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종교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0-041-B00145
선정년도 2000 년
연구기간 1 년 (2000년 09월 01일 ~ 2001년 09월 01일)
연구책임자 한내창
연구수행기관 원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요약
  • 종교는 어느 자발적 결사체보다도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다. 현대 사회에 이르러 그 객관적 영향력이 다소 감소된 면이 없지 않지만, 종교가 사회의 제도와 개인들의 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결코 과소 평가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회과학적 연구들은 종교를 사회 현상 설명에서 잔여적 변수로 취급하는 경향이 없지 않다. 이것은 종교적 현상에 대한 객관적 연구의 축적이 적기 때문이라는 생각한다. 종교의 많은 부분이 개인적 경험의 영역, 그것도 합리적 설명이 한계를 지닌 분야라는 인식이 이러한 객관적 연구의 가능성을 제한해 왔다고 본다. 그래서 우리는 한 종교적 현상의 객관적 이해를 위한 연구를 기획하게 되었다. 특히, 종교적 신앙이 개인들에게 갖는 한 기능적 역할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즉, 다양한 종교성 차원들에 따라 개인들의 정신 건강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경험적 자료에 기초하여 판단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종교가 개인들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평가를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종교는 본질적 불안을 감소시켜주고, 희망감이나 권력감(sense of power) 등을 제공해주며, 도덕적 확신을 제공해 주는 등의 다양한 기제들을 통해 정신 건강의 다양한 차원들에 긍정적 함의를 가지는 반면, 또한 종교는 과도한 죄의식을 강요하고, 자기 비하, 감정의 억압 등의 기제들을 통해 정신건강에 부정적 함의를 가질 확률도 없지 않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사회적 현상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종교성 척도들과 정신 건강 척도들을 사용하여 종교성 차원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관한 가설들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가설의 의사성 (spuriousness)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상황적 맥락 변수들이 도입되어 통계적 통제 (statistical control)가 시도될 것이다.
    연구는 중소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가 수집될 것이다.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표본은 행정구역을 이용한 다단계 집락 표집 방법에 의해 추출될 것이며, 최종적 응답자는 조사자 선택의 자의성을 제어하기 위해 grid method 기법을 도입할 것이다. 그리고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는 다차원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예를 들면, 종교성웰올平ㅐ?위해 우리는 종교의 신봉 여부를 넘어서, 신봉 종교, 종교적 활동의 열성도, 종교적 신념의 강도, 종교적 동기의 내용 등 다양한 종교성 차원들이 측정될 것이다. 종속 변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배경변수별 독립, 종속변수들에 대한 변량분석이 시도될 것이고, 독립 변수와 종속변수들간 관계의 정도를 파악해보기 위해 상관관계가 검토될 것이다. 그리고 각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순효과(net effects) 및 모델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변이 분석이 시도될 것이다. 다변이 분석 결과와 변량 분석이 비교되면서 응답자의 집단들에 따라 종교성과 정신건강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해석이 시도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자들에게는 종교 현상의 개인적 함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고, 정책 입안자들에게는 종교의 사회적 순효과 (net function)를 평가케 해줌으로써 객관적 종교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