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손의 협응된 사용 또는 제어는 옷 입기, 쓰기, 타이프 치기, 피아노건반 치기등 많은 일상활동의 숙련된 수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목표지향적 조준운동에 대한 연구들은 두 손이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거리에 대해 동시에 움직일 때 시 공간적으로 환경적 또는 ...
두 손의 협응된 사용 또는 제어는 옷 입기, 쓰기, 타이프 치기, 피아노건반 치기등 많은 일상활동의 숙련된 수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목표지향적 조준운동에 대한 연구들은 두 손이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거리에 대해 동시에 움직일 때 시 공간적으로 환경적 또는 동작에 관계없이 연계됨을 보여주고 있다(French, Williams, 1990; Kelso, 1984; Huh, Williams, and Burke, 1998; Lee, and Jay, 1990,; Marteniuk, Mackenzie, and Baba, 1984). 두 손의 목표지향적 조준동작의 시 공간적 특징을 설명하는 두 가지 모델이 있다. 첫째, Kelso, Southard, Goodman(1979, 1981, 1983) 등의 주장으로, 단일 중추제어 메커니즘이 양수에 동시적으로 작용하여 두 손이 마치 단일동작과 같이 움직이게 구속(constrain)한다는 것이다. 즉 두 손의 연결 또는 동시성은 동작을 시작시키고 끝내게 하는 하나의 공동 중추프로그램에서 비롯된다는 것으로, 신경제어의 경제적 측면에서 이 협응구조 견해는 복잡하고 정교한 동작을 계획하고 수행 할 때 신경계가 직면하는 제어문제의 복잡성을 줄여주는 분명한 이점이 있다(예, Bernstein, 1967; Wenderoth and Bock, 2000).
둘째로, Marteniuk와 Mackenzie(1980, 1983)등은 두 개의 중추제어 메커니즘이 두 손을 별개의 단위로 조절한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 두 손을 사용한 동작에서 어느 정도의 비동시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전체의 힘에 직접적으로 비례하는 힘을 동시에 생성하는 두 개의 독립적인 프로그램의 존재 때문이라는 것이다. 반대 손의 동작을 촉진시키거나 억제시키는 신경간섭이 양수에 대한 별개의 명령사이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두 손의 목표지향적 동작에 있어 두 손의 연계는 Marteniuk등의 명령의 상호간섭 이론보다는 Kelso등의 협응구조의 전략적 사용에 무게가 더 주어지고 있다(Goodman, 1985; Huh et al., 1998). 그러나, 중요한 것은 두 손동작에 대한 행동학적, 운동학적 자료에 따르면 두 손이 함께 움직일 때,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모두가 동작이나 환경적 요구사항에 관계없이 연계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두 손의 목표지향적 동작에 대해 기존의 연구들은 행동학적이나 운동학적(Swinnen, 1988) 또는 EMG(Huh et al, 1998)를 사용하는 개별연구에 치중하였다. 두 손의 목표지향적 동작에 대한 정확한 메커니즘이 Berstein의 협응구조 이론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이해하려면 운동학적, 행동학적, 신경생리학적 변수에 대한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한다. 최근의 컴퓨터화된 3차원 동작분석과 개량된 근전도 기술은 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일련의 목표지향적 두 손 협응동작 수행시 나타나는 연계 변화에 기저가 되는 협응구조 메커니즘을 행동학적(MT), 운동학적, 그리고 신경생리학적(EMG) 측면에서 규명하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