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국의 경제관행과 현대기업의 변화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413-B00029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3 년 (2010년 12월 01일 ~ 2013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용준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주원(성균관대학교)
이상윤
이상빈(충남대학교)
오원석(성균관대학교)
노은영(경희대학교)
박종한(가톨릭대학교)
홍성화(성균관대학교)
정혜중(이화여자대학교)
강용중(성균관대학교)
박기수(성균관대학교)
이화승(서울디지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중국은 세계 제2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한국과 중국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방면에서 교류와 협력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한국의 최대 무역파트너이자 최대 투자대상국이 되었다. 또한 한국 내에 다수의 중국 유학생과 노동자가 생겨나게 되면서, 중국이라는 존재는 정치, 경제의 영역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그 비중이 대폭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경제의 생존을 위해서도 중국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절실히 요망된다.

    중국 경제는 중국의 역사, 사회구조, 심리, 종교와 정치상황 등 다양한 요인이 함께 영향을 주고받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장기간에 형성된 중국의 고유한 문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정 국가의 문화는 필연적으로 가족관계나 법질서 등의 사회구조 형성에 영향을 주게 마련이고, 다양한 경제적 질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고유한 경제 질서는 다시 경제발전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현대 중국의 기업문화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의 전통적 상업문화를 탐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중국의 전통적 상업문화가 현대 중국의 기업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고 전통과의 단절이 이루어진 부분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많은 기업들이 중국 각지에 진출하여 실패와 성공을 거듭하고 있다. 따라서 재중 한국기업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로 관리, 전략, 인적자원, 금융시장, 제도적 개선, 대정부관계 등의 측면에서 대처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업이 겪고 있는 문제, 특히 한국 관리진과 중국 직원 간의 문화적인 차이와 불만들은 근본적으로 두 나라의 문화에 바탕을 둔 사고방식과 행동패턴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현대 중국 시장문화의 특성을 파악함으로 재중 한국기업에게 성공적인 기업경영전략의 가이드라인 역시 제시할 수 있다.

    경제활동은 각 지역의 역사, 사회구조, 심리, 종교 및 정치상황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 가운데 문화는 경제활동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시장문화의 연관성이라는 시각에서 지역문화와 경제발전의 내재적 관련에 대한 연구는 현실적 의미와 학술적 가치를 모두 겸비하고 있다. 어떤 국가의 시장문화는 상업문화, 소비문화, 기업문화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 전통 상업문화는 현대의 시장문화 즉, 소비문화와 기업문화에 직간접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시장문화의 내재적 관련성을 연계하여 연구한다는 점, 그리고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학제간 연구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추구하고 있는 두 가지 측면에서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1910년 이후 중국에서도 경제관행을 조사하기 시작했고, 일본은 1910년대 이후, 중국을 점령하기 위하여 서구적인 방법에 근거하여 관행조사를 세밀하게 실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양자의 연구는 모두 종합에 이르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과 일본에서 이루어진 상업사와 상업관행에 대한 여러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종합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제적인 연구에 입각하여 문화와 경제활동을 종합적으로 조사‧연구하려고 한다. 제1세부과제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 연구>는 현대 중국의 소비문화와 기업문화를 검토하는 제2세부과제 <중국의 현대 시장문화 연구>의 기초가 된다. 이 연구를 구체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제1세부과제 담당연구자와 제2세부과제 담당 연구자들의 정기적인 학술 모임(세미나, 콜로키움)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공동학습과 토론을 전개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가 현대 시장문화에 끼친 영향을 파악하고, 또한 현대 소비문화와 기업문화가 경제활동에 미친 효과를 규명한다. 중국의 전통적 상업문화가 현대 소비문화와 기업문화에 끼친 영향을 파악하여 중국경제와 역사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기업경영활동의 핵심 요인을 관리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시장문화에 대한 연구>의 총괄과제 중 2단계 세부과제인 <중국의 경제관행과 근 현대적 전개>와 <중국 현대기업과 소비문화>는 중국학 관련 “선순환 구조”를 확보하고 있다. 이는 1과제인 중국의 경제관행과 근 현대적 전개 연구가 2과제인 중국 현대기업과 소비문화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임을 의미하는 동시에 현대 시장문화에 공시성과 통시성을 부여하며, 지역적, 역사적 특성을 중심축으로 하고 있다. 2단계에서 추진할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시장문화에 대한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



    첫째,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결합으로 새로운 역사상을 구축한다. 이는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기업문화의 연관성을 해명하고, 부상하는 현대 중국경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학제적 연구를 통해 중국경제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을 제시한다.

