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다문화시대 한국인과 이주민의 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사회과학지정주제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9-328-B00088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2 년 (2009년 11월 01일 ~ 2011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김혜숙
연구수행기관 아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신희천(아주대학교)
김도영(아주대학교)
이주연(아주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다문화, 다인종의 시대에 다양한 이주민 사회 구성원들을 통합하여 함께 공존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삶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무엇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하며, 이럴 때만이 비로소 다문화 사회를 위한 장기적이고 미래지향적(proactive) 대응책 마련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의 이주민 관련 문제를 정치구조나 경제구조의 문제로 보기 보다는 일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사회의 주류 집단(즉, 한국인)과 소수 집단(즉, 이주민)으로서 나타내는 심리적 적응의 문제와 인간관계의 문제 및 삶의 질의 문제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사회에서 주류 집단인 한국인이 소수 집단인 이주민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과 태도, 한국인 남성과 여성 이주민의 다문화 가정에서의 부부 및 가족관계, 그리고 일과 여가 또는 문화 활동과 같은 여러 가지 적응상의 문제들을 실험, 설문조사, 면담과 같은 다양한 측정방법으로 파악하고, 다문화 시대의 통합과 공존을 위한 구체적인 해결 방법과 정책을 찾고자 한다. 다문화 시대에 한국 사람들은 사회의 주류 집단으로서 소수 집단인 이주민에 대한 편견적 태도, 동화주의적 사고방식 및 한국인으로서 폐쇄적 집단정체성을 가져 사회 갈등과 이주민과의 인간관계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우리 문화는 집단주의적 상호의존적 자기(interdependent-self)의 문화로서 사람들이 집단 범주화에 익숙하며 집단범주를 다른 사람들에 대한 판단과 행동을 위한 주요한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있어,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동남아외국인이나 흑인 등의 약자 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가 보다 강하다. 한편, 소수 집단인 이주민이 가지는 적응의 문제는 문화가 달라짐에 따라 문화 적응의 혼란으로 인한 정체성의 약화나 자존감의 저하의 문제, 그리고 문화적 변화에서 오는 부부관계 등의 인간관계의 문제, 노동과 여가생활 변화 및 고유문화 향유 부족 등의 문제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로 인한 삶의 질의 저하의 문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양성, 다인종의 사회에서 사회 통합을 이룩하고 집단 구성원들의 삶의 질과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수집단과 소수집단이 나타내 보이는 서로 다른 심리 과정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시대 한국인의 적응의 문제를 1) 한국인의 이주민에 대한 편견적 태도나 동화주의 의식이나 폐쇄적 집단정체성의 문제로 보고 이러한 태도와 의식에 의해 이들은 다문화 시대 사회 갈등 및 혼란을 부추기고 2) 이주민들에게 인간적 모욕/비하를 경험하게 하여 인간 관계의 갈등과 문제를 일으키며 그 결과 사회 통합과 국제 관계를 악화시키는 부적응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다문화시대 이주민의 적응의 문제를 1) 문화적 변화로 인한 정체성의 약화 및 혼란, 2) 차별과 편견의 대상으로서의 자존감 저하 및 부부관계 등 인간관계의 문제 및 3) 노동/여가 활동변화와 고유문화 활동 부족으로 인한 삶의 질의 저하의 문제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시대를 맞아 이러한 한국인과 이주민의 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의 실태를 통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이러한 실태 및 현상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인의 적응과 이주민의 적응을 위한 심리학적 개입 방안-편견수정 방안, 부부상담프로그램 개발, 이주민정체성고양 방안-을 제안하고 이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이주민의 삶의 질과 연관되어 있는 노동/여가/고유문화 활동에 대한 가능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본 연구의 학문적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본 연구는 다문화시대 한국인과 이주민의 적응과 삶의 질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고도 다각도적
    이며 이제까지 관련 학계에서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측면(편견, 이주민상담 및 여가 활동)을 포함
    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한 보다 총체적 학문적 이해와 고찰을 하게 해 주어 관련 학계를 자극하고
    활성화시킬 것이다.

    ② 한국인이 이주민에 대해 가지는 편견적 태도, 신념 및 거리감을 보다 세분화된 대상 집단 별로
    이해하도록 해 주고, 한국인에 대한 태도와 비교하며, 이러한 편견적 태도에 어떠한 변인들
    (집단정체성, 신념, 동기, 가치 등)이 영향을 미치는 지를 지적해 주어, 보다 심층적이고
    세부적으로 이주민에 대한 편견 태도와 이론(사회정체 이론)적 과정을 이해하게 해 줄 것이다.

