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ICT로 인한 일과 공간의 변화 : 행태, 디자인, 시스템에 대한 연구
Change of Space and Work due to the development of ICT: Study on Behavior, Design and Syste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6037280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임규건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강상욱(상명대학교)
이정우(연세대학교)
김우주(연세대학교)
임미화(단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근래 ICT의 발달로 인하여 개인 뿐만 아니라 현대의 기업이나 조직은 일하는 방식 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에 급진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정보화가 일의 공간과 삶의 공간을 모두 그 근본부터 변화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삶의 질에 관한 연구는 “일 공간”의 정보화와 “삶의 공간”의 정보화를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융합적인 접근방법을 필요로 하는 바 경영학, 경영정보학, 경영공학, 부동산학, 시스템학, 컨퓨터학, 정보보호학, 지능형기술 등의 다양한 사회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연구들을 취합하고 새롭게 만드는 심화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스마트워크에 관한 연구들은 일단 많지도 않지만 관련 연구들까지 범위를 넓혀서 문헌 조사를 해보아도 주로 기술결정론적인 관점에서만 접근하여 기술개발을 하거나 특정한 분야의 시각에서만 조망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각 분야의 전문성에 기초를 두고 있기는 하지만 보다 넓은 시작에서 사회과학의 전반에 걸친 연구의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결과나 분석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기존에 수행되었던 사회학에서의 정보사회연구, 경영학에서의 기술지식 정보 경영, 부동산학에서의 공간과 도시 연구, 행정학에서의 전자정부와 스마트시티와 관련한 연구, 공학에서의 시스템과 기술에 대한 연구들의 성과를 cross-disciplinar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를 근저로 하여 다학문적인 시각에서 접근하는 학제 간 협력 분석의 틀을 유지하면서 앞으로의 학술적 실무적 방향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참여자 각자가 스마트 공간과 스마트워크와 관련한 행태, 디자인, 시스템의 세부 연구영역을 겹쳐서 맡아서 연구해 나가는 구조로서 융합과 협업을 통한 새로운 분야의 개척을 시도해 나간다. 이를 위해서 주기적인 연구 협의와 2차에 걸친 세미나 및 토론회를 개최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새싹형으로 진화하기 위하여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기관 및 국제 협력 대학과 기관과의 국내외적 인력 양성과 네트워킹을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앞으로 나타난 일과 삶의 변화는 인간행태, 공간디자인, ICT시스템이 총체적으로 융합되어 구성되는 현실의 문제이어서 학제간, 분야간 상호 공동연구와 방법론 및 결과의 피드백과 연계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분야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래형 융합 연구를 위한 아젠다를 도출할 근거의 마련을 위해서 문헌조사, 사례연구, 패널토론을 통해서 학술적, 실무적 연구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고 세부 과제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도화 되고 있는 ICT와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스마트워크와 스마트 공간에 대한 융합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스마트 사회로의 발전에 대한 준비 및 선도 연구를 유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스마트워크, “일”의 변화에 대한 학술적·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프레임워크 도출과 스마트 사회에서의 “공간”에 대한 의미 분석의 융합연구이다. 스마트한 환경으로의 변화는 기업, 개인, 사회의 변화일 것이다. 이것은 각각 기업은 스마트 업무, 개인은 스마트 주거, 그리고 사회는 스마트 도시, 더 나아가 스마트 사회를 구성하게 된다. 이 3부분에 대해서 시간과 공간, 그리고 프로세스의 변화에 따른 개인, 기업, 사회의 행태적, 그리고 그 설계나 구성을 위한 디자인, 그리고 기술적인 시스템 관점에서 융복합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스마트워크와 스마트 공간, 그리고 스마트 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토대 구축 스마트워크와 일과 공간의 변화,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관련 ICT 시스템의 삶의 질에 대한 이론적ㆍ실천적 연구와 학제 간 상호 교류를 통해 축적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사회과학 연구 경쟁력을 향상 시키는 학술적 기여를 할 수 있는 연구들을 유발할 수 있는 씨앗이 될 것이다. 