    둘째, 중국경제의 이해를 통한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경영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한국과 중국기업, 다국적 기업에 대한 통합적인 비교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중국의 문화와 지역별 특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를 위해 사례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한 한국기업의 효과적인 중국 내수시장 공략에 대한 전략을 제언한다.

    셋째, 연구 성과의 대중화·국제화를 추진한다. 연구 성과를 국내, 국외의 학술지 발표를 통해 성과를 확산시키고, 연구총서 발간을 통해 연구 성과를 대중화시킨다. 또한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한 강좌개발로 사회적 소통 확산에도 일조한다.

    넷째, 한국연구재단의 위상이 제고된다. 위와 같은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현대중국 경제활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고 사회적 소통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위의 연구를 지원한 한국연구재단의 위상 역시 제고된다.



    2. 전문 인력의 양성



    첫째,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시장문화를 연구하는 연구자를 양성한다. 이를 위해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팀의 연구보조원을 학문후속세대로 양성하고, 연구전임인력과 연구보조원 등 참여 대학원생들과의 지속적인 세미나를 통한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시장문화를 연구하는 연구자를 양성한다.

    둘째, 연구의 소통과 확산을 위한 학술 네트워크 구축한다. 이를 위해 협력 연구기관과의 정기적인 학술회의를 통해 연구 성과를 심화시키고, 관련 연구기관과 연구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연구 성과를 확산시킨다. 뿐만 아니라 해외 기관과도 교류협정 체결을 통해 지속적인 학술 네트워크를 확대할 것이다.



    3. 교육과의 유기적 연대



    첫째, 성균관대 내의 HK사업과 연계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현재 성균관대 내 HK사업은 “소통과 확산 : 동아시아 연구를 통한 한국인문학의 창신”이라는 과제를 가지고 연구하고 있는데, 이와 연계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강의 모델과 교육방법론을 제시한다.

    둘째, 성균관대 내의 BK사업과 연계하여 관련 강좌를 개설한다. 성균관대 내의 BK 사업단과 연계하여 학부와 대학원에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시장문화에 대한 연구>와 관련된 강좌를 개설한다. 또한 연구실, 자료실 등에 대학원생들을 배치하여 연구 역량을 강화한다.

    셋째, 연구 성과를 시민사회로의 확산시킨다. 중점연구소의 연구 성과를 시민사회교육에 활용하고 보급시키며, NGO와 연계하여 시민강좌, 인문학 평생교육 등에 연구 성과를 활용한다.
  • 연구요약
  • 중국경제의 부상으로 볼 때 향후 세계 질서는 미국과 중국의 양자 구도로 재편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국경제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과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중국은 15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서구를 능가하는 대제국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그에 상응하는 독자적인 문명관과 상업관행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전통은 근현대시기를 맞이하면서 일견 해소된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중국인들의 삶속에 침투되어 독자적인 문명을 유지하면서 경제활동을 영위해 왔다. 그러므로 중국 경제현상에 대한 총체적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전통과 현대의 계승과 단절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현대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에 대한 이해의 필요와 더불어 과거의 상업전통을 아울러 살펴보는 인문학과 사회과학이 결합한 학제적 중국연구는 어느 때 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이를 통해 상업․시장․기업문화 연구의 새로운 모델 제시하고 중국학의 새로운 전형 모색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현대 중국의 시장·기업·상업 문화를 하나의 역사적인 맥락에서 이해하려면 반드시 전통상업 문화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시장문화를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시장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국의 전통적 상업문화가 현대 중국의 기업문화와 시장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중국의 상업문화 전통이 근대 이후의 급속한 변화를 거쳐 현대의 경제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사회과학적 접근만으로는 적절한 해답을 찾을 수 없다. 그리고 사회주의 개조나 문화대혁명을 거쳐 사회주의 시장경제라는 체제의 변화과정에서 전통적 경제관 및 상업관행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전승되고 확장했는지를 연구한다면 현재의 중국 경제의 실체적인 동력과 메커니즘을 밝혀 줄 수 있다고 기대된다. 즉 전통과 현재의 단절과 계승의 모든 과정을 하나의 단위로 연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방향의 기조 속에서 전통 상업문화의 입체적 연구 모델을 개발하고 개별 분산적 연구를 극복한다면 전통 상업문화의 입체적 연구 모델을 개발하여 현재의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연구에 접목하고 소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과제는 중국의 전통문화와 현대 중국 경제를 역사학+언어학+경영학+경제학으로 이루어진 학제적인 연구라는 성격을 가지며, 이 점에서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학제적 소통을 특성으로 하는 본 연구과제는 선행 연구의 부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1세부 과제인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의 연구와 제2세부 과제인 현대의 시장문화로 이루어져 있다. 이 양자의 관계는 시간적으로 선후의 관계에 있다. 그러나 연구의 수행과정은 개별적이고 분산적인 것이 아니라 현대 중국의 경제를 사회과학과 인문학과의 연계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공통적인 주제(금융, 중재, 국가권력, 지역성, 상업관행 등)를 정해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려고 한다.

