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녹색주거 및 녹색생활을 위한 주택관리 평가도구 개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7-C00037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11월 01일 ~ 2010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이현정
연구수행기관 경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전세계적으로 모든 국가에서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정책트랜드인 녹색성장은 우리나라에서도 정책기조로 채택되었으며, 이에 따라 녹색뉴딜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현 정부의 강력한 의지로 개발․보급될 그린홈은 20세기 후반 전세계적으로 등장하게 된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패러다임에서 이해되는데, 즉, 지구환경의 자원이 유한하고, 인간의 성장은 환경과의 조화 속에 이뤄져야 하며,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해야 한다는 인식이 널리 보급되면서 그린홈의 개발은 이러한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개발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그린홈 공급에 따른 파급효과로서 주택의 사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될 것으로 예상되어 녹색주거 및 녹색생활 구현을 위한 주택관리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계획단계에서 그린홈의 디자인 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기존 주택에서의 효과적인 운영과 효율적인 유지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으로, 첫째, 녹색주거와 유관한 국내외 공식인증제도들을 조사하여 평가부문 및 내용별 특성들을 비교․분석한다. 둘째, 녹색주거 관련 공공부문, 비영리부문, 민간부문에서의 주택관리 평가제도 현황을 파악하여 그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녹색주거 유지, 운영, 생활관리 평가요소들을 도출하여 주택관리 평가도구를 개발한다.
  • 기대효과
  • 녹색성장 기조에 따른 그린홈 보급으로 녹색주거 및 녹색생활 구현을 위한 주택관리 평가도구는 주택정책에서의 관리 및 계획에 이르는 후속적인 담론을 제공하는 기틀을 제공하게 된다. 학문적으로 본 연구는 다학제간적 접근에 기초하여 주택 및 관련 인접학문의 교류를 활성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입안가에게는 그린홈의 사후 운영관리 및 유지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전달하는 기반을 제공되며, 일선 공무원들에게는 선주택관리육성 후개발이라는 패러다임 형성과 지역 내 주택관리를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주택관리업무 실무진들에게는 녹색주거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이며, 일반 거주자들에게는 녹색생활을 위한 지침서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향후 그린홈 사업의 전문인력인 그린닥터 양성에 필요한 교육훈련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계획 및 지역개발을 위한 참고자료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게 된다.
  • 연구요약
  • 지난 20세기는 개발지향적인 회색성장으로 규명될 수 있으며, 대량생산, 대량소비, 대량폐기라는 순환구조를 가지며 환경을 파괴하고 경제발전을 추구해 왔다. 화석연료의 과다의존으로 인한 자원고갈, 자원낭비로 인한 환경오염,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 변화 등을 초래함으로써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21세기는 그 문제의 심각성을 경험하게 되었다. 즉, 현재의 경제위기와 환경오염의 심각성은 환경보전에 근거한 경제성장을 강조하는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를 표방하게 된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경제발전을 위해 환경은 상호대치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밖에 없는 전통적 인식은 과소비를 유발하게 되었고, 이러한 과소비는 경제위기와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발전과 환경보전 간의 상호조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여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성장방식을 녹색성장의 패러다임에서 규명하고 있다. 새로운 인식전환을 계기로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는 신재생에너지 및 청정에너지 자원의 개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녹색기술의 혁신 등은 현재의 경제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과 함께 산업분야 전반에 걸친 녹색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 특히, 주택부문에 미치는 녹색성장의 영향은 다른 산업부문들에 비해 매우 체감적일 수 밖에 없는데, 이는 주택이 인간의 일상생활을 이루는 근간이 되며 정주환경의 기초단위가 되기 때문이다.