또한 스마트워크 및 공간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체계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사회 실천적인 기여의 근간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장기적으로 연구자의 국제 교류와 새싹형 성장을 통해 한국적 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학문적ㆍ실무적 연구 성과를 다른 선진국가의 연구진과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스마트워크, 스마트 공간, 스마트시스템에 대한 학제 간 연구의 활성화 이제까지 스마트워크와 관련한 연구들은 재택근무에 적합한 가구 디자인이나 도시 환경, 여성이나 장애인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어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최근 관심이 증가하면서 보안 기술이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 제안 연구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대부분 공급자 중심으로 구성되어 공학, 또는 행정학 분야에 치우쳐져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제 ICT의 발달과 함께 도래한 융합의 시대를 맞이하여 다학제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워크와 스마트 공간에 대한 연구는 정보학, 경영학, 부동산학과 같은 경영, 경제 분야와 정보시스템, IOT, 정보보호, 지능형 기술 등 공학 계열, 그리고 도시설계, 개발 등 사회과학의 융합형 학문 분야에서 수행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본다. 스마트워크는 현재의 단순한 근무형태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일의 변화를 초래하여 삶의 질이 변화시키는 사회변동 측면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과학의 각 분야 간의 학제 간 연구가 필수적이며,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행정학, 정책학, 경영학 및 심리학, 인문학의 방법론과 공학 이론의 통섭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3) 스마트 공간의 분석 및 디자인 제시 본 연구는 ICT발달로 인한 스마트워크의 발전이 시스템적인 발전뿐 아니라 우리 생활공간에 있어 주거공간과 도시공간구조에 있어 다차원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에 대해서 연구한다. 뿐만 아니라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근로인구수의 감소시대에 있어 여성이나 은퇴가구주와 같은 우수인력을 재택근무 등과 같은 스마트워크를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게 함으로서 사회적 부가가치가 증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아직까지 미흡한 우리나라 ICT관련 공간 디자인 연구에 기여할 뿐 아니라 여성의 사회진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다가올 저출산·고령화시대에 국가경쟁력확보를 위해 지금부터 스마크워크의 활성화를 위한 공간 디자인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제도적 정비의 필요성을 보여줄 것이다. 4) 스마트워크에 대한 소셜인포메틱스 관점의 대응방안 제시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를 통해 앞으로 다가올 스마트 사회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스마트워크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개인, 조직, 사회 차원에서 업무와 기술이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변화하는 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사회에 대한 종합적인 예측의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으며,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국내, 국제 협력 연구 스마트 기술 선도국가인 우리나라가 전자정부, u-City등의 성과들과 함께 대표적인 ICT융합을 활용하는 개념적, 실증적인 연구를 런칭하고 연구센터를 만들어 국제 학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현재 한양대학교에서는 혁신비즈니스모델연구센터에서 혁신적인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며 연세대학교에는 이러한 연구를 위한 연구센터로서 Center for Work Science가 설립되어 있는 상황이고 국내에서도 정보사회연구센터나 스마트사회위험연구센터 등, 관련 연구조직들이 발족을 하고 있으며 공공에서도 스마트워크센터들이 만들어지고 있고 비즈니스허브나 co-work 시설 등, 사설 센터들도 만들어 지고 있다. 정보사회진흥원에도 스마트워크연구팀이 만들어졌고 KT에서도 스마트워크를 추진하고 있다. 이외의 포럼과 연구회와도 연계가 되어 있다. 본 토픽과 관련해서 국제적으로 현재 협력 관계에 있는 기관들로서는 독일 University of Munster의 Smart Work Research Center, 네덜란드 Aarhus University, Alexandra Institute, New Ways of Working Lab, 미국 Albany University, Center for Technology in Government, 덴마크 Copenhagen Business School의 Professor Kim Norman Andersen 등 기관들이 있는데 이들과의 협력을 주도해나가고자 한다.
