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net and application of the agricultur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6914183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서현아
연구수행기관 경성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나라 국민들의 농업에 대한 문해 수준은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고등학교 때까지 이루어지는 교양농업교육에 의해 결정되고 있는데(정남용, 2016), 이 때 농업문해 수준이란 일상생활에서 현명한 소비활동과 국가 정책 결정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농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를 의미한다(허영준, 2008). 이에 농업문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어릴 때부터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농업교육이 수행되어야 한다.
    농업은 생태교육, 식습관교육, 환경문제 등 현재 유아교육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교육을 아우르고, 사회적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좋은 프로세스이다. 뿐만 아니라 농촌은 아이들에게 창의력 및 감성, 인성을 키워주는 곳이며, 심리적⋅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정신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고 할 수 있다(사이언스타임즈, 2012. 6. 26). 그러나 유아교육에서 농업교육을 다루는 프로그램 및 활동은 전무후무한 실정이며 유아가 최소한 알아야 할 내용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농업교육 및 지원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유아기는 태도 및 가치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자연과 인간이 서로 공생하고 순환할 수 있는 방법인 농업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즉,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유아교육과 농업의 융합은 그것을 통해 점점 가치를 잃어가고 있는 농부와 농업에 대한 가치를 소중히 확산시키고, 인류사회 최대의 문제인 한정된 자원을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방안임을 인식하여 어릴 때부터 농업을 직접 행동으로 표현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융합을 통해 나타난 변화이자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물은 융합연구에서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어린 시절부터 농업소양교육을 받은 아이들은 향후 어른이 되어서도 농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바른 농업에 대한 인식, 태도 및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면 다음세대에게도 전파할 수 있는 좋은 선생님이자 소비자로 자라게 할 것이다. 특히 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은 생태계와의 연결성을 배워감으로써 자연과 함께 공존하는 삶을 지향하여 현재와 미래 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농업은 국가의 기반 산업으로서 국민들을 위한 먹거리 생산은 물로, 2차 산업이 요구하는 원료의 생산, 그리고 국토의 보존, 녹지 환경의 조성 등을 통한 환경의 보전 등 과거부터 현재까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그리고 미래에도 이러한 역할을 계속되어질 것이다(방기혁, 2015). 우리나라의 농업교육은 일반적으로 교양농업교육과 직업농업교육으로 구분되는데 교양 수준의 농업 교육은 초등학교의 ‘실과교과’, 중학교의 ‘기술가정 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직업농업교육으로는 고등학교에서의 ‘농업생명과학 교과’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유아교육에 있어서는 교양수준의 농업교육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사회적으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첫째, 유아농업소양교육이 이루어진다. 현재 유아교육에서는 전무후무한 농업교육이 유아의 발달단계에 맞추어 유아농업소양교육이라는 프로그램으로 개발되고 보급될 수 있다.
    둘째, 유아교육에서 농업교육의 다양한 연구와 현작적용이 이루어진다. 유아농업소양교육을 시작으로 유아교사를 위한 농업역량교육 등 유아교육과 농업과 관련된 많은 학문적인 연구들이 이루어 질 것이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농업교육은 심각한 환경위기 속에서의 경제성장과 자연의 지속가능성을 목표로 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학문이다.
    넷째, 광범위한 네트워크 구축이 실현된다. 유아교육 전문가와 농업관련 전문가, 유아교육기관과 농업국가기관, 그리고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역환경단체와의 네트워크 형성으로 농업교육의 유아교육에서의 실현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농업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나라는 많지만, 농업교육의 통한 유아교육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현을 국가적으로도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며, 다른 나라에서도 큰 시사점을 줄 것이다.

