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인구 감소 농촌 지역의 지역어 변화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A00355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오새내
연구수행기관 강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요인에 의한 인구 감소에 의해 지역 사회 구조가 변한 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어(방언)에 대한 지역 구성원들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고 해당 지역에서 현재 사용되는 지역어와 기존에 연구된 역사적 방언 자료의 차이를 분석하여 지역 인구 감소가 지역 방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언어학적으로 연구하려는 데 있다.
    교통의 발달과 교육의 일반화, 다양한 종류의 대중 매체 접촉 등 다양한 변수가 발생하는 현대 지역 사회의 언어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언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에 대해 연구하는 사회언어학의 연구 방법론 적용이 필요하다. 언어 사회 구성원의 언어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에 대해 고려하며 언어 현상을 분석하는 사회언어학적 방언 연구 방법론은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에 두루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된 조사 대상은 전라남도 나주시이다. 전라남도 나주시가 지닌 도시와 농촌의 복합적 성격, 8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는 전라남도 중심지로서의 나주 역사, 연구 시점 현재 최근 30년간 40% 이상 인구가 감소한 도시라는 점, 인근 대도시와 수도권으로 집중된 이주 유형, 그동안 이뤄진 나주를 대상으로 한 인문학적 연구에서 지역어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 등 나주시는 인구 변화와 방언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 대상으로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언어학 연구에서 특정 언어 또는 어형을 지키게 하는 요인으로 지목되었던 지역 정체성(local identity)이 지역 사회 구성원의 인구 변동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조사 대상 지역의 방언형이 구성원들 사이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전수되는지 사회조직망(social network)을 고려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지역어 연구와 지역어에 대한 지역 구성원들의 언어 태도 연구를 동시에 진행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구술 면접을 하고자 한다. 구술면접 과정에서 수집된 구술 자료는 구술 사료의 가치와 언어 자료의 가치를 동시에 지닐 수 있도록 자료 분류 번호를 일정한 기준으로 통일하고 디지털 파일로 관리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목표에는 연구 진행 과정에서 발생할 2011년 현재 나주 지역의 지역어에 대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자료 확보도 포함된다.
  • 기대효과
  • 이 연구의 결과물은 나주 지역의 지역어 연구와 전남 방언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자료로 활용된다. 지역 구성원들의 사회연결망에서 언어 변이가 어떻게 전파되는지 파악하여 방언 전파에 대한 고찰도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 발생한 음성, 동영상, 녹취물 등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자료는 수십 년 이상 보존될 수 있고 음질이 감소하지 않는 디지털 자료의 특성을 살려 본 연구의 종료 이후에도 보존되어 앞으로 21세기 방언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각 대학 국어국문학과의 방언학 강의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시도할 구술 면접을 활용한 방언 조사 방법론은 방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다양한 방언 조사 방법론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된다.
    사회언어학을 기반으로 한 방언 연구는 방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방법론이기도 하지만 학생들이 관심을 보이는 방법론이기도 하다. 역사적인 방언 자료를 찾는 방언론 수업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현재 살고 있는 언어 사회에서 실시간으로 일어나는 언어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능력도 중요하다. 사회언어학적 방언 연구는 학생들에게 언어 현상과 사회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생들의 인문학적 소양을 풍부하게 하는데 직접적인 기여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지역 인구 감소에 대한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태도를 파악하여 21세기에 계속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농촌 지역의 도시화, 지역 인구 감소, 고령화, 결혼 및 노동 이민 유입 등이 한국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하는 기초 자료로도 활용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보다 먼저 고령화와 농촌의 도시화, 농촌 인구 감소가 진행된 외국의 연구와 비교․분석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인구 감소가 언어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보편성과 한국 사회만의 특수성을 찾아본다.
    연구의 진행에 따라 방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한국 사회에 특수하게 적용되는 것으로판단되는 요인이 있다면 전라남도가 아닌 경상북도나 전라북도에서 인구감소가 두드러진 다른 도시를 선택하여 이 연구를 바탕으로 수립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다. 이 주제에 대한 연구는 21세기 한국어의 역사를 기술할 수 있는 사회언어학적 언어 변화 이론을 세우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주된 조사 대상 지역은 전라남도 나주이다. 본 연구에서 나주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나주는 일반적으로 한 세대라 이르는 30여 년 동안 급격하게 인구가 감소한 지역이다. <나주시통계연보>에 의하면 1990년에서 1999년 사이에 3만 7천여 명 이상에 달하는 인구가 감소하여 연평균 3700여명이 나주를 떠났다고 한다.