  • 연구요약
  • 스마트한 환경으로의 변화는 기업, 개인, 사회의 변화일 것이다. 이것은 각각 기업은 스마트 업무, 개인은 스마트 주거, 그리고 사회는 스마트 도시, 더 나아가 스마트 사회를 구성하게 된다. 이 3부분에 대해서 시간과 공간, 그리고 프로세스의 변화에 따른 개인, 기업, 사회의 행태적, 그리고 그 설계나 구성을 위한 디자인, 그리고 기술적인 시스템 관점에서 융복합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씨앗단계에서는 “스마트워크(Smart Work) 와 스마트 공간(Smart Space)”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을 정립하고 기술의 활용과 업무의 변화, 시간과 공간에 따른 협업 스타일의 변화, 그리고 개인의 일과 삶의 균형, 조직 차원의 성과 중심 관리와 조직 학습 등의 세부 주제를 융합형 합동연구를 시도한다. 새싹단계에서는 스마트워크와 공간에 대한 기본 연구를 토대로 “스마트 사회(Smart Society)”의 변화를 연구한다. 개인의 삶을 포괄하는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 제도 및 정부의 역할 등으로 연구 범위 및 규모를 확대하여 수행한다. 문화, 교육 등의 사회과학 타분야와 융합한 형태로서, 스마트 시대의 일과 삶에 대한 국제적인 협동 연구를 선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제는 “ICT로 인한 일과 공간의 변화: 행태, 디자인, 시스템의 연구”이다. 정보화에 따라 개인의 삶과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스마트 지식사회로의 전이 과정을 ‘스마트워크와 공간’을 키워드로 연구하여 그 의미와 미래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세부주제로 스마트워크와 관련한 국내ㆍ외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스마트워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관점들을 Time, Space, Process, Technology(System), People, Organization 로 도출하였다. 여기 여섯 가지의 관점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어서, 스마트 지식 사회로 발전함에 따라 지식 근로, 또는 창의 근로와 같은 과업과 업무의 변화가 수반될 것이고, 이러한 변화의 근간에는 이를 지원하여 주는 ICT기술의 단계적 발달과 수용이 있을 것이다. 또한 이렇게 변화되는 과업과 업무의 상황과 관련해서는 시간의 자율성과 공간의 유연성이 스마트워크의 대표적인 속성으로 제기되고 있었다. 아울러서 스마트워크를 수행하는 근로자 개인의 특성이나 성향, 더 나아가서는 업무수행방법의 수용과 만족 등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고, 혼자서 일을 하는 것이 아니고 조직과 구조 하에서 과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조직과 관련한 변수들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는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한 삶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규범적인 연구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융합연구가 진행되도록 각 연구원들이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차원들을 복합적으로 연계하여 맡아서 문헌과 이론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첫째, Space & Time – 시간과 공간의 유연성, 시간과 공간 패러다임의 변화. 둘째, Process & Technology(System) – 정보통신 기술로 인한 과업 및 업무의 변화와 업무의 시각에서 보는 기술. 세째, People & Organization – 스마트워크를 위한 사람과 조직, 그리고 사람과 조직을 위한 스마트워크. 이들을 유기적으로 진행이 될수록 실증과 사례, 그리고 국제협력에 있어서는 맡은 차원에 관계없이 공동으로 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씨앗 단계에는 스마트공간과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용어를 정의하고 개념을 정립한다. 이는 본 연구과제 제안을 위해 사전적으로 수집된 국내ㆍ외 문헌 6,000여건을 중심으로, 개별 연구자의 연구 분야에서 스마트워크 와 스마트 공간과 관련된 재택근무, 유연근무, 원격근무, 그리고 근로자의 삶과 일의 균형, 조직 생산성 향상, 성과 중심 주의 등의 다양한 키워드에 대한 기존 문헌 분석을 통해 수행한다. 주요 연구 방법으로는 체계적인 문헌 연구(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메타 에스노그라피/분석(Meta Ethnography/Analysis) 방법론을 활용한다. 지금까지 연구된 학술 결과들로부터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를 통해 일의 변화상에 대하여 업무와 기술 관점, 시간과 공간의 유연성에 따른 협업 스타일 관점, 그리고 개인 삶의 질과 조직 성과 주의 관점 등을 행태, 디자인, 시스템 세 가지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의 일과 삶의 공간, 그리고 시간의 관리를 비롯한 사회적 제도가 근본부터 변화되고 있다. 앞으로의 ICT근간의 사회를 준비하는 의미에서 우리의 일과 삶에 관한 연구는“일 공간”의 정보화와 “삶의 공간”의 정보화를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기업, 개인, 사회의 변화에 따른 기술에 따른 시간과 공간, 그리고 프로세스의 변화에 따른 개인, 기업, 사회의 행태적, 그리고 그 설계나 구성을 위한 디자인, 그리고 기술적인 시스템 관점에서 융복합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씨앗단계에서는 “스마트워크(Smart Work) 와 스마트 공간(Smart Space)”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고 기술의 활용과 업무의 변화, 시간과 공간에 따른 협업 스타일의 변화, 그리고 개인과 조직의 일과 삶의 균형 등의 융합형 연구를 시도하였다. 