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시 공간환경의 공공성 제고 방안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고급지식확산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8-813-D00005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09월 01일 ~ 200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기수
연구수행기관 한국교통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그 동안의 도시개발은 양적 측면이 중시되어 고밀개발에 따른 녹지 및 도시 공개공간의 부족을 야기하고 결국에는 도시 옥외공간에 대한 도시민의 거주성 악화를 초래하여, 바람직한 도시환경 의 조성을 위해 도시 내 공공공간의 양적 질적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최근 주택보급률이 100%에 이르면서 도시민의 관심이 양적측면에서 질적측면으로 옮겨지고, 특히 도시환경에서 관심의 대상이 내부공간에서 외부공간으로, 사적공간에서 공적공간으로 점차 집중됨에 따라 도시환경의 질적 구성요소로 대표되는 도시 공간환경의 중요성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다.
    현재 도시내 공간환경은 크게 광장이나 공원 등 공공이 소유하고 도시민을 위해 개방되고 있는 공공공간과 도시 건축물 내에 확보된 사유공간으로 양분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고밀개발에 따라 공공소유의 공개공간은 감소하는 추세이며, 양적인 확대는 거의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도시 건축물 내에 존재하는 사유공간은 양적인 확보는 가능하나, 아직 도시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성이 부족하여 많은 면적의 공개공간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현재여건에서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시 공간환경의 양적 그리고 질적 향상이 요구되며, 특히, 도시 공개공간의 확대는 새로운 공개공지의 확보보다는 도시 건축물내 사유공간에 공공성 부여를 통하여 도시민의 이용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향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며, 이를 대상으로 도시 공간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공공성 제고 방안의 모색이 민간과 공동영역 모두에서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교육은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주민참여에 의한 도시 공간환경의 공공성 제고방안을 사회발전에의 참여와 책임에 대한 인식을 시작하는 교육단계의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자 하며, 다음과 같은 4단계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진행하고 져 한다.
    먼저 도시민의 삶의 질과 도시 공간환경의 공공성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 고찰을 교육하고, 두 번째로는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해 도시 공간환경 내 공공성 확보사례를 체험하도록 교육하며, 세 번째로는 도시 공간환경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기술적 제도적 방안 모색을 교육하며, 마지막으로는 학생들이 참여하여 실제 대상지를 선정하여 도시 공간환경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계획안을 수립하므로 써 구체적인 실행과정의 경험과 구축된 공간환경이 실제 도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도록 교육하고 한다.
  • 기대효과
  • 본 교육은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데, 이는 불특정 다수인들이 모여 사는 도시 내에서 사회구성으로서의 역할과 책임감, 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이 실질적으로 중학교 때 많이 이루어지고 필요성이 높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며, 특히 교육과정 중 다양한 사례와 기술의 교육과 동시에, 직접 실제 대상지를 선정하고 본인들의 아이디어로 도시환경의 공공성 제고방안의 계획안 수립과 현장 적용을 통하여, 참여학생들의 창의성 발휘의 기회 제공과 실제 적용결과에 대한 도시민들의 평가를 경험하도록 교육하고 져 한다.
  • 연구요약
  • 본 교육의 주요내용은 과제책임자인 본인이 2005년 7월 - 2006년 6월까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신진교수연구지원사업으로 수행한 「도시 고층건물 내 공개공지의 공공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의 연구결과물을 수정보완하여 작성한 내용으로 구성하고 져 한다.
    기 수행한「도시 고층건물 내 사유공개공지의 공공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는 도시 내 고밀개발에 따른 공개공지의 부족과 도시민의 삶의 질에 대한 질 적 요구 증대의 충족을 목적으로 도시내 사유공개공지의 공공성 제고의 필요성과 공공성 확보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한 연구이다. 특히, 공공성 확보방안으로 다양한 계획적 방안과 함께 제도적 방안을 동시에 모색하여 실제 현장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도시민들의 의식조사를 통해 실제 사용자들의 요구조건을 최대한 반영하여 공공성 확보방안의 실행성과 지속성을 최대한 추구하려 하였다. <연구요약문 2.3 참조>
    본 교육의 내용구성은 상기 연구결과물 중 1) 도시 공간환경의 공공성에 대한 이론적 내용, 2) 도시 공간환경의 공공성 확보방안의 사례연구, 3)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계획적 및 제도적 방안에 대한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주요내용을 구성하고, 4) 특히 본 연구에서는 추가연구를 통하여 주민참여에 의한 현장적용을 목적으로 실제대상지를 학생들이 직접선정하고 지역주민과 함께 도시 공간환경의 공공성 제고 방안을 직접 적용하여 모색하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교육내용을 구성하고져 한다.

    본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이론교육, 사례연구, 현장적용의 3단계 과정을 통하여 진행되며, 교육과정 중 학생들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와 학생들의 강의평가를 실시하고져 한다.

    1) 이론내용 교육단계
    - 도시민의 삶에 질과 도시 공간환경의 공공성에 개념 정립과 이론적 고찰내용을 교육
    2) 사례연구 교육단계
    - 국내·외 도시 공간환경의 공공성 제고방안의 사례연구와 실제현장답사를 통하여 공공성 제고방안의 실제 체험과 다양한 기술적 지식을 습득토록 교육
    3) 현장적용 교육단계
    - 실제 사례대상지를 선정하고 지역주민과 협력체를 구성하여 공공성 제고방안 모색
    -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과정과 도시민들의 선호도 파악을 위한 의식조사(설문)실시
    - 수립된 계획안의 현장적용(전문가 및 실무전문가 공동참여) 및 사후평가 실시
  • 한글키워드
  • 사용자의식,공공디자인,도시공간환경,공공성
  • 영문키워드
  • user's view,publicity,public design,urban open space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