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성서 아람어의 어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d Order in Biblical Aramaic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4655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권성달
연구수행기관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성서 아람어는 셈어로서 특히 우가릿어, 페니키아어, 특히 히브리어가 속해 있는 서북부 셈어에 속한 언어이다. 셈어의 가장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특징으로 알려진 것은 동사가 문두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주어 조차도 동사 뒤에 위치하여 '동사-주어-목적어'(VSO)의 어순을 갖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셈어의 특징이다. 우가릿어, 페니키아어, 히브리어가 모두 그러한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성서 아람어는 어순을 살펴 볼 때 셈어 중에서도 동일한 서북부 셈어에 속하는 우가릿어, 페니키아어, 히브리어와는 매우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성서 아람어 문장에서 목적어를 갖는 타동사가 등장하는 경우 목적어가 동사 뒤에 위치하는 것보다는 동사 앞에 위치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히 나타난다.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만을 고려했을 때 성서 아람어는 셈어보다는 우리말이 속해 있는 알타이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어순은 한 언어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어순과 비정상적인(특이한) 어순에 대한 구분은 문장에 대한 해석에도 영향을 미친다. 비정상적인 어순에서는 대개 '강조'나 '부각' 등과 같은 저자의 특별한 의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서 아람어의 어순에 관한 연구는 성서 아람어 텍스트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정확한 해석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성서 아람어 뿐 아니라 타르굼 옹켈로스, 타르굼 요나탄, 타르굼 네오피티 등 각종 아람어 역본들과 시리아 페쉬타 역본 등의 올바른 접근으로 연결되어 심도 있는 성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크게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성서 아람어의 어순이 성서 히브리어 등과 같은 여러 서북부 셈어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세계 최초의 언어인 수메르어가 우리말과 동일한 알타이어에 속하며 셈어 어족 중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인 아카드어가 수메르어의 영향을 받아 동사가 문장 끝에 위치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렇다면 성서 아람어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어순 현상은 수메르어와 아카드어의 영향을 받은 것인가?
    셋째, 성서 아람어의 어순은 우리말이 속한 알타이어와 최초의 언어인 수메르어와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모든 성서 아람어 텍스트에 대한 1차 자료 정리가 끝난 후 첫 단계로서 행해지는 성서 히브리어와 비교 분석은 성서 아람어 텍스트의 해석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성서 히브리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목적어가 동사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목적어가 동사보다 선행하는 문장에서는 목적어가 강조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성서 아람어에서는 목적어가 동사보다 선행하는 문장이 매우 많이 등장하므로 성서 히브리어에서와 같이 분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성서 히브리어의 구문을 보는 시각으로 성서 아람어 문장에 적용할 경우 잘못된 해석을 하게 될 위험성이 다분하다. 그러므로 성서 아람어와 성서 히브리어의 비교 분석은 성서 아람어 텍스트에 대한 올바른 해석으로 인도할 것이며 나아가 구약 학계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성서 히브리어와의 비교 분석 이후에 행해질 아카드어와 우가릿어 등과의 비교 분석은 성서 아람어가 성서 히브리어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 이유를 규명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아람어는 아카드어가 1,000년 이상이나 국제어로 사용된 지역들과 인접한 지역에서 아카드어 다음으로 국제어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성서 아람어가 아카드어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는 것은 자연스럽다. 셈어가 아닌 알타이어이며 세계 최초의 언어인 수메르어가 최초의 셈어인 아카드어에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아카드어가 아람어에 영향을 끼쳤으므로 성서 아람어는 셈어에 분류되기는 하지만 알타이어인 우리말과 유사한 점이 많이 발견된다. 셈어 뿐 아니라 수메르어와 알타이어와의 비교 분석은 구약 학계는 물론 역사언어학, 비교언어학 등에도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서 우리말의 기원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성서 아람어에 대한 올바른 접근은 타르굼 옹켈로스, 타르굼 요나탄, 타르굼 네오피티 등 각종 아람어 역본들과 시리아 페쉬타 역본 등의 올바른 접근으로 연결되어 성서 해석을 풍부하게 하는데 있어 발전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아람어는 세계 4대 문명 중 가장 핵심적인 두 문명(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을 모두 포함하는 고대 근동에서 500년 동안이나 국제어(Lingua Franca)로서의 역할을 감당했던 언어이다. 또한 히브리어와는 달리 아람어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사용되어 왔으며 신약시대에 예수와 제자들이 사용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언어이다. 성서 아람어는 고대 근동에서 500년 동안 사용되었던 국제어와 동일하기 때문에 성서 아람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고대 근동학의 학문적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연구목적 - 성서아람어는 서북부 셈어에 속하는데도 불구하고 셈어에서 가장 일반적인 어순인 '술어(동사)-주어-목적어'의 어순을 갖지 않고 특이한 어순을 갖는 이유가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다. 