특히 씨앗형 과제에서 미래형 연구로서의 싹을 틔워나갈 수 있는 아젠다를 발굴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심층적으로 그 가능성을 확인하면서 실제 사회문제와의 연관성을 확보하는 의미에서 사회 각계와 연계를 하고 국제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 경영학, 정보경영학, 도시개발학, 지능형정보기술 공학, 컴퓨터 및 정보보호학의 서로 다른 연구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모여 융합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계획에서 개념정립과 문헌 연구 및 향후 발전된 연구를 위한 아젠다 도출, 그리고 세미나 1회이상 등을 개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계획에 대비하여 새싹연구로 발돋움하기 위하여 노력하여 더 심도 깊고 다양한 융합 합동연구를 수행하고 최대한의 성과를 내었다. 본 연구팀의 추진 실적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 연구재단 KCI 등재지에 3편의 논문을 사사를 달아 등재 (계획 0개 -> 실적 3개)
    - 또한, 국외 2편, 국내 7편을 등 총 9편을 학술대회에 게재 또는 발표. (계획 0개 -> 실적 9개)
    - 자체 융합연구 세미나 개최 뿐만아니라 한국경영과학회, 한국IT서비스학회, 한국서비스사시언스학회, PACIS2016 등에서 특별세션을 구성하여 운영(계획 1개 -> 실적 5개)
    - 융합연구 성과발표회에서는 우수사례로서 발표
    - 협의회, 성과발표회, 융합연구총괄센터의 인문학세미나, 술술세미나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및 발표
    - 세계경영정보학회(AIS: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의 국제워크샵인 CNow(International Workshop on Changing Natures of Work) 워크샵 구성 및 Chair 활동

    본 연구의 주제가 미래로 나아가는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에 관한 연구라는 점에 모두 동의하고 있고 이를 위한 적극적인 연구참여를 씨앗단계부터 활동하여 왔으며 이를 통해 새싹연구의 틀을 구축하고자 한다.
  • 영문
  • The social system, including the work and life space and time managemen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is changing fundamentally. In order to prepare future ICT societies, research on our work and life needs to consider the informationization of "work space" and informatization of "space of life"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tudy the complexity of individual, corporate, and social behaviors in terms of time, space, and process according to information technology.
     At the seed stage of this study, theoretical review of "Smart Work" and "Smart Space" will be carried out. The changes will be made through the use of technology and change of work, the change of collaboration style according to time and space, And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In particular, we focused on identifying agendas that can sprout as future research in seed-type projects. This will enable us to link up with society and establish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sense of securing relevance to actual social problems while confirming the possibility in depth.
     Researchers who have different backgrounds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rban development,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computer and information have gathered and conducted fusion research. In the initial plan of this study, we tried to organize the concept, draw out the agenda for future research, and hold one seminar. In preparation for such a plan, we strived to develop into a bud research, conducted a deeper and diverse fusion research, and achieved the good achievement. The achievements of this research team are summarized as follows.