    2. 인력양성 방안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유아농업소양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전문가가 필요하다. 그리고 전문가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구체적인 노력 또한 필요하다.
    첫째, 유아교사가 농업교육에 대한 역량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후속연구로 ‘유아교사를 위한 농업역량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유아교육의 전문가인 유아교사가 농업에 대한 역량을 키워 유아의 농업소양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유아교사의 역량을 길러줄 농업교육 전문가가 필요하다. 유아교사를 위한 농업교육 전문가는 네트워크가 구축된 농업진흥청등의 국가기관과 소속 연구원들이 유아교육 전문가와 함께 유아교사를 위한 농업역량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아교사를 위한 연수를 진행할 수 있다.
    셋째, 농업, 축산업, 임업, 어업에 종사중인 현장 전문가를 유아와 교사를 위한 농업교육 강사로 활용한다. 실제적인 농업 전문가는 현장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농부들이다. 농업현장 전문가들에게 유아교육에 대한 교육을 하고, 유아교육기관과 현장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유아농업소양교육’과 ‘유아교사 농업역량교육’이 교실에서 그림과 글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몸으로 체험하고, 마음으로 느끼는 교육이 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살아있는 교육을 통해 유아와 교사들이 지속가능 발전 교육을 위한 우리의 역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유아농업소양교육이 실제 교육현장에 잘 연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육 현장의 유아, 부모, 교사를 위한 자료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유아와 학부모,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자료를 개발한다. 교육용 자료에는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활동지에서부터, 농업교육에 대해 이해하고, 이해할 수 있는 영상제작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유아농업소양교육을 위한 그림책을 개발한다. 농업을 논과 밭에서 농사를 짓는 것만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농업에 대한 접근을 매력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농업분야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담은 그림책을 개발하여 보급할 수 있다. 유아들은 발달 특성상 글보다는 그림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시민단체와 유아교육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유아교육에서 농업교육을 통해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찾아가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농업교육’이라는 주제로 계속적인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유아기 때부터 농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성인이 되어서까지 그 관심이 지속될 수 있도록 농업에 대한 소양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보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유아기 농업소양교육에 대한 인식 확대 2)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통한 유아농업소양 증진의 두 가지 목표를 설정하고, 연구목표에 따른 전략 및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해나가고자 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유아기 농업소양교육에 대한 인식 확대
    첫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영유아교사가 요구하는 내용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이를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도록 Borich분석을 사용하여 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 선행연구들의 대부분이 프로그램 내용에 대해 단순히 원함 정도를 파악하는 데만 그치고 있기 때문에 영유아교사가 유아 농업소양교육 내용에 대한 필요수준과 현재수준을 고려하여 가장 시급히 요구되는 우선순위를 산출할 수 있는 Borich 요구도 공식을 활용할 것이다. 이는 프로그램을 직접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영유아교사의 요구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방향 및 개발된 시안의 적절성 검토를 위해 유아교육과 교수, 영유아교사 및 농업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자 한다. 먼저 유아교육과 교수를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유아의 발달의 적합성 및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및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다. 영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직접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주체자로서 현장의 상황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고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보다 효과적이고 적용가능성이 높은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농업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농업소양이라는 프로그램 주제에 맞추어 보다 전문적이고 핵심적인 아이디어와 의견을 제안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프로그램 개발에 필수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유아기 발달단계 및 누리과정을 반영하고, 초등 농업교육과 연계될 수 있도록 구성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초등에서의 농업교육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농업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 일본, 미국 등의 외국의 사례 또한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방법은 유아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교수매체(ex: 그림책, 동영상, 현장체험 등)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구성할 것이다.