세계 최초의 언어인 수메르어가 우리말과 동일한 알타이어에 속하며 셈어 어족 중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인 아카드어가 수메르어의 영향을 받아 동사가 문장 끝에 위치하는 특징을 갖는데 성서 아람어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어순 현상은 수메르어와 아카드어의 영향을 받은 것인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두 번째 목적이다. 성서 아람어의 어순이 우리말이 속한 알타이어와 최초의 언어인 수메르어와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세 번째 목적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방법을 중요한 방법론으로 사용한다. 정확한 자료를 근거로 한 통계적인 분석은 이론적이고 추상적이고 예측에 근거한 분석이 아니기 때문에 그만큼 위험성도 감소된다. 자료수집과 분석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서 성경관련 소프트웨어들인 어코던스, 바이블웍스,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이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하여 성서 아람어의 모든 텍스트를 조사할 것이다. 우선 문장을 동사문장, 명사문장, 분사문장, 하바(=to be)문장, 기타문장으로 나누어 조사할 것이다. 동사문장에서는 동사의 위치와 주어 및 목적어의 위치를 중심으로 파악할 것이다. 성서 아람어에서는 성서 히브리어에 비해 분사의 사용빈도가 매우 높으며 분사가 정동사(finite verb)의 감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성서 아람어에서 분사문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서 히브리어와의 비교는 물론 성서 아람어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이다. 또한 성서 히브리어의 하야(=to be)문장과 많은 차이를 보이는 성서 아람어에서의 하바(=to be)문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 외에 성서 히브리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나 성서 아람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특이한 표현들이나 구문들은 기타문장으로 분류하여 따로 조사할 것이다. 성서 아람어에 대한 1차 자료 조사가 끝난 후 분석 단계에서는 가장 먼저 성서 히브리어와 비교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그 후에 아카드어와 우가릿어 및 아랍어 등과 같은 다른 셈어들은 물론 수메르어나 알타이어 등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성서 아람어가 어떤 언어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가장 유사한 언어가 어떤 언어인지를 다각도로 살펴볼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아람어는 셈어 중 우가릿어, 페니키아어, 특히 히브리어가 속해 있는 서북부 셈어에 속한 언어이다. 셈어의 가장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특징으로 알려진 것은 동사가 문두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공식 아람어였던 성서 아람어는 서북부 셈어와 매우 다른 어순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서 아람어의 구체적인 어순을 살펴보기 위해 성서 아람어의 모든 문장, 즉 1002개의 문장을 모두 전수조사하였는데 문장의 종류(동사문장, 명사문장, 분사문장, 하바문장[HAVA=to be] 등), 동사의 형태, 주어/술어/목적어의 어순, 서술체와 대화체, 시제, 독립절/종속절 등의 매개변수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동사문장의 어순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주어, 동사, 목적어가 모두 포함된 문장에서는 가능한 어순, 즉 6개의 어순이 모두 나타났으며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만을 비교했을 때 VO와 OV 어순이 거의 절반씩 나타났다. 따라서 성서 아람어의 동사문장에서는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성서 아람어의 어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기 위해 여러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다각도로 조사해 보았으며 성서 히브리어, 아카드어, 우가릿어, 아랍어 및 최초의 언어인 수메르어의 어순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언어학적인 측면에서는 요인을 찾을 수 없었으며 지정학적, 역사학적 요인에서 찾아야 함을 알게 되었다. 공식 아람어였던 성서 아람어의 어순이 자유어순으로 나타나게 된 것은 신아시리아 제국의 민족이주정책 이후 이주하게 된 아람 민족들이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제국의 중심지였던 메소포타미아 동부 지역에 거주하면서 원래 사용했던 고대 아람어와 이주 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던 아카드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 영문
  • Aramaic is a language affiliating to the north-west Semitic languages to which Ugaritic, Phoenician, and Hebrew belong. One of the most general and common feature of the Semitic languages is the sentence initial position of the verb. Biblical Aramaic, the formal Aramic language, has very different word order from that of the north-west Semitic languages, however. This study fully has examined all the sentences in Biblical Aramaic, that is, all the 1002 Biblical Aramaic clauses, to explore its word order. In that examination, parameters like sentence types (verbal, nominal, participial, and HAVA [=to be] sentences etc.), forms of verbs, the word order among subjects, predicates, and objects, descriptive and colloquial styles, tense, independent and subordinate clauses etc. were considered.
    As a result, the greatest differences have appeared in word orders of verbal sentences. All possible word orders, i.e., all the 6 word orders appeared in sentences where subject, verb, and object are included, while the word orders of VO and OV accounted for almost half of the tokens when the orders of verbs and objects were considered. Thus, verbal sentences in Biblical Aramaic can be said to have free word orders.
