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학술논문] 1920년대 경북지역 농촌사회의 변동과 농민운동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Agricultural Society and Peasants` Movement of Kyung - Buk Province in the 1920`s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DB구축사업 참여 관련분야 전문가가 추가 입력한 정보입니다.
학술지명 |
한국사연구
(ISSN : 1226-296X)
|
발행정보 |
2001-06-30
/
Vol.113
/ pp. 139 ~ 177
|
발행처/학회 |
한국사연구회 |
주저자 |
이윤갑
(계명대학교)
|
색인어
|
1920년대, 경북지역, 농민운동, 농촌사회변화, 소작농, 지주제 보호 육성정책, 소작정책, 소작조합, 농민조합
|
연계링크
|
출처:
RISS
|
-
주초록(메인언어)
-
본 연구는 1920년대 경북지역의 농민운동을 검토하였다. 제 1장에서는 일제 및 지주층의 지주제 확대, 강화책을 중심으로 농민운동의 객관적 조건을 정치적, 경제적, 사회의식적 측면에서 검토하였고, 제 2장에서는 일제와 지주계급에 대한 농민층의 다양한 대응과 저항을 ...
본 연구는 1920년대 경북지역의 농민운동을 검토하였다. 제 1장에서는 일제 및 지주층의 지주제 확대, 강화책을 중심으로 농민운동의 객관적 조건을 정치적, 경제적, 사회의식적 측면에서 검토하였고, 제 2장에서는 일제와 지주계급에 대한 농민층의 다양한 대응과 저항을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농민층의 민족적, 계급적 주체로의 성장 가능성과 농민조합운동의 객관적 실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
목차
-
Ⅰ.머리말
Ⅱ.농촌사회의 변동과 농민운동의 조건
1.일제의 지주제 보호 육성정책과 소작정책
2.소작농에 대한 통제 강화와 지주제의 확대
3.농민경제의 몰락과 농민층의 사회의식의 제약성
Ⅲ.농민운동의 전개양상과 유형
1.농민 ...
Ⅰ.머리말
Ⅱ.농촌사회의 변동과 농민운동의 조건
1.일제의 지주제 보호 육성정책과 소작정책
2.소작농에 대한 통제 강화와 지주제의 확대
3.농민경제의 몰락과 농민층의 사회의식의 제약성
Ⅲ.농민운동의 전개양상과 유형
1.농민운동의 과제
2.농민운동 전개양상의 개관
3.소작조합형태의 농민운동
4.농민조합형태의 농민운동
Ⅳ.맺음말
-
이 연구과제의 신청시 심사신청분야(최대 3순위까지 신청 가능)
-
1순위 :
한국근대사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