    2)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통한 유아 농업소양 증진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서 Creswell과 Clark(2011)이 제시한 동시적 내재전략(concurrent embedded strategy)의 혼합 연구방법(mixed methods research)을 적용할 것이다. 동시적 내재전략은 양적, 질적 자료를 동시에 수집하지만 주된 연구방법이 있고, 이를 보완하는 보조적인 방법이 있으며 보조적 방법은 주된 방법 안에 포함된다(성용구, 2013; Creswell & Clark, 2011). 이러한 동시적 내재전략은 서로 다른 연구방법으로 보다 강력한 증거를 제시할 수 있으며, 하나의 연구방법으로 놓칠 수 있는 통찰이나 이해를 얻을 수 잇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양적 자료수집은 환경감수성, 환경친화적태도 등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농업교육과 관련 있는 설문지를 선정할 것이며, 실험집단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t-검증을 활용한 자료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질적 자료수집은 양적 분석으로 드러나지 않은 유아의 변화를 관찰 및 면담과 같은 방식으로 프로그램 효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고 보조적으로 프로그램 운영자인 영유아교사의 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을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유아기 때부터 농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성인이 되어서까지 그 관심이 지속될 수 있도록 농업에 대한 소양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하였음.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2)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적용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설정하고, 연구목표에 따른 연구를 진행하였음.
    1)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첫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유아교사가 요구하는 내용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이를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도록 Borich분석을 사용하였음. 둘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방향 및 개발된 시안의 적절성 검토를 위해 유아교육과 교수, 유아교사 및 농업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음. 셋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유아기 발달단계 및 누리과정을 반영하여 구성하고자 하였음. 넷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방법은 유아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교수매체(ex: 그림책, 동영상, 현장체험 등)를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음.
    2)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적용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서 Creswell과 Clark(2011)이 제시한 동시적 내재전략(concurrent embedded strategy)의 혼합 연구방법(mixed methods research)을 적용하였음. 이에 본 연구에서의 양적 자료수집은 환경감수성, 환경친화적태도 등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유아농업소양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직접 제작하였음. 또한 실험집단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t-검증을 활용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음. 질적 자료수집은 양적 분석으로 드러나지 않은 유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보조적으로 프로그램 운영자인 유아교사의 저널을 통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을 파악하였음.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은 2017년 4월 1주부터 2017년 8월 1주까지 적용되었으며, 이 기간은 본격적인 프로그램 28회기와 함께 프로그램 사후검사의 실시기간까지 포함한 것임. 집단에 따른 사후 농업소양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F=961.28, p<.001), 사전 농업과 환경, 사전 농업과 사회, 사전 농업과 경제 점수를 공변수로 처리한 결과 집단에 따른 사후 농업과 환경(F=302.87, p<.001), 사후 농업과 사회(F=577.27, p<.001), 사후 농업과 경제(F=1441.98, p<.001)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음. 유아의 농업에 대한 관심 및 소양 증진은 프로그램 실시 후 교사의 저널을 통해서도 재확인할 수 있음.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 된 질적 분석은 ‘농업과 생태계에 대한 이해’, ‘농업을 통한 전통문화 경험’, ‘삶과 농업의 연결’의 3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음.질적 분석을 통해 얻은 구체적인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첫째, 농업과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심에 살고 있는 유아에게 농업의 소중함과 올바른 가치를 가지게 해주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러한 경험은 유아가 농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농업과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음. 둘째, 농업을 통한 전통문화의 경험은 농업이 단순히 식량을 공급하는데 그치는 산업이 아니라 환경보존, 전통문화 계승 등 다양한 외부적 효과와 기능을 생산하는 역할을 경험한 것임을 알 수 있음. 셋째, 농업활동을 진행하면서 유아는 자신의 삶과 농업의 다양한 측면을 점차 연결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러한 농업과 삶의 연결은 현재 어려워진 농업과 농촌의 상황에서 유아가 먹거리를 생산하는 삶의 터전인 농촌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자연과 공존하는 생활양식을 학습해 나가는 기초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음.
  • 영문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improve the level of knowledge of agriculture so that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can be recognized from the childhood until its adult age. For this purpose, research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wo objectives that were established : 1)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2) application of the agricultur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1)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First, the need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prioritized and Borich analysis was used to reflect them in the program to develop the agricultur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Secondl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 early childhood teacher, and agricultural experts to examine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appropriateness of the draft proposal. Third, the content of the agricultur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as composed to reflect the developmental stage of young children and NURI-program. Lastly, the program was composed with various instructional media, such as picture book, video, and hands-on experience, that young children may have interest in.