    (2) 나주는 서남방언권에 속하며 전남방언, 전남지역어로 불리는 방언권에 속한다. 전남방언은 섬이 많은 남부 방언과 경상도의 접경인 동부 방언과 다른 차이를 보인다. 나주 방언이 북부 서남방언권과 유사하고, 광주를 비롯한 인접 지역과 큰 차이가 없다는 학계의 인식으로 인해 나주 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어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그렇지만 1981년 이전에는 나주와 영산포가 행정적으로 구분되어 있었던 영향도 있어서 역사적으로도 나주 지역 내부의 언어 변이의 실현이 예상된다. 여기에 나주가 지닌 도시와 농촌의 복합적 성격도 나주 지역 내부의 언어 변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나주 지역어의 언어적 특징을 더 세밀하게 기술하고 분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3) 나주는 역사적으로 전남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20세기에 들어 인접한 대도시 광주가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되었고, 20세기 중반 이후 산업화와 교육 수요, 교통의 발달로 인해 인접한 대도시 광주와 생활권을 공유하게 되었다. 나주와 광주의 관계는 지역어와 지역민들의 언어 태도에도 반영되리라고 예상된다. 지역민들이 인접한 대도시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갖고 있으며 이것이 이 지역 사람들의 언어적 규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번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다.
    (4) 나주의 도시 구조와 인구 변동은 사회언어학 이론에서 이미 지적된 언어변화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을 두루 갖추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인접한 대도시와의 영향 관계, 도시와 농촌이 복합된 도시에서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과 도시민으로 사는 사람의 방언 차이, 이른바 토박이와 귀농인과 결혼이민자를 포함한 이주민의 방언 차이 등을 알 수 있다.
    (5) 한국의 전반적인 인구 추세인 고령화와 저출산은 나주 지역에서도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고령자를 제보자로 삼는 전통적인 방언학의 입장에서 고령화가 방언 자료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판단될 수도 있지만 지역어가 세대에서 세대로 전수된다는 점, 고령자들과 이주자들의 방언 접촉이 오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이뤄진다는 점에서 나주의 인구 변동이 지역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려할 수 있다.
    (6) 나주는 인구 감소의 대안으로 귀농인과 결혼이민자 등 다양한 인구 유입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나주에서는 나주의 토박이말이라 할 수 있는 나주 지역어, 표준어, 다른 지역에서 온 이주자들의 언어 등 다양한 변이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나주라는 언어 사회 안에서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사회언어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구술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다. 지역 구성원의 연결망을 파악하기 위해 면접자는 자신의 지역 내 사회연결망을 통해 다음 면접자를 추천한다. 이러한 1차 면접 과정에서 연구자는 역에서 유력한 사람, 지역에서 많은 사람과 연결되어 있는 사람과 고립된 사람, 외지인과의 관계 등을 파악하게 된다.
    연구자는 자료가 녹취, 전사되는 과정에서 음운, 형태, 통사, 담화 표지를 분석하여 지역 구성원들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되는 변이형들을 추출한다. 특히 음운 표지를 분석하기 위해 음성 분석에 적합한 음질의 음성 자료를 수집한다.
    1차 면접 때 파악한 화자들의 연결망을 통해 연구자가 2차 구술 면접자를 선발하고 1차 면접의 산물에서 추출한 변이형들이 주로 나타나는 구술면접용 화제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질문지를 개발한다. 면접자가 되도록 동일한 어형을 반복하도록 질문지를 이용하여 2차 구술 면접을 진행하여 지역어 변이형의 사용과 분포를 파악한다.