    제2세부 과제의 대범주는 시장문화, 소비문화, 기업문화이며, 이에 상응하는 제1세부 과제의 범주는 시장, 소비, 상업이다. 이렇듯 연구 영역에서 기본적인 대응관계가 명확하므로 연구 수행에서 명확한 연관성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위 범주에서는 시장, 소비, 기업의 각 활동영역이나 그것을 둘러싼 여러 가지 요소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2단계에서는 국가권력과 상인 또는 금융의 태동과 진화 등의 공통주제를 설정하여 현재 중국 경제 분야의 커다란 이슈까지 아우르면서 학제적 연구를 수행하려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과제의 최상위 목표인 현대 중국 상업문화의 전승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이 도출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 한글키워드
  • 경제정책,기업경영,사회적 책임,상업사,상인,상품유통,시장문화,중국,제도,전통 상업문화,유교문화,소비문화,상인의식,상업어휘,상업관행,내수시장,금융자본 현대 기업문화
  • 영문키워드
  • Business Management,CSR,China,Traditional Commercial Culture,Trader Consciousness,Merchandise,Market Culture,Institution,Financial Capital Modern Market Culture,Economic Policy,Domestic Market,Consumption Pattern,Confucian Culture,Commodity Circulation,Commercial Vocabulary,Commercial Practice,Commercial Histor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소는 제2단계에 진입하여 중국의 경제관행과 현대기업문화의 변화(The Economic Practice and the Change of Modern Corporate Culture in China)라는 총 주제를 가지고 제1 세부과제와 제2 세부과제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제1세부과제에서는 다음의 3가지 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3가지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주제는 전통 중국 상인문화 상업관행에 관한 연구이다. 제2주제는 전통 중국의 상업어휘와 상인의식에 관한 연구이다. 제3주제는 근대 중국의 상인자본과 금융관행에 관한 연구이다. 제1주제는 제1소과제로 “전통 중국 상인문화의 전통과 ‘상인상’”과 제2소과제로 “명청시대 상업관행과 시장구조”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소과제는 중국 상인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상업 활동에 종사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어떤 모습을 보였는가를 검토하기 위해 그들이 성장한 배경과 당시 사회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서 어떤 변화과정을 거쳤으며 근대화라는 거대한 변화 속에서 어떤 의식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인식하에 1년차에는 중국 유교 전통 속에서의 ‘상인’, 2년차에는 중국 전근대 법률조문 속에서 상인 인식의 변화, 3년차에는 중국 전통상인의 경제관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소과제는 1단계 연구 성과를 심화·발전하는 과정으로서 1단계가 주로 민간부분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했다면, 2단계에서는 민간에 대한 국가 정책에 관한 부분에 접근하고자 했다. 이를 바탕으로 1년차에는 청대 강남지역의 상공업조직과 시장관계, 2년차에는 청대후기 중경지역의 시장구조, 3년차에는 󰡔老乞大(Laoqida)󰡕를 통해서 본 중국 상업관행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주제는 전통 중국의 상업어휘와 상인의식의 변화이다. “명청 상업사와 중국어 역사어휘학의 학제적 연구”를 세부주제로 삼아 유해류 역학서 9종의 500여 개의 상업관련어휘를 분석했다. 1년차에는 유해류 역학서 상업어휘의 심층적 연구를, 2년차에는 󰡔老乞大󰡕 4종 판본의 비교를 통해본 상업언어의 변천, 3년차에는 현대 중국 상업어휘와 전통 상업어휘의 연계를 연구하였다. 제3주제는 제1소과제 “전통 중국의 대외무역에 나타난 국가권력과 상인-광동과 상해를 중심으로”와 제2소과제 “근대 중국의 은행정책과 금융계의 변화”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소과제는 국가권력과 상인이라는 문제를 염두에 두면서 그러한 문제가 대외무역에 어떻게 반영되었고 그 결과 대외무역 중심지인 광주와 상해에서 상인이 어떻게 형성·발전하였는가를 탐구하였다. 1년차에는 청대 대외무역에서 行商과 청조의 갈등·협력을, 2년차에는 청말 上海에서의 生絲비단 제품 수출의 특징과 성격을, 3년차에는 청말 광주와 상해의 生絲상인의 형성과 발전을 연구하였다. 제2소과제는 국가의 은행/화폐정책과 이를 중심으로 금융업의 구도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외국은행과 중국은행 그리고 이러한 국내외 은행에 맞서 지역 금융에서 큰 비중과 역할을 수행한 “錢莊”을 각각 분석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1년차에는 청말 외국은행의 중국진출과 지역네트워크에 대해, 특히 홍콩상하이은행(HSBC)의 사례를 중심으로, 2년차에는 淸末民初 중국의 은행정책과 ‘중국은행’을, 3년차에는 남경정부의 화폐개혁정책과 상해 전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소의 제2세부과제에서는 제2단계에 진입하여 다음의 4가지 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4가지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주제는 중국 현대기업문화에 관한 연구이다. 제2주제는 중국 현대 유통시장에 관한 연구이다. 제3주제는 중국 현대금융과 법률 체계에 관한 연구이다. 제1주제는 중국 현대기업문화에 관한 연구이다. 