상의 원문 입력 및 번역 성과를 얻었다. 텍스트의 양이 방대한 단행본도 중요도를 평가하여 번역 및 입력을 수행하였다. 잡지와 신문 기사, 팸플릿 등 다양한 자료의 원문과 번역문을 입력하였다. 또한 연구원별 윤독과 교차 검증을 통해 오기와 어색한 부분을 바로 잡는 등 결과물의 정밀화를 꾀하였다.
    넷째, 원본 재확보 및 보정 작업을 통해 결과물의 질을 향상하였다. 기존에 확보된 자료가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운 정도로 질이 좋지 못한 경우 다른 원문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일부 경우에는 보정을 통해 원문의 식별도를 높였다.
    다섯째, 모든 자료에서 핵심 정보 및 키워드를 추출하고 엑셀 형식의 데이터테이블에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여섯째, DB 구축은 DB의 관리와 확대가 용이하도록 설계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양적・질적으로 우수한 DB를 구축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팀은 3년 동안 충실하게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방대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 체계화된 연구 방법의 확립을 통해 관광서사 DB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다.
  • 영문
  • This research project aims to collect comprehensive data on Korean tourism in the 20th century, to investigate each one of them thoroughly, and to build a DB based on thes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regard, three particular goals were set up. The first goal is to gather the original texts, the translations of Japanese materials, the input texts of Korean materials containing the contents about Korean tourism from 1890 to 1945. The second goal is to organize the resources systematically so that the people can make full use of them. The third goal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tourism contents which is necessary to promote the tourism industry.
    In this research, various materials such as books, newspapers, popular magazines, photograph albums, postcards, pamphlets, advertisements were collected syntheticall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roject, the six-stage research method was established; ①to gather the data, ②to pick out the proper data, ③to translate and input the original texts, ④to recollect or enhance the originals, ⑤to extract the primary information and key-words, ⑥to construct the DB. As the result, an extensive DB was constructed containing about 7,000 data.
    Below are the tasks by each stage.
    In the first stage, with the consistent effort to find unknown materials, a number of precious rare items were obtained.
    In the second stage, the list of vast data were arranged and the originals were converted into PDF documents. A lot of manpower worked long hours for this stage, and the four processes are as follows; ①to scan the originals, ②to classify to files by the regional groups, ③to review the contents, ④to name the files consistently. In consequence, the worthy outcome was created.
    In the third stage, translation or input of the originals was conducted more than expected. These covered not only bulky books, but also magazine articles, newspapers, pamphlets etc.. Furthermore, the outcomes got more precise by correcting the typos and the awkward parts through researchers’ reading by turns and cross-validation.
    In the fourth stage, to recollect or enhance the originals made the results better. If the originals were not in good enough condition to read, the efforts to find another copy from different routes and to improve image quality were carried out.
    In the fifth stage, primary information and key-words were organized in a spreadsheet(MS excel format).
    In the sixth stage, the DB was designed in order to manage and extend easily, resultingly the high-quality DB could be constructed.
    As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team devoted best efforts to the project for 3 years, and successfully built the DB through establishing the systemic metho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20세기 한국의 관광지 자료를 조사, 수집하고 DB로 구축한 과제이다. 자료 조사 측면에서, 1890년에서 1945년까지 한국어 및 일본어로 생산된 한국의 여러 관광 관련 콘텐츠를 포함한 단행본, 사진첩, 신문, 엽서, 잡지, 팸플릿 등 다양한 자료의 원문, 번역문, 입력문을 확보하였다. DB 구축 측면에서, 자료와 관련된 핵심 정보 및 키워드를 입력하여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핵심 정보로는 광역지명, 세부지명, 자료의 형태, 자료의 명칭, 내용, 발행연도, 저자, 발행처, 제목 등을, 자료 관련 정보로는 교통, 숙소, 볼거리, 먹거리, 특산품 등을, 주요 및 관련 키워드로는 자료의 성격을 잘 드러내주는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사회적, 교육적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학문적으로 지역성(locality)과 관광(tourism)을 접목시키고 새로운 차원의 담론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성과를 통해 다양한 관광 자료를 손쉽게 검색,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학술 연구자들의 자료접근성을 대폭 확대, 강화하여 효과적인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모든 자료는 자료의 유형별, 지역별, 시기별, 저자별 분류가 되어 있어 다양한 특성에 따라 관광의 지형도를 새로이 파악,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성과는 비단 관광학이라는 좁은 학문 분야에만 활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지리학, 역사학, 사회학, 국문학, 일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있기 때문에 학제 간 융합적 연구의 토대가 된다.
    둘째, 사회적으로 지역 관광 내러티브를 재발견하고 다양한 관광 상품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관광 관련 정책과 사업을 담당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지역에서 어떤 관광 서사들이 존재해 왔고, 어떤 관광 자료들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 시민들에게 제공되는 텍스트와 이미지 자료들은 한국 각지의 관광지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가질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 우리 국토에 대한 관심을 환시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셋째, 교육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집대성된 자료들은 무엇보다 학생들이 우리 국토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지역별로 특유하게 가지고 있는 역사성과 문화유산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고민함으로써 우리의 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의 DB는 전자책이나 디지털교과서와 연계하여 학교 교육에서도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곧 수업 자료의 양적・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관광, 여가, 식민주의, 탈식민주의, 제국, 서사, 도시, 농촌, 문화적 혼종성, 지역, 철도, 표상, 마인드맵, 콘셉트맵, 콘텐츠
  • 이 연구과제의 신청시 심사신청분야(최대 3순위까지 신청 가능)
  • 1순위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