    또한 이 지역은 인구 감소와 외부 접촉으로 인해 고령의 토박이와 청년층의 방언 차이가 예상도기 때문에 가계도 분석 방식의 가족 단위 면접도 실시한다. 1차 면접 과정에서 연구 대상 가족을 선정하여 3대와 8촌을 파악하여 가계도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세대별, 관계별 방언사용도, 특히 상황에 따라 방언을 사용하는 코드 스위칭(coed swiching) 실현 양상을 파악한다. 2차 면접 과정에서 가계도에 관련한 인터뷰를 세대별 대표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세대별 방언차를 확인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고령화,방언보수,나주,사회언어학,사회방언학,사회연결망,인구 이동,인구 과소화,방언 변화,방언,지역어,인구 감소,방언접촉,인접 도시,세대,방언 평준화,지역정체성,언어변이,전남방언,방언교체,표준어,도시방언,비도시방언,코드스위칭,언어규범,가계도
  • 영문키워드
  • dialect maintenance,generation gap,local identity,rural dialect,urban dialect,variation,standard language,norm,contact linguistics,social dialectology,sociolinguistics,dialect shift,koineisation,standardization,dialect leveling,population,code swiching,social network,family tree,depopulation,mobility,immigration,aging,depopulated,dialect chang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인구 감소 농업 기반 지역인 전라남도 나주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어의 변화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사회언어학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주는 지역 주민 거주의 역사가 긴 전통적인 지역으로 과거에는 풍부한 농산물과 영산강의 수운을 바탕으로 번창하던 지역이었지만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된 20세기 후반 이후 인구 감소와 사회구조 변화를 동시에 겪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나주 지역에 현재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부터 12월까지 인터넷을 이용한 서면 조사, 2012년 1월과 2월에 현지 면접 조사를 하였다. 서면 조사로는 ① 현재 나주 시민들의 구성 ② 나주 시민들의 생활 방식 ③ 나주시 내 사회 구조에 대해 파악하였다. 현지 조사로는 20대에서 80대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지역어 담화 자료를 확보하고 제보자들의 나주와 나주 지역어에 대한 생각을 수집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중 20대 여성과 30대 남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한 담화 자료를 전사, 분석하여 나주 청년층 주민들이 품고 있는 지역어와 지역에 대한 생각을 수집하고 지역어 사용에 작용하는 사회언어학적 질서를 정리하였다. 조사 결과를 통해 21세기 초 현재 나주 지역어는 지역민들의 생활 방식(lifestyle)과 생애주기(life cycle), 정체성(identity)과 관련이 있다는 점, 지역어가 소멸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지역어 사용역(register)의 축소나 지역민들의 생활 방식의 변화에 의한 일상어 종류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al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dialect in Naju area in Jeollanam-do. Employing the qualitative methodology of sociolinguistics, this study examines semi-structured interview of Naju native people, especially the twenties and the thirties. The study finds that 1) informants’ topic and words are closely related with lifestyle, lifecycle, identity and concern in all ages. It means dialect has not decline rather than reduction of register or change of lifestyle and everyday words. 2) Young informants recognized depopulation that they presented the situation as ‘‘small area” and they feel uncomfortable with acquainted relationships on rural community. 3) Informants have consciousness of dialect and standard forms. They controlled usage of dialect according to interlocutors. 4) Young informants used markers of dialect. Markers include intonation, connectors, discourses markers and exclamations. 4) Cultural desire and job opportunity, urban lifestyle is affected young informants and that precipitate migration. In 21th age, move motivated by education, job and military service is indispensable. Dialect is closely linked with speaker’s social behavior, social status and stance. So dialectologists have to develop new methodology of rural dialect considering migration and urbaniz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거주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농촌 지역인 전라남도 나주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어의 변화에 미치는 사회적 요인을 사회언어학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역어는 지역 주민들이 사용하지 않으면 쇠퇴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역 주민들이 지역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지역어의 유지, 보전 가능성이 높다는 전제에서 현재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주목하였다.
    전라남도 나주는 지역 주민 거주의 역사가 긴 전통적인 지역으로 과거에는 풍부한 농산물과 영산강의 수운을 바탕으로 번창하던 지역이었지만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된 20세기 후반 이후 인구 감소와 사회구조 변화를 동시에 겪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나주 지역에 현재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부터 12월까지 인터넷을 이용한 서면 조사, 2012년 1월과 2월에 현지 면접 조사를 하였다. 서면 조사로는 ① 현재 나주 시민들의 구성 ② 나주 시민들의 생활 방식 ③ 나주시 내 사회 구조에 대해 파악하였다. 현지 조사로는 20대에서 80대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지역어 담화 자료를 확보하고 제보자들의 나주와 나주 지역어에 대한 생각을 수집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중 20대 여성과 30대 남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한 담화 자료를 전사, 분석하여 나주 청년층 주민들이 품고 있는 지역어와 지역에 대한 생각을 수집하고 지역어 사용에 작용하는 사회언어학적 질서를 정리하였다.