    ③ 다양한 편견 수정 과정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높일 수 있다. 특히 한국인의 집단정체성, 가치,
    동기, 신념 및 태도의 기반(이득 혹은 정체성)이 편견(명시적, 암묵적) 수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에 대한 검토 등 편견 수정 과정에 대한 실험 연구를 통해 편견에 개입되어 있는
    정체성, 가치, 동기과정 및 신념 과정에 대해 알게 해 준다.

    ④ 이주민의 정체성을 고양시키는 과정, 특히 모범 사례에의 노출이 보다 긍정적 정체성(명시적,
    암묵적)을 가지게 하는 지에 대한 실험 연구를 통한 검토는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이루어 진 적이
    없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과정에 대한 학문적 이해가 커질 수 있다.

    ⑤ 이주민 부부의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우리 사회의 소수 집단이 겪는
    심리적 문제가 일반 사람들의 문제와 어떻게 다르다는 것을 밝히고,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프로그램이 이러한 소수 집단에 대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이론적 기초가 될 수 있다.

    ⑥ 지금까지 이주민들에 대한 연구는 이주노동자의 노동문제나 결혼이민여성의 가정생활 문제에
    집중되고 이들의 ‘비노동’의 영역, 여가 생활에 대한 연구는 간과되어 이들의 삶의 질 수준을
    총체적으로 조명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등한시되어온 이주민들의 여가생활 실태를
    파악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주 경험이 이들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데
    학문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2)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 한국인과 이주민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여러 심리학적 개입 방안과
    정책들을 제안하여 사회적으로도 기여할 것이다.

    ① 이주민 집단별 한국인의 태도를 알 수 있도록 하여 어떠한 집단에 대한 편견 수정이 우선적으로
    시도되어야할 지를 관련 교육 및 정책 담당자들에게 알려 주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② 편견 수정을 위한 사회적 교육 혹은 학교 교육을 구상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설득 메시지 혹은
    교과 내용을 만드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 지를 지적해 준다. 이는 이제까지의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측면이다.

    ③ 이주민의 정체성을 고양시킬 수 있는 심리학적 방안을 제시해서 관련 정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이제까지 관련 학계에서 그다지 다루지 않았던 측면이다.

    ④ 본 연구에서 개발하려고 하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국제 결혼 부부의 갈등
    완화 및 관계 개선, 더 나아가 그 가족들의 심리적 만족과 정신건강의 증진이 기대되며, 여러
    상담 기관에 대한 교육이나 프로그램 배포를 통해 다문화가정 전문 상담 인력의 양성에도 도움
    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보 다 전문적 상담 프로그램은 이제까지 개발된 바 없다. 아울러 향후 일반
    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상담프로그램에서 더 나아가 대상 집단의 특성-특히 사회의 소수
    집단-에 맞는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다.