    2) Application of the agricultur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applied the mixed methods research of concurrent embedded strategy that Creswell and Clark(2011) propo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the collection of quantitative data, a questionnaire was produced to measure the agricultural literacy of young children with the reference to the prior study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and more. In addition, a control group without a program was selected and analyzed using t-verific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f the groups. Qualitative data collection obtained general opinion on the program from the journals of early childhood teacher, who is secondary to identifying changes in the infant not identified by quantitative analysis.

    The agriculture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as applied from the first week of April in 2017 to the first week of August in 2017, and this period includes all 28-sessions of the program along with the post-inspection period of the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agriculture literacy score by groups(F=961.28, p<.001). As result of covariance of pre-agriculture and environment, pre-agriculture and society, and pre-agriculture and economy, scores of post-agriculture and environment by group(F=302.87, p<.001), post- agriculture and society(F=577.27, p<.001), post-agriculture and economy(F=1441.98,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initiation of the program, promoted interest and knowledge in agriculture of young children was reaffirmed in the teachers’ journal. The qualitative analysis that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as able to divide into three categories: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and ecosystem’, ‘traditional cultural experience through agriculture’, and ‘connection of life and agriculture’.

    The specific details obtain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are as follows : Firs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and the ecosystem,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young children who live in urban areas have a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and the value of agriculture. This experience of agriculture is important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 and help them recognize the value of agriculture.
    Second,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agriculture is not an industry that provides only food but also the role of producing various external effects and functions, such as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traditional cultural succession.
    Third, as we engaged in agricultural activities, the young children gradually connected their lives with various aspects of agriculture, and this became the motive to build a foundation to study a lifestyle that is concurrent with nature and to have a positive image of rural area where produces food in a situation where the connection between agriculture and life is currently difficult for agricultural and rural commun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유아기 때부터 농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성인이 되어서까지 그 관심이 지속될 수 있도록 농업에 대한 소양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2)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적용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설정하고, 연구목표에 따른 연구를 진행하였다. 1)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첫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유아교사가 요구하는 내용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이를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도록 Borich분석을 사용였다. 둘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방향 및 개발된 시안의 적절성 검토를 위해 유아교육과 교수, 유아교사 및 농업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셋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유아기 발달단계 및 누리과정을 반영하여 구성하고자 하였다. 넷째,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방법은 유아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교수매체(ex: 그림책, 동영상, 현장체험 등)를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2)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적용은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해서 Creswell과 Clark(2011)이 제시한 동시적 내재전략(concurrent embedded strategy)의 혼합 연구방법(mixed methods research)을 적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양적 자료수집은 환경감수성, 환경친화적태도 등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유아농업소양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직접 제작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t-검증을 활용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자료수집은 양적 분석으로 드러나지 않은 유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보조적으로 프로그램 운영자인 유아교사의 저널을 통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을 파악하였다.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은 2017년 4월 1주부터 2017년 8월 1주까지 적용되었으며, 이 기간은 본격적인 프로그램 28회기와 함께 프로그램 사후검사의 실시기간까지 포함한 것이다. 집단에 따른 사후 농업소양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F=961.28, p<.001), 사전 농업과 환경, 사전 농업과 사회, 사전 농업과 경제 점수를 공변수로 처리한 결과 집단에 따른 사후 농업과 환경(F=302.87, p<.001), 사후 농업과 사회(F=577.27, p<.001), 사후 농업과 경제(F=1441.98, p<.001)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농업에 대한 관심 및 소양 증진은 프로그램 실시 후 교사의 저널을 통해서도 재확인할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 된 질적 분석은 ‘농업과 생태계에 대한 이해’, ‘농업을 통한 전통문화 경험’, ‘삶과 농업의 연결’의 3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질적 분석을 통해 얻은 구체적인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과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심에 살고 있는 유아에게 농업의 소중함과 올바른 가치를 가지게 해주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러한 경험은 유아가 농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농업과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농업을 통한 전통문화의 경험은 농업이 단순히 식량을 공급하는데 그치는 산업이 아니라 환경보존, 전통문화 계승 등 다양한 외부적 효과와 기능을 생산하는 역할을 경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농업활동을 진행하면서 유아는 자신의 삶과 농업의 다양한 측면을 점차 연결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러한 농업과 삶의 연결은 현재 어려워진 농업과 농촌의 상황에서 유아가 먹거리를 생산하는 삶의 터전인 농촌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자연과 공존하는 생활양식을 학습해 나가는 기초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도
    • 국가수준 유아농업교육과정으로의 도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환경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생태교육을 유아농업교육으로 포괄
    • 유아교사의 농업소양 함양 및 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다양한 대상을 위한 농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 농업교육의 유초 연계 시도를 통한 학제 간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운영 체계 마련
    • 농업과 관련한 다양한 진로 및 직업교육의 방향 제시
    • 융복합(유아교육과 농업교육) 학문 연구를 위한 토대 구축

    2) 사회적 기여도
    • 교육기관과 농업관련 정부기관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지역사회 농업교육 프로그램 확산
    • 국내외 농업 박물관에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농업교육 활성화
    • 유아들의 농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인식증진을 통해 농업을 유지, 발전시킬수 있 는 인재 양성 도모
    • 농업교육의 일상적인 참여를 통한 유아 및 아동의 정서적 지원 방안 마련
    • 초등농업교육의 강화
    • 전 생애 농업교육의 기틀 마련
    • 도농교류, 환경보호, 건강한 식습관 형성 등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사회적 분위기 형성
    • 농업교육지원센터 설립

    3) 인력양성 방안

    가. 개발인력
    • 다양한 대상을 위한 농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양성
    • 지역기반 농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양성
    • 농업 지식을 겸비한 전문가 양성(유아교육, 교사교육)
    • 홈페이지 개발자 양성

    나. 운영인력
    • 농업교육 프로그램 운영관리자 양성
    • 유아농업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전문가 양성
    • 도시-농촌 체험활동 운영자 양성
    • 농업지도사 양성(유아, 교사)

    다. 지원인력
    • 유아농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대체교사 양성
    • 교육기관에 따른 농업교육과정 및 운영 컨설팅 전문가 양성
    • 도시-농촌 교육활동 지원 컨설팅 전문가 양성

    라. 관리인력
    • 유아농업교육 프로그램 대체교사 관리자 양성
    • 유아농업교육 시스템 운영관리자 양성
    • 홈페이지 운영 관리자 양성

    4)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 유아교사 직전 및 현직 교육과의 연계
    • 부모교육과의 연계
    • 진로 및 직업교육과의 연계
    • 융합교육과의 연계
    • 평생교육과의 연계
  • 색인어
  • 유아농업소양교육 프로그램 농업소양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