    조사 결과를 통해 21세기 초 현재 나주 지역어는 지역민들의 생활 방식(lifestyle)과 생애주기(life cycle), 정체성(identity)과 관련이 있다는 점, 지역어가 소멸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지역어 사용역(register)의 축소나 생활 방식의 변화에 의한 생활어 종류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1) 모든 연령층 면접에서 발견된 공통점은 이들이 사용하는 어휘와 화제가 이들의 관심사와 생활 방식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사회 집단, 세대, 생활 방식에 따라서 사용 어휘의 차이가 나타난다. 이는 현재 지역어가 쇠퇴한다고 판단하기보다는 지역어 사용역(register)의 축소나 생활 방식의 변화에 의한 생활어 종류의 변화로도 판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인구는 감소하더라도 지역 기능이 유지되기 때문에 지역민들은 ‘서로 아는 사이’의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본 연구의 제보자들도 모두 나주의 인구가 줄고 있다는 것과 지역민들이 ‘서로 아는 사이’로 유지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를 ‘지역이 작다’는 언어적 표현을 사용하여 공간의 협소화로 치환하여 설명하고 청년층의 경우 이를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3) 제보자들은 나주시 전체를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나주, 영산포, 노안, 산포, 동강 등등 다양한 지점들의 합으로 인식하면서 묘사하는 경향이 있다. (4) 제보자들은 모든 연령에 공히 방언과 표준어에 대한 의식이 있으며 외부인인 조사자, 외부인은 아니지만 낯선 사람인 협력자, 자신이 알고 있는 사람 등 상대방에 따라 방언사용을 조절하는 방식을 취한다. (5) 전통적인 지역 방언 조사 결과와는 다르지만 담화 표지, 억양, 음운에서 지역어의 특성이 남아 있다. 모든 제보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강세구와 억양구의 경계에서 나타나는 장음화와 하강 억양(LHL)이 특징적이다. 경계에서 나타나는 장음화는 전사 표기에서 물결(~)표시로 반영하였다. 어휘의 경우 20대 여성의 경우는 표준어 어휘를 중심으로 대화가 진행되었지만 30대 남성 인터뷰에서 기존의 연구에서 전남지역어의 특징으로 보고된 예들이 나타난다. (6) 지역어 사용은 지역민의 생애주기와의 관련성이 있다. 나주에 사는 지역민의 경우 20-30대의 경우 청소년기(adolesent) 이후 더 나은 교육과 취업의 기회가 외지에 있는 경우, 남성의 경우 군 입대처럼 생애 주기에서 이주가 필수적으로 발생한다. 이주는 다른 방언과의 접촉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요인이다.
    연구 결과 앞으로의 지역어 연구는 과거의 언어 자료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민들의 언어 사용 양상을 기록하는 방향으로 연구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 적용한 인터뷰 방법이나 질적 연구 방법론은 역동적인 지역어 사용 환경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변동하는 지역어를 조사, 연구하는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앞으로의 지역어 연구에서 지역민의 이동은 배제해야 하는 요소가 아니라 필연적인 요소로 고려해야 한다. 지역민들의 이동과 다른 지역어와의 접촉을 염두에 둔 지역어 조사 방법론의 개발이 시급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역민들의 언어적 지식은 지금 살고 있는 현재, 지금 살고 있는 생활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역어는 과거의 유산이나 역사적 언어 자료가 아니라 지역 사람들이 현재 쓰고 있는 말이다. 따라서 지역어 보전을 위해 할 일은 지역민들을 그 지역에서 살게 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인터뷰 결과 지역의 청년들이 지역에서 바라는 것 중 가장 큰 요소는 문화적 요소이다. 그런데 지역 인구 과소화에 의해 문화 시장이 좁아지면서 농촌 지역에서 문화를 접하는 일이 어려워졌고, 문화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지역 청년들은 외지로 나가는 것을 희망하기도 한다. 이렇게 된다면 도시화는 오히려 지역 청년들의 이주를 막는 요인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교육이나 취업 등 더 나은 삶의 기회나 군 의무 복무와 같은 청장년기 지역민의 이주는 지역민의 생애 주기에서 필수 요소가 되었다. 다만 이주가 필수요소인 경우 세대단절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언어 자원의 별도 보전은 필요하다.
    앞으로의 지역어 연구는 과거의 언어 자료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민들의 언어 사용 양상을 기록하는 방향으로 연구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 적용한 인터뷰 방법이나 질적 연구 방법론은 역동적인 지역어 사용 환경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변동하는 지역어를 조사, 연구하는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연령, 라이프스타일과 경제 수준 등이 지역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은 지역이 지역민의 필요를 채울 수 없어서 지역민들의 이동이 발생한 결과임을 지역민들의 발화를 통해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의 지역어 연구에서 지역민의 이동은 배제해야 하는 요소가 아니라 필연적인 요소로 고려해야 한다. 지역민들의 이동과 다른 지역어와의 접촉을 염두에 둔 지역어 조사 방법론의 개발이 시급하다.
  • 색인어
  • 나주,인구감소, 농촌, 생애주기, 지역어, 방언, 지역민, 사회언어학, 생활방식, 사용역, 정체성, 질적연구방법, 눈덩이표집, 반구조화인터뷰, 입장, 사회적 지위, 제보자, 문화기술지인터뷰, 반표준화인터뷰,인구이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