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의존을 토대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려는 세계적인 움직임이 최근의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범부처적 차원에서의 노력인 녹색뉴딜사업으로 구체화되면서 녹색성장, 녹색경제, 녹색산업, 녹색주거를 선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주택보급율 100% 달성을 계기로 주택정책의 기조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되면서 주택관리의 제측면이 고려되게 되었다. 현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기조에 힘입어 그린홈 사업 시행이 본격화됨에 따라 그린홈이 지속가능한 주거문화를 담아내는 기능을 뒷받침하고, 녹색주거 및 녹색생활을 구현할 주택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방안은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으로서의 그린홈 사업의 취지를 달성하고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향후 녹색뉴딜사업의 핵심요소인 그린홈 사업 시행으로 확산될 녹색주거 및 녹색생활을 유도할 주택관리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효과적으로 운영관리되고 효율적으로 유지관리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Kahn(1995)과 Chiu(2004)의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의 개념적 틀을 활용하여 주택관리 제측면과 요소를 정리한다. 또한,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제도권 내의 각종 공식인증제도를 검토하고, 국내외 제도와 비교하며 부문별 주택관리 평가제도를 고찰한다. 전문가와의 자문회의 및 실무진과의 면담조사를 통해 주택관리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작성된 질문지를 작성하여 일선 주택관리 현장의 관리주체 및 운영주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와 추리통계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의 함의를 도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모델은 향후 녹색도시주거문화 건설과 녹색생활 보급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주택관리평가제도의 근거가 되어 21세기 선독적인 주거문화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유발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한글키워드
  • 주택관리,지속가능성,녹색생활,녹색주거,주택정책,평가도구
  • 영문키워드
  • Housing policy,Sustainability,Green housing,Green life,Property management,Property management assessment tool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녹색성장 기조는 지난 20세기 양적성장 일변의 우리나라 주택정책에도 크게 영향을 미쳐 주택의 질적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주택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기조 속에서 본 연구는 지역단위 및 전국 단위의 녹색주거, 지속가능한 정주환경 창출을 위한 주택관리의 정형화된 도구가 필요하며, 품격있는 국토공간의 창출과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구현을 위해 평가할 도구 부재와 일괄적인 평가기준의 미비는 향후 전국단위의 주택관리 중심의 주택정책 집행에 큰 장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녹색주거 및 녹색생활을 위한 주택관리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우선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사전조사로, 20세기 후반부터 실시해 온 전국의 각 지자체별 우수 주택관리 평가제도와 평가도구를 분석였으며, 그 결과 총 23분야 103항목 (장기수선계획 분야 3항목, 안전관리 16항목, 시설물관리 2항목, 주차장 관리 4항목, 관리비 4항목, 회계관리 6항목, 입주자대표회의 10항목, 관리주체 4항목, 민원관리 3항목, 문서관리 3항목, 관리규약 4항목, 자치활동 2항목, 여가 및 편익증진 4항목, 화합행사 6항목, 봉사활동 2항목, 분쟁 1항목, 정주성 1항목, 조경관리 5항목, 단지 내 청결상태 8항목, 음식물쓰레기 3항목, 재활용 2항목, 에너지 절약 8항목, 신재생에너지 2항목 등)을 확인하여 분류하였다. 이를 전문가 패널을 통해 유지관리, 운영관리, 생활관리, 환경관리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분야별로 각 항목을 기존의 평가제도에서의 분류를 확인하여 유지관리, 운영관리, 생활관리, 환경관리별로 항목을 편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사항을 보완하여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250 가량의 지방자치단체에 공동주택 관리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공무원과 각종 공식 인증제도를 획득하거나 지역별 우수관리 아파트로 선정된 300 단지의 관리사무소장을 대상으로 2010년 6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였다. 약 1,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약 230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율은 20% 정도로 나타났다. 수집된 자료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추리통계를 시행하였다.
