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직무분석을 통한 전문상담(순회)교사 역할모형 구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332-B00330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2 년 (2008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상민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2005년부터 배출된 교육청 소속 전문상담순회교사와 2007년 3월부터 배출된 단위학교 전문상담교사들은 이들을 임용한 교육부와 교육청, 그리고 이들을 맞아들여야 하는 학교가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 채 임용과정이 진행되다보니 교육현장에서 많은 혼선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이상민, 오인수, 서수현, 2007). 전문상담교사가 해야 할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때임에도 불구하고 학교상담이 활성화되지 않는 원인으로 연구자들이 다양한 이유를 제시하고 있지만 학교현장에 적합한 효과적인 전문상담(순회)교사의 역할과 직무모델의 부재가 그 근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이상민, 안성희, 2003). 현재 교육청과 일선학교에서 전문상담(순회)교사를 받아들이는 관리자(교육행정가, 학교장과 진로상담부장)뿐만 아니라 전문상담(순회)교사 자신들도 학교 현장에서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일이 무엇인지 모르는 채 학교상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 교육인적자원부(2007)의 학교상담 발전보고서 역시 전문상담교사 직무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전문상담교사 초기 정착에서 최우선 과제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1) 교육청과 단위학교에서 일하는 전문상담(순회)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제 수행하는 실천과업과 이에 필요한 기본역량(지식, 기술, 능력)의 내용을 직무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2) 직무분석 결과에 근거해서 전문상담(순회)교사 역할모형의 개발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상담(순회)교사들이 현장에서 어떤한 역할들을 수행해야 하는 가에 대한 매뉴얼이 될뿐만 아니라 미래의 전문상담교사를 양성할 때의 교육과정에 어떤한 내용들을 포함되어야 하는 것에 대한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즉, 전문상담(순회)교사의 직무분석을 통해 양성, 임용, 근무, 승진 등의 기준을 정립하는 기회가 되리라 기대한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상담표준안 작성과 한국적 학교상담모형 수립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기대효과
  • 먼저,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상담교사의 특수성이 고려된 역할 정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전문상담교사 체제가 시행 기대를 만족시키는 효과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보다 우리나라의 학교실정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상담교사 역할 연구에 나타난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여 전문상담교사라는 특수성을 고려하는 역할 정립이 가능하게 된다. 실무적인 측면에서 전문상담교사들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를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학교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학생들을 위한 상담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의 체계적인 조직관리 및 수요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교육청과 단위학교별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행 전문상담교사의 관리체계는 개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통합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인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모형은 직무의 표준안을 마련해주어 지역교육청과 단위학교에서 관리해야 할 부분의 합의를 도출해 내도록 유도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보다 체계화된 조직관리는 앞으로의 전문상담교사의 수요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지역교육청과 단위학교의 관리가 통합되면 실제로 학교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상담교사의 수가 얼마나 되는지 정확한 수치로 예상될 수 있기에 필요한 만큼의 인력을 양성하고 임용하는 원활한 공급과 수요가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수립에 근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실무적인 기능을 자세하게 분석하는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로써 갖추어야 할 지식, 기능,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의 구성내용을 만드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전문상담교사의 특화된 역할에 맞춘 교육과정의 구성은 능력있는 전문상담교사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고 상담의 실효성을 높여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고충을 해결하는 상담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새로이 임용된 교육청의 전문상담순회교사와 단위학교의 전문상담교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들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가? 보다 구체적으로 전문상담(순회)교사는 하루 8시간을 근무하는 동안 무엇을 하며 시간을 보내야 하는가? 등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직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무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직무분석은 특정 직무의 성질과 관련된 중요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이들 정보를 관리하여 목적에 적합하게 정리하는 체계적인 과정으로, 특정직무에서 수행하는 업무내용과 그 직무를 담당할 사람에게 요구되는 수행요건의 두 가지를 분석대상 내용으로 한다. 직무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순회)교사의 직무를 구성하고 있는 일의 전체, 즉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지식, 경험, 기능, 능력, 책임과 그 직무가 타 직무와 구별되는 요인을 각각 명확하게 밝혀서 기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과제 중심적 접근을 통해서는 전문상담(순회)교사의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가 결과로써 제시를 할 것이며, 작업자 중심적 접근을 통해서는 전문상담(순회)교사의 직무명세서(Job Specification)가 완성될 것이다. 더 나아가, 전문상담(순회)교사들의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의 결과를 통하여 현재 전문상담(순회)교사들에게 학교현장과 시대가 요구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파악함으로써 역할모형을 제시할것이다. 이러한 전문상담교사를 염두에 둔 역할모형의 개발은 학교현장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 전문상담교사들이 해야할 역할이 무엇인지를 한 눈에 명확하게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총 6단계의 연구절차(직무분석의 준비, 직무정보수집 및 분석 I, II, III, 직무분석 연구결과정리, 역할모형개발)로 나누어서 수행될 것이다. 2년에 걸쳐 이루어질 6단계 분석으로 구성된 본 연구를 통해 전문상담교사들의 직무와 역할이 파악되고 그에 부합하는 학교상담 역할모형이 개발된다면 지금까지 큰 실효를 거두지 못했던 우리나라의 학교상담은 다른 국면을 맞이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한글키워드