중국의 전통문화를 고려할 때 중국의 기업문화는 풍부한 함의를 가지고 있으나, 현대적인 기업문화의 개념이 중국에 유입된 것은 1985~86년경으로 중국에서 ‘문화열’이 한창이던 시기와 맥을 같이한다. 중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예상해보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의 현대기업문화를 알아야 한다는 인식하에 본 연구소는 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제1주제에 대하여 각각 1년차에는 중국의 전통상인과 현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2년차에는 중국 온주지역 문화와 산업클러스터, 3년차에는 중국기업의 조직문화, 리더십유형과 기업형태에 대한 연구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주제는 중국 현대 유통시장에 관한 연구이다. 중국은 유통업체들을 제조기업과 대비해서 상업기업(商業企業)이라는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중국의 유통업에 진출하려는 외자 상업기업들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외자 상업기업들에 의한 신유통업태의 등장은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유통시장에도 큰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제2주제와 관련하여 1년차에는 중국 리엔화(Lianhua) 기업의 사례연구, 2년차에는 중국소비자의 문화적 특성차이와 브랜드 태도 연구, 3년차에는 중국소비 계층에 대한 경영 전략 연구의 주제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제3주제는 중국 현대금융과 법률 체계에 관한 연구이다. 중국의 상업관행과 시장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 금융제도, 재정제도 등 제도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와 함께 무역제도 및 무역관행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도 필수적이다. 이에 따른 금융제도와 법률체계를 중심으로 중국의 상업관행과 시장문화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주제에 대하여 각각 1년차에는 중국의 녹색금융에 관한 연구, 2년차에는 중국의 무역제도에 관한 연구, 그리고 3년차에는 중국의 제조물책임법 및 재정분권체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4주제는 중국 현대 기업지배구조에 관한 연구이다.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에 관한 정의는 크게 광의와 협의로 나누어진다. 광의의 지배구조는 회사 운영과 관련한 일체의 이해관계를 포함하며 협의의 지배구조는 기업의 이사회, 임원 및 주주간의 이해관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주제에 대하여 각각 1년차에는 중국 상업은행의 CSR에 관한 연구, 2년차에는 중국 금융기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연구, 3년차에는 중국 표호와 도시상업은행 지배구조의 연계성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 영문
  • The research institute, having entered the second stage of the plan, pursued its 1st and 2nd sub-tasks under the higher task titled “The Economic Practice and the Change of Modern Corporate Culture in China.” First of all, the 1st sub-task pursued researches on the following three topics. The first topic concerns China’s traditional trading culture and practices. The second one concerns China’s traditional trade vocabulary and traders’ business mind. The third one concerns modern China’s trade capital and finance, financial customs and behaviors. The first topic is, once again, divided into the first sub-topic “the tradition of Chinese trade culture and its ‘ideal trader’” and the second one “trade customs and market structure in Ming-Qing dynasties.” The first sub-topic examined how and with what kind of mind Chinese traders did business and reacted to various environments, by looking into the surroundings in which they grew up and the turbulent society at the time. Moreover, it also examined, generally, the transformations they went through and the changes of their mentality in the advent of modernity. In this line of thought, researches were done, in the first year, about ‘traders’ in China’s Confucian tradition; in the second year, about the changes of traders’ mentality shown in China’s pre-modern legal codes; in the third year, about the trade philosophy of traditional Chinese traders. The second sub-topic is meant to deepen and improve the researches done in the previous first stage. All in all, the first stage of research focused on the private sector, whereas the second stage tries to focus