    To determine what factors have influence on the word order of Biblical Aramaic, we have made multi-angular investigation using various parameters, and compared it with the word orders of Biblical Hebrew, Akkadian and Ugarit languages, Arabic and the most ancient language, Sumerian. However, no factors were found out on the linguistic side, and hence it was noted that we should find factors from geographic and historical perspectives. We can say that the reason why Biblical Aramaic, the formal Aramaic, had free word orders is the Aramaic people who had moved after the national migration policy by the Neo-Assyrian Emprie received influence from their original ancient Aramaic that they had used when they had lived in the eastern area of Mesopotamia, and from the Akkadian language used in the area they had migra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아람어는 셈어 중 우가릿어, 페니키아어, 특히 히브리어가 속해 있는 서북부 셈어에 속한 언어이다. 셈어의 가장 보편적이고 공통적인 특징으로 알려진 것은 동사가 문두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공식 아람어였던 성서 아람어는 서북부 셈어와 매우 다른 어순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서 아람어의 구체적인 어순을 살펴보기 위해 성서 아람어의 모든 문장, 즉 1002개의 문장을 모두 전수조사하였는데 문장의 종류(동사문장, 명사문장, 분사문장, 하바문장[HAVA=to be] 등), 동사의 형태, 주어/술어/목적어의 어순, 서술체와 대화체, 시제, 독립절/종속절 등의 매개변수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동사문장의 어순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주어, 동사, 목적어가 모두 포함된 문장에서는 가능한 어순, 즉 6개의 어순이 모두 나타났으며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만을 비교했을 때 VO와 OV 어순이 거의 절반씩 나타났다. 따라서 성서 아람어의 동사문장에서는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성서 아람어의 어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기 위해 여러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다각도로 조사해 보았으며 성서 히브리어, 아카드어, 우가릿어, 아랍어 및 최초의 언어인 수메르어의 어순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언어학적인 측면에서는 요인을 찾을 수 없었으며 지정학적, 역사학적 요인에서 찾아야 함을 알게 되었다. 공식 아람어였던 성서 아람어의 어순이 자유어순으로 나타나게 된 것은 신아시리아 제국의 민족이주정책 이후 이주하게 된 아람 민족들이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제국의 중심지였던 메소포타미아 동부 지역에 거주하면서 원래 사용했던 고대 아람어와 이주 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던 아카드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성서에 아람어로 기록된 모든 텍스트를 어순을 중심으로 전수조사한 결과 명사문장에서는 기본 어순이 SP로서 주어가 술어를 선행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분사문장에서는 기본 어순이 VO로서 술어 분사가 목적어를 선행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분사가 하바와 함께 사용되었을 때는 그 둘의 순서가 자유롭게 나타났다. 반면, 성서 아람어는 동사문장의 어순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주어, 동사, 목적어가 모두 포함된 문장에서는 가능한 어순, 즉 6개의 어순이 모두 나타났으며 동사와 목적어의 어순만을 비교했을 때 VO와 OV 어순이 거의 절반씩 나타났다. 따라서 성서 아람어 동사문장에서는 기본 어순을 찾아내기 힘들었다. 즉 자유로운 어순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성서 아람어 동사문장이 자유 어순을 갖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여러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다각도로 조사해 보았으나 언어학적인 측면에서는 요인을 찾을 수 없었으며 지정학적, 역사학적 요인에서 찾아야 함을 알게 되었다. 공식 아람어였던 성서 아람어의 어순 비율이 VO와 OV 어순으로 비슷하게 나타나게 된 것은 신아시리아 제국의 민족이주정책 이후 이주하게 된 아람 민족들이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제국의 중심지였던 메소포타미아 동부 지역에 거주하면서 이전에 사용했던 고대 아람어와 이주 지역에서 사용했던 아카드어의 영향을 받아 아람어의 어순에 변화가 생겨 두 어순이 자유롭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타르굼 옹켈로스, 타르굼 요나탄, 타르굼 네오피티 등 각종 아람어 역본들과 시리아 페쉬타 역본 등의 올바른 접근으로 연결되어 성서 해석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데 발전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본 연구는 성서학계는 물론 셈어학, 역사언어학, 비교언어학 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수메르어와 알타이어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로 연결되어 우리말과 우리 민족의 기원에 대한 후속 연구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지적한다면 충분한 자료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여 국외 출장을 가지 못했는데 국내에서 연구할 수 있는 고대근동 문서자료가 빈약하여 고대 아람어 문서에 대한 1차 자료 수집에 한계가 노출되었다. 여건이 허락된다면 성서 아람어 외의 아람어로 된 여러 가지 문서들(고대 아람어, 공식 아람어, 중기 아람어의 문서들)에 대해서도 통계 조사를 하여 보다 정확한 자료를 확보하여 분석한다면 공시적 연구는 물론 통시적 연구를 통해 보다 폭넓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 색인어
  • 성서 아람어, 공식 아람어, 어순, 셈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