    - Registered three research papers on the KCI List of the Research Foundation (0 plans -> 3 papers)
    - In addition, a total of 9 papers including 2 international papers and 7 national papers are published or presented at conferences. (0 plans -> 9 results)
    - Organized and operated a special session not only for the self-convergence research seminar but also for the Korean Management Science Society, Korea IT Services Society, Korean Service Society and PACIS2016 (1 plan -> 5 performances)
    - Presented as a best case in the presentation of fusion research results
    - Participate actively in councils, performance presentations, seminars on humanities, and seminars in fusion research centers
    - Organized workshop and chair activity of CNow (International Workshop on Changing Natures of Work), an international workshop of the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AIS)

       We agree that the theme of this research is the study of fundamental changes in our society that is moving toward the future. We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from the seed stage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research on sprou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의 일과 삶의 공간, 그리고 시간의 관리를 비롯한 사회적 제도가 근본부터 변화되고 있다. 앞으로의 ICT근간의 사회를 준비하는 의미에서 우리의 일과 삶에 관한 연구는“일 공간”의 정보화와 “삶의 공간”의 정보화를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기업, 개인, 사회의 변화에 따른 기술에 따른 시간과 공간, 그리고 프로세스의 변화에 따른 개인, 기업, 사회의 행태적, 그리고 그 설계나 구성을 위한 디자인, 그리고 기술적인 시스템 관점에서 융복합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씨앗단계에서는 “스마트워크(Smart Work) 와 스마트 공간(Smart Space)”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고 기술의 활용과 업무의 변화, 시간과 공간에 따른 협업 스타일의 변화, 그리고 개인과 조직의 일과 삶의 균형 등의 융합형 연구를 시도하였다. 특히 씨앗형 과제에서 미래형 연구로서의 싹을 틔워나갈 수 있는 아젠다를 발굴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심층적으로 그 가능성을 확인하면서 실제 사회문제와의 연관성을 확보하는 의미에서 사회 각계와 연계를 하고 국제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 경영학, 정보경영학, 도시개발학, 지능형정보기술 공학, 컴퓨터 및 정보보호학의 서로 다른 연구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이 모여 융합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계획에서 개념정립과 문헌 연구 및 향후 발전된 연구를 위한 아젠다 도출, 그리고 세미나 1회이상 등을 개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계획에 대비하여 새싹연구로 발돋움하기 위하여 노력하여 더 심도 깊고 다양한 융합 합동연구를 수행하고 최대한의 성과를 내었다. 본 연구팀의 추진 실적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 연구재단 KCI 등재지에 3편의 논문을 사사를 달아 등재 (계획 0개 -> 실적 3개)
    - 또한, 국외 2편, 국내 7편을 등 총 9편을 학술대회에 게재 또는 발표. (계획 0개 -> 실적 9개)
    - 자체 융합연구 세미나 개최 뿐만아니라 한국경영과학회, 한국IT서비스학회, 한국서비스사시언스학회, PACIS2016 등에서 특별세션을 구성하여 운영(계획 1개 -> 실적 5개)
    - 융합연구 성과발표회에서는 우수사례로서 발표
    - 협의회, 성과발표회, 융합연구총괄센터의 인문학세미나, 술술세미나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및 발표
    - 세계경영정보학회(AIS: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의 국제워크샵인 CNow(International Workshop on Changing Natures of Work) 워크샵 구성 및 Chair 활동

    본 연구의 주제가 미래로 나아가는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에 관한 연구라는 점에 모두 동의하고 있고 이를 위한 적극적인 연구참여를 씨앗단계부터 활동하여 왔으며 이를 통해 새싹연구의 틀을 구축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스마트워크와 스마트 공간, 그리고 스마트 시스템에 대한 학문적/이론적 토대 구축