on government policies over such private sector. In this vein,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the first year,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e-industry organizations and markets in Huánan Region in Qing Dynasty; in the second year, concerning the market structure of Chongqing Region in late Qing Dynasty; in the third year, concerning Chinese trade customs and behaviors shown in Laoqida (老乞大). The second topic is on China’s traditional trade vocabulary and the changes of traders’ business mind. Its detailed topic is titled “An Interdisciplinary Study on the History of Trades in Ming-Qing Dynasties and the Historical Lexicology of Chinese.” More than 500 trade-related vocabulary from 9 kinds of exegesis and divination texts were analyzed: an in-depth analysis of such trade vocabulary in the first year; tracing the mutations of trade language comparing 4 different versions of Laoqida in the second year; the enlighten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Chinese trade vocabulary in the third year. The third topic is divided into the first sub-topic “Government Power and Traders in Traditional China’s International Commerce—An Example of Guangdong and Shanghai” and the second one “Modern China’s Bank Policy and Changes of Finance.” The former focuses on government power and traders, and thereby investigates how such a problematic influences international trade and, as a result, traders came into being and progress in Guangzhou and Shanghai. 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year, the research was done on conflicts and cooperations between vending traders and Qing government in international commerce; in the second year, on the contours and characteristics of silk exports in Shanghai in late Qing Dynasty; in the third year, on the rise and progress of silk traders in Guangzhou and Shanghai again in late Qing Dynasty. The second sub-topic focuses on government’s bank and currency policies and the changes of financial businesses resulting from them. Therefore, it investigates China’s domestic banks and foreign banks as well as “money-holders”(錢莊) that resisted such large-sized banks in domestic regional finance. Research in this vein was, in the first year, on foreign banks’ launching in China and China’s regional financial network in late Qing Dynasty, especially on the case of Hong Kong-Shanghai Banking Corporation (HSBC); in the second year, on China’s policies on banks and ‘Chinese banks’ in late Qing Dynasty (Min-Chu Period); in the third year, on Nanjing government’s currency reformation and “money-holders” in Shanghai. Second of all, as regards the 2nd sub-task mentioned in the beginning, the following four topics were covered. The first topic is on modern China’s corporate culture. The second one is on modern China’s distribution markets. The third one is on modern China’s finance and legal system. The first topic, as already mentioned, concerns modern China’s corporate culture. If we take China’s traditional culture, we can presume that its corporate culture should imply abundant things. Nevertheless, it is in 1985~6 that the concept of modern ‘corporate culture’ was introduced in China; it also overlaps with the time period in which ‘culture fever’ was prevalent in China. Our research institute investigated China’s corporate culture from many aspects, for we thought that, in order to predict the success of a corporation in a long term, we