    ⑤ 지금까지 이주민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사회복지 및 문화 정책은 대부분 한국 사회 이해 및 한국
    문화 적응을 목적으로 하는 동화주의 위주의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주민들의 여가 생활 실태
    와 여가 생활에서 나타나는 이주민 고유문화 특성 연구 결과는 이주민들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이주민들의 고유문화를 한국인들이 배우고 이해할 수 있는 상호이해에 기초한 다문화
    정책을 개발하는 데에 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한국인과 이주민의 심리적 적응의 문제와 삶의 질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심리학적 개입 방안의 효과를 확인하고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3 개의 연구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연구1에서는 우선 1차년도 연구로 한국인의 이주민에 대한 편견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주민 집단을 5개의 하위 집단(즉,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여성, 다문화자녀 아동, 새터민, 조선족)으로 세분화하여 각 집단에 대한 태도, 신념 및 행동의도를 조사를 통해 측정하고, 한국인에 대한 태도와 비교하며, 또한 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한국인의 집단정체성, 보편주의 가치, 권위주의 가치, 다문화주의 신념, 동화주의 신념, 이득기반 태도, 정체성기반 태도, 촉진지향 동기, 예방지향 동기)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1차년도: 연구1-1). 2차년도에서는 편견 태도(명시적, 암묵적) 수정을 위한 영향 변인들의 효과를 일련의 실험을 통해 검토하여 사회교육과 학교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2차년도: 연구1-2). 즉, 보편주의 가치를 점화시킨 경우 이주민에 대한 명시적, 암묵적 편견이 감소하는지, 다문화주의 신념을 강조하는 설득메시지가 동화주의를 주창하는 설득메시지보다 편견 감소에 더 효과적인지, 또한 이득기반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즉, 정체성 기반 태도)에 비해 이주민이 주는 이득을 강조하였을 때 보다 편견이 감소하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촉진지향 동기와 예방지향 동기의 개인차에 따라 그에 부합되는 설득메시지에 보다 영향을 받아 편견이 감소하는지를 실험을 통해 검토할 것이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또한 이주민의 정체성과 자존감을 고양시키기 위한 요인들(즉, 다문화주의 혹은 동화주의 이데올로기 설득메시지, 그리고 한국 사회에 성공적으로(혹은 실패한) 적응하고 있는 모델 제시 여부)의 영향을 실험 연구들을 통해 검토하여(2차년도: 연구1-3) 이주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현재까지 이러한 세분화된 조사 연구나 이주민 편견 수정을 위한 심리학적 개입 방안을 위한 실험 연구는 거의 없다.
    연구2는 결혼 이주민들의 부부갈등을 해소하고 부부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문화 가정을 위한 부부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하고자 한다. 한국인 남성과 결혼 이민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입장에서 부부 갈등의 실태, 원인, 문화적응 및 성역할 갈등, 편견과 정체감 문제, 그리고 원가족 문제 등에 관한 심층 면접을 하고 이에 대한 CQR 질적 분석을 하며(1차년도: 연구2-1),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부부를 위한 갈등해결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이다(1차년도: 연구2-2). 2차 년도에는 10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총 6회기의 부부상담을 실시하고 다문화 가정을 위한 부부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2차년도: 연구2-3).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결혼 이주민 부부를 위해 개발된 부부상담 프로그램은 없으며, 다문화 가정을 위한 직접적인 심리학적 개입 역시 극소수 연구에 불과하다.
    연구 3은 이주민들 중 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여성을 심층면접 조사하여 이들이 한국으로 이주하기 전과 이주한 후의 노동·여가 생활을 비교하여 이주 경험이 이들의 삶의 질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주민들의 일상생활(노동·여가 생활)에 나타나는 고유문화 특성을 한국 문화와 비교하여 밝히고자 한다. 선행 연구에서 이주민들의 일상생활 중 특히 여가생활을 주목하여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다룬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먼저 연구3의 제1단계(1차년도: 연구3-1)에서 이주민의 적응 과정과 노동·여가와 삶의 질 관련성 논의에 대한 문헌고찰과 사전 조사를 거쳐 연구 분석틀과 심층면접 질문 문항을 구성할 것이다. 다음 제2단계(1차년도: 연구3-2)에서 이주노동자를 심층 면접하여 한국으로 이주하기 전과 후의 노동·여가 생활을 조사하여 이주 경험이 이들의 삶에 미친 영향을 조사할 것이다. 또한 이들의 직장동료인 한국인 노동자와 비교하여 이주노동자들의 삶의 질과 고유문화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연구 3의 제3단계(2차년도: 연구 3-2)는 결혼이민여성의 이주 전·후의 노동(가정)·여가생활을 조사하여 이주 경험이 이들의 삶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들의 한국인 배우자, 이들과 이웃한 한국인 기혼여성의 생활과 비교하여 결혼이민여성의 삶의 질 수준과 고유문화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3의 제4단계(2차년도: 연구3-4)는 제2-제3단계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으로의 이주 경험이 이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의 일상(노동·여가)생활에 나타나는 고유문화 특성을 한국 문화와 비교하여 밝히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한국인, 다문화가정,이주민 정체성, 노동/여가/고유문화 생활,심리적 적응,사회통합,이주노동자,사회정체이론,삶의 질,다문화시대,이주민 부부상담프로그램 개발,이주민 편견 실태조사. 편견 수정 실험,결혼이민여성
  • 영문키워드
  • Social Identity Theory,social integration,quality of life,women marriage-migrants,immigrant workers, multicultural family,survey on prejudice towards immigrants, experiment on prejudice reduction,immigrants' identity,developing the counseling program for married multicultural couples,work/leisure/ethnic culture,Koreans,multicultural era,psychological adaptation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