    스마트워크와 일과 공간의 변화,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관련 ICT 시스템의 삶의 질에 대한 이론적ㆍ실천적 연구와 학제 간 상호 교류를 통해 축적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사회과학 연구 경쟁력을 향상 시키는 학술적 기여를 할 수 있는 연구들을 유발할 수 있는 씨앗이 될 것이다. 또한 스마트워크 및 공간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체계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사회 실천적인 기여의 근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연구자의 국제 교류와 새싹형 성장을 통해 한국적 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학문적ㆍ실무적 연구 성과를 다른 선진국가의 연구진과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스마트워크, 스마트 공간, 스마트시스템에 대한 학제 간 연구의 활성화
    이제 ICT의 발달과 함께 도래한 융합의 시대를 맞이하여 다학제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워크와 스마트 공간에 대한 연구는 정보학, 경영학, 도시부동산학과 같은 경영, 경제 분야와 정보시스템, IOT, 정보보호, 지능형 기술 등 공학 계열, 그리고 도시설계, 개발 등 사회과학 및 제도와 법학의 융합형 학문 분야에서 수행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본다. 스마트워크는 현재의 단순한 근무형태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일의 변화를 초래하여 삶의 질이 변화시키는 사회변동 측면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과학의 각 분야 간의 학제 간 연구가 필수적이며,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법학, 행정학, 정책학, 경영학 및 심리학, 인문학의 방법론과 공학 이론의 통섭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3) 스마트 공간의 분석 및 디자인 제시
    본 연구는 ICT발달로 인한 스마트워크의 발전이 시스템적인 발전뿐 아니라 우리 생활공간에 있어 생활공간과 도시공간구조에 있어 다차원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에 대해서 연구한다. 뿐만 아니라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근로인구수의 감소시대에 있어 여성이나 은퇴가구주와 같은 우수인력을 재택근무 등과 같은 스마트워크를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게 함으로서 사회적 부가가치가 증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아직까지 미흡한 우리나라 ICT관련 공간 디자인 연구에 기여할 뿐 아니라 여성, 은퇴자와 같은 유휴인력의 사회진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물류산업의 발달과 같은 새로운 산업의 성장과 이로 인한 도시공간의 변화를 예측하고, 저출산·고령화와 같은 인구사회구조의 변화시대에 국가경쟁력확보를 위해 스마트워크 연관산업의 정책적 지원과 제도적 정비의 필요성을 보여줄 것이다.
    4) 스마트워크에 대한 소셜인포메틱스 관점의 대응방안 제시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를 통해 앞으로 다가올 스마트 사회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스마트사회는 정보화를 넘어서 지식기반 사회로 전이될 것이라고 예견되고 있는바, 스마트워크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개인, 조직, 사회 차원에서 업무와 기술이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변화하는 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사회에 대한 종합적인 예측의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으며,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강연 및 교육, 인력양성과의 연계 활용
    - 국내외 주요 학술대회에 중간 연구 산출물의 발표
    - 대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본 연구 결과물을 수업에 적극 활용
    - 참여 연구보조원을 향후 전문연구인력으로 성장시킴
    - CEO 특강, 외부 초청 강연 등에 활용
    - 부동산114 전문가칼럼, 네이버 부동산칼럼 등에 스마트워크기술과 삶, 도시의 변화를 연재하여 융합연구성과를 홍보하고 인지도를 높임
    6) 국내, 국제 협력 연구
    현재 한양대학교에서는 혁신비즈니스모델연구센터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중이며 연세대학교에는 이러한 연구를 위한 연구센터로서 Center for Work Science가 설립되어 있는 상황이고 국내에서도 정보사회연구센터나 스마트사회위험연구센터 등, 관련 연구조직들이 발족을 하고 있으며 공공에서도 스마트워크센터들이 만들어지고 있고 비즈니스허브나 co-work 시설 등, 사설 센터들도 만들어 지고 있다. 이외의 포럼과 연구회와도 연계가 되어 있다.
    세계경영정보학회(AIS: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에서 후원하는 본 토픽중심의 국제워크샵인 CNow(International Workshop on Changing Natures of Work) 워크샵 구성 및 Chair 활동을 하였으며 2017년 12월 한국에서 개최할 예정이며, 한국경영정보학회 산하 Bright ICT 연구회와도 연계할 예정이다.
  • 색인어
  • 일과 공간, ICT, 스마트워크, 행태, 디자인, 시스템, 도시, 제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