should divulge its corporate culture in the first. For this first topic was investigated, in the first year, China’s traditional traders and moder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second year, regional culture and industry cluster in Onju region in China; in the third year,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types, and corporate forms in Chinese firms. The second topic concerns modern China’s distribution markets. In China, distribution companies are called ‘commerce firms’ (商業企業) in distinction to production companies. Foreign commerce firms wishing to launch in China are increasing and are getting very competitive against each other, and new forms of distribution introduced by such foreign companies are deeply affecting the pre-existing distribution markets. For this second topic was studied, in the first year, the case of a Chinese firm ‘Lianhua’; in the second year, cultural segmentation and brand attitudes of Chinese consumers; in the third year, marketing strategies for different Chinese consumer segments. The third topic concerns modern China’s finance and legal system.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hina’s trading customs and market culture requires, of course, that of its institutional environments such as financial systems and, furthermor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ts international trading customs and institutions. Therefore, we should also observe China’s trading customs and market culture on the basis of its financial institutions and legal system. For this third topic was studied, in the first year, green finance in China; in the second year, China’s international trade institutions; in the third, laws of production and responsibility and system of financial decentralization in China. The fourth topic concerns modern China’s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There are definitions of corporate governance in a wider sense as well as in a narrow sense. Corporate governance in a wider sense includes all the interest-related network for the running of a firm, whereas corporate governance in a narrow sense includes board of directors, executives, and shareholders only. For this topic was studied, in the first year,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f Chinese commerce banks; in the second year,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of Chinese financial banks; in the thir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hinese government’s finance department and th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of city commerce bank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단계(2007.12-2010.11)의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시장문화’에 대한 연구에 이어 2단계(2010.12-2013.11)의 연구과제는 ‘중국의 상업관행과 현대기업문화의 변화’로 설정하고 1, 2세부 과제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1세부과제에서는 ‘중국의 상업관행과 근현대적 전개’라는 주제 하에 전통과 현대기업의 연결고리로서의 금융업을 탐구하기 위하여 전통 중국의 고리대업과 전통은행의 형식에 대해서 검토하고 산서상인의 전통은행인 표호의 자본 집적과 네트워크를 살펴보며 근현대 중국의 전통은행과 금융기관들의 변모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1단계의 연장선상에서 상인문화, 상업어휘 등의 연구를 통한 전통 상업 문화의 구체적 실상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2세부과제는 ‘중국 현대기업문화의 변화’를 주제로 전통 중국의 상업문화와 현대 기업문화와의 연계성과 적용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업문화와 소비문화의 연계성, 상업관행과 기업문화의 연계성을 검토하고 소비문화와 기업문화 전략과 관련하여 연구를 하였다. 특히 1단계 연구를 기초로 1세부과제와 2세부과제가 전통시대와 근대, 현대의 금융업의 계승과 단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1세부과제>: 중국의 상업관행과 근현대적 전개 1. 