    주택관리 평가도구는 본문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지관리, 운영관리, 생활관리, 환경관리 등 4가지 분야로 분류되어 유지관리 5개 분야 24개 항목(시설관리 7항목, 건물 내 안전예방 6항목, 안전관리 및 안전점검 4항목, 주차관리 4항목, 장기수선계획 3항목), 운영관리의 8개 분야 34개 항목(입주민의 민원처리 4항목, 관리규약 6항목, 행정관리 8항목, 회계감사 4항목, 관리주체 4항목, 입주자대표회의 구성 3항목, 관리비의 투명성 3항목, 입주자대표회의 및 타단체와의 관계 2항목), 생활관리의 4개 분야 15개 항목(상호 유대증진 4항목, 화합행사 4항목, 이웃 간 친밀정도 4항목, 입주민의 자치운영 3항목), 환경관리의 5개 분야 40개 항목(단지 내 청결상태 13항목, 쾌적한 실내환경 6항목, 에너지 절약 9항목, 자원절약 8항목, 친환경 입지 4항목)으로 구분되었다 (총 22개 분야 113개 항목).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idential property management and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 Using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is research has drawn items of residential property management from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and it showed 103 items across 23 areas. With these items, the interviews and focus groups of professionals in fields housing policy and property managemen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items were adequate to be included in the assessment tool for residential property management. The revised form of assessment items were applied to the questionnaire of which the survey was implemented among civil service agents of local governments and housing managers in the awarded housing estates from June to August in 2010. The response rate was about 20%,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through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ssessment could be categorized into 4 groups (maintenance, operation, resident’s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in particular the breakdown included 24 items of 5 areas for the group of maintenance, 34 items of 8 areas under the group of operation, 15 items of 4 areas under the group of resident’ management, and 40 items of 5 areas under the group of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 for residential property management had 113 items of 22 areas. As the wave of green growth hits, the evaluation of residential property management is expected to be commonplace, and the standardized form is absent, this research provides a guide that renders sustainable housing, green life and viable community. Nevertheless, the assessment tool should be modified to suit local circumstances by considering lifecycles of housing and urban setting in order to benefit from i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녹색주거 및 녹색생활을 위한 주택관리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가의 자문과 인터뷰, 내용분석, 설문조사 등의 일련의 과정을 주택관리 평가도구를 마련하였다. 우선, 전문가 회의와 인터뷰를 통해 마련된 내용을 토대로, 전국의 우수 주택단지 관련 제도의 자료수집을 통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설문조사를 준비하였다. 전국의 각 지자체별 우수 주택관리 평가제도 고찰을 통해 총 23분야 103항목 (장기수선계획 분야 3항목, 안전관리 16항목, 시설물관리 2항목, 주차장 관리 4항목, 관리비 4항목, 회계관리 6항목, 입주자대표회의 10항목, 관리주체 4항목, 민원관리 3항목, 문서관리 3항목, 관리규약 4항목, 자치활동 2항목, 여가 및 편익증진 4항목, 화합행사 6항목, 봉사활동 2항목, 분쟁 1항목, 정주성 1항목, 조경관리 5항목, 단지 내 청결상태 8항목, 음식물쓰레기 3항목, 재활용 2항목, 에너지 절약 8항목, 신재생에너지 2항목 등)을 확인하였고, 이를 전문가 자문과 설문조사를 거쳐 유지관리, 운영관리, 생활관리, 환경관리 등 4가지 영역에서 총 22개 분야 113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녹색성장 기조는 지난 20세기 양적성장 일변의 우리나라 주택정책에도 크게 영향을 미쳐 주택의 질적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주택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기조 속에서 본 연구는 지역단위 및 전국 단위의 녹색주거, 지속가능한 정주환경 창출을 위한 주택관리의 정형화된 도구로 제공될 수 있다.
    전국에 종사하는 주택관리소장 및 주택관리업무 유관 실무진들에게 녹색주거문화 창출을 위한 주택관리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들을 위한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녹색주거 및 녹색생활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2010년 말 서울시가 시범으로 추진해 오고 있는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업에서 각 구청별로 파견된 전담인력은 관할 구청 내 아파트를 대상으로 공동체 활성화에 필요한 각종 활동을 지원하는데, 이들 인력을 위한 지침서와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최근 주택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우수 아파트 관리단지 선정제도가 법적으로 도입되어 투명한 아파트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전체 지자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평가지표 기준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인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주택관리 평가도구는 전국단위의 평가지표 마련에 적극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녹색주거, 녹색생활, 주거관리, 주택관리, 주택관리 평가, 관리평가도구, 지자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