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10년을 관통하는 본 연구의 아젠다는 ‘작은’ 복지국가 연구를 통해 새로운 복지국가이론(新권력자원론)을 도출하고, 궁극적으로 유럽의 ‘큰’ 복지국가를 재해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다음의 몇 가지 구체적인 연구목표에 집중할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
향후 10년을 관통하는 본 연구의 아젠다는 ‘작은’ 복지국가 연구를 통해 새로운 복지국가이론(新권력자원론)을 도출하고, 궁극적으로 유럽의 ‘큰’ 복지국가를 재해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다음의 몇 가지 구체적인 연구목표에 집중할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복지국가연구에서 다소 소홀히 다루어진, 한국, 미국, 일본과 같은 ‘예외적’으로 ‘작은’ 복지국가 사례들을 보편적인 이론틀(즉, 신권력자원모형)을 통해 설명해 내어, 비교복지국가연구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작은’ 복지국가 연구는 한국에서 시작한다. 한국의 복지국가에 대한 국내 연구들은 특히 1998년 김대중 정부 이후에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이 연구들은 국내적 논쟁에만 주로 머물고 있는 형편이다. 한국 복지국가를 특수주의적 방식이 아니라 일반이론틀에서 설명함으로써 비교복지국가의 주류와 한국의 연구를 접목시키고자 한다.
셋째, ‘작은’ 복지국가 연구를 통해 주류 복지국가의 이론을 넘어서는 복지국가이론화를 이루어낼 것이다. 서유럽 중심의 복지국가이론은 선진자본주의 국가인 일본뿐만 아니라 빠른 속도로 선진자본주의 경제체제로 편입하고 있는 한국과 같은 여러 OECD 국가들을 포괄하는 이론화를 구축하지 못하였다. 서구 복지국가이론에서 ‘예외적’으로 간주되는 국가들을 연구함으로써 서구 중심의 복지국가이론을 보다 일반화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조직노동자의 ‘힘’에 집중한 기존의 권력자원론은 ‘큰’ 복지국가뿐만 아니라 ‘작은’ 복지국가를 설명하는 데에서도 매우 유용한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기존의 권력자원론은 복지국가제도의 구체적인 형성원리와 작동방식을 이해하는 데에는 충분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조직노동자의 ‘힘’이라는 설명변수와 함께, 노동자조직의 제도화 형태, 선거제도, 경제·산업구조 등의 제도 변수, 그리고 이러한 제도 변수의 영향을 받은 복지정치의 행위자(노동, 사용자, 정치인, 관료, 시민단체)들의 전략적 선택을 설명변수로 두어 권력자원론을 수정하고 보다 일반화하고자 한다.
다섯째, 국내, 국외, 그리고 학제간의 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러한 협업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 일본, 미국 등 자유주의 복지국가, 그리고 유럽의 ‘큰’ 복지국가를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이론틀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목표는 제도 변수를 포괄하는 데이터세트를 구축하여 ‘작은’ 복지국가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후 인과관계를 구성하는 변수들을 역사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행위자 중심의 미시적 차원에서 추적하는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서 이루어질 것이다.
여섯째, 본 연구는 한국이 복지국가형성에 매우 비우호적인 구조적·제도적 환경에 놓여 있다는 점을 규명함으로써, 사회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복지국가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한국을 포함한 ‘작은’ 복지국가들은 복지국가 발전에 비우호적인 구조와 제도를 자체적으로 계속 재생산해 왔다. 이 연구는 기업별 노조, 소선거구제, 대기업중심의 경제·산업구조 등의 제도 변수들이 복지국가 발전에 부정적인 효과를 낳게 된다는 점을 보다 분명한 인과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밝혀낼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바로 이러한 제도들을 복지국가 발전에 우호적인 제도들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복지국가 건설에 가장 핵심적인 것임을 설득력 있게 제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