전통 중국 상인문화와 상업관행 / 2. 전통 중국의 상업어휘와 상인의식 3. 근대 중국의 상인자본과 금융관행 <2세부과제>: 중국 현대기업문화의 변화 1. 현대 중국의 기업문화에 관한 연구 2. 현대 중국의 유통시장에 관한 연구 3. 현대 중국의 금융에 관한 연구 이상의 두 과제는 시간적으로 선후의 관계에 있다. 그러나 연구의 수행과정은 개별적이고 분산적인 것이 아니라 현대 중국의 경제를 사회과학과 인문학과의 연계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공통적인 주제(이를테면 금융, 중재, 국가권력, 지역성, 상업관행 등)를 정해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과제는 중국의 전통문화와 현대 중국 경제를 역사학+언어학+경영학+경제학으로 이루어진 학제적인 연구라는 성격을 가지며, 이 점에서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학제적 소통을 특성으로 하므로 선행 연구의 부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제2세부 과제의 대범주는 시장문화, 소비문화, 기업문화이며, 이에 상응하는 제1세부 과제의 범주는 시장, 소비, 상업이다. 이렇듯 연구 영역에서 기본적인 대응관계가 명확하므로 연구 수행에서 명확한 연관성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위 범주에서는 시장, 소비, 기업의 각 활동영역이나 그것을 둘러싼 여러 가지 요소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2단계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가권력과 상인 또는 금융의 태동과 진화 등의 공통주제를 설정하여 현재 중국 경제 분야의 커다란 이슈까지 아우르면서 학제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과제의 최상위 목표인 현대 중국 상업문화의 전승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이 도출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그러므로 세부과제 간의 관계는 매우 유기적으로 연결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1단계는 ‘기초적 연구’로 정의할 수 있고, 2단계는 ‘연계와 확장’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주제들 사이의 유기적 구성과 관련성은 중점연구소의 과제로서도 의미 있을 뿐만 아니라, 학제적 연구의 다양한 시도와 결실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중국의 경제관행과 현대기업문화의 변화’라는 주제 하에 진행된 2단계(2010.12~2013.11) 연구과정에서 35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하고, 45편의 국내외 학술발표를 진행했으며, 16권의 관련 저서를 발간했다. 그중 제1세부과제는 ‘중국의 상업관행과 근현대적 전개’라는 주제로, 제2세부과제는 ‘중국의 현대기업문화의 변화’라는 주제로 총괄과제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중국학 연구의 “선순환 구조”를 통하여 학제 간 연구를 실현하였다. 제1과제는 제2과제를 위한 기초연구이며, 현대 시장문화에 공시성과 통시성을 부여하고 지역적·역사적 특성을 중심축으로 하고 있다. 1과제에서는 ‘중국 주요지역 상인과 무역활동에 관한 연구’, ‘중국 주요지역의 상품유통에 관한 연구’, ‘중국의 상인집단과 상업문화에 관한 연구’ 및 ‘중국 전통의 상인자본과 금융관행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2과제에서는 ‘중국의 소비자와 소비문화에 관한 연구’, ‘중국의 유통시장과 대외무역에 대한 실증적·제도적 연구’, ‘중국의 금융기관의 지배구조와 관한 연구’ 및 ‘중국기업의 조직문화와 기업문화에 관한 연구’를 연구계획서에 따라 진행했다. 활용방안: 첫째,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를 도모한다.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결합으로 새로운 역사상 구축하여 중국의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기업문화의 연관성을 해명하고, 부상하는 현대 중국 경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 구축하며, 학제적 연구를 통해서 중국경제를 이해하는 새로운 담론 제시한다. 그리고 중국경제의 이해를 통한 효과적인 전략 제시하며 연구성과의 대중화 국제화를 위해 국내, 국외 학술지에 발표하여 성과를 확산한다. 나아가 연구총서 발간을 통한 연구성과의 대중화를 꾀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강좌 개발로 사회적 소통 확산을 도모한다. 둘째, 전문인력 양성에 전력한다. 이는 중국 전통 상업문화와 현대 시장문화 연구자 양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팀의 연구보조원을 학문후속세대로 양성하고 연구전임인력과 연구보조원 등 참여 대학원생들과의 지속적인 세미나를 통한 학문후속세대 양성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그리고 연구의 소통과 확산을 위한 학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협력 연구기관과의 정기적인 학술회의를 통한 연구성과의 심화를 도모하고, 관련 연구기관과 연구네트워크를 활용한 연구성과를 확산하며, 해외 기관과 교류협정 체결을 통한 지속적인 학술 네트워크 확대한다. 셋째, 교육과의 연계 활용에 주력한다. 이 방면에서는 연구성과의 시민사회로의 확산이 주요 목표이다. 중점연구소의 연구성과를 시민사회교육에 활용하며 NGO와 연계하여 시민강좌, 인문학 평생교육 등에 연구성과 활용한다. 그리고 중국 상인문화, 현대 중국 기업문화 등을 주제로 한 월례강좌의 성과를 출판이나 사회적 소통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산·전파한다.
  • 색인어
  • 중국, 전통 상업문화, 상업사, 상인, 상업관행, 상품유통, 유교문화, 상업어휘, 상인의식, 금융자본, 현대 기업문화, 소비문화, 시장문화, 사회적 책임, 기업경영, 내수시장, 경제정책, 제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