  • 학교상담교육과정,학교상담,전문상담교사,직무분석,직무기술표,직무명세서
  • 영문키워드
  • School Counseling Curriculum,School Counseling,Job Analysis,Professional School Counselor,Job Description,Job Specific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전문상담교사 제도는 학교 내에서 학생들의 문제 해결을 도와 학교적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이 업무를 담당한 전문상담교사들의 전문성에 대한 의심어린 시각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상담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적인 역할이 무엇인지를 알고 자신들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재교육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들의 역할모형을 분석, 구축하고자 한다. 첫 번째 단계로 역할목록을 만들기 위해 현직 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현재 수행 직무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질문지 내용을 전문가 패널이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상담교사들의 직무는 24개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로서 보리치공식과 허쉬코비치의 임계함수를 사용하여 요구도분석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전문상담교사들은 집단상담, 집단교육, 교사와 학부모 집단교육 및 연수의 역할에서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와 학업 영역에서 전문상담교사들의 전문적인 역할이 더욱 요구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상담교사들의 전문성함양을 통한 학교상담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고 기대한다.
  • 영문
  • As there is a doubt about expertise of Korea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t requires the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ability of counseling. Even though Korean school counselors need to be reeducated and know their professional roles, few studies are there on systematic analysis to identify deman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ors.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ty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order to establish the list of duties, first, curren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ere asked to answer what are their current duties. In addition, the task-force panel of school counseling reviewe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was tha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duties were made up of 24 duties. Second, by using Borich's formula and Herschkowits' critical functional formula, the areas of need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school counselors desired to reeducated for small group counseling, large group guidance, and education of parents and teachers. Especially, career and academic areas were needed to improve school counselors' expertis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utilized to promote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xpertises and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ing in South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적인 전문성을 위한 직무분석이 실시되었다. 1차년도의 탐색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2차년도의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전문성 함양을 위한 역할모형의 구축을 위해서는 전문상담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육적인 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조직내에서 요구되는 그들의 현재 역할이 무엇인지를 더욱 명료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1차년도에 이어서 2차년도에서는 직무분석의 후반 작업으로서 직무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직무를 수행해 나가기 위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행내용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2차 최종 결과물로는 직무의 내용과 함께 확인적 요구분석과 전문가 자문의 내용이 담겨졌다. 직무분석에는 전문가 집단의 참여로 이루어졌으며, 직무분석에 이은 역할모형구축을 위한 과정에서는 직무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진의 분석이 이어졌다. 본 최종보고서에서는 역할모형 구축에 대한 내용인 직무분석의 내용이 주를 이루게 될 것이다. 직무분석의 내용을 바탕으로 할 때 역할모형은 현재 요구되어지는 직무들 중에서 전문성을 보다 더 강화할 필요가 있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짜이도록 하여 전문상담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내용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게 되는 기회도 될 것이라고 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에서 밝혀진 내용들은 전문상담교사들의 역할이 기존의 상담과 교과를 병행하는 교사들의 직무와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학교상담이 독립적인 고유의 학문적 영역으로서 전문상담교사들의 역할이 연구되어져야 하고 그들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연구 또한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한국의 학교상담 모형을 구축할 수 있겠다. 요구분석의 내용으로 밝혀진 현재수준과 바람직한 수준간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역할들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역할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의 전문상담교사들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촉발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전문상담교사, 직무분석, 요인분석, 역할모형 구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