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사회의 역사속에서 문화적으로 터부(cultural taboo)시 되어온 몇가지 주제중, 그 대표적인 것이 성(sex)과 죽음(death)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성의 문제는 이미 국내외적으로 공론화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교육적으로도 수용이 되어 이제는 성에 관한 교육이 ...
인류사회의 역사속에서 문화적으로 터부(cultural taboo)시 되어온 몇가지 주제중, 그 대표적인 것이 성(sex)과 죽음(death)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성의 문제는 이미 국내외적으로 공론화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교육적으로도 수용이 되어 이제는 성에 관한 교육이 학교교육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러나 죽음의 문제는 여전히 교육학의 소외영역으로 남아 있다. 외국의 경우, 죽음의 문제가 70년대부터 여러 학문분야에서 공론화되기 시작한 이래, 이제는 학교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죽음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죽음이라고 하는 엄연한 사실이 잘 교육되었을 때, 그것이 오히려 인간의 삶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실존주의자들은 죽음의 문제를 삶의 문제와 연관지어 깊이있는 논의를 하여 왔다. 키에르케고르, 야스퍼스, 하이데거, 싸르뜨르 등이 그 대표적인 실존주의 철학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죽음의 문제를 철학으로 끌어들여 삶과의 연관성 속에서 죽음의 의미를 깊이 있게 탐색한 실존주의자들의 죽음교육철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실존주의 철학에서 보는 죽음관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죽음교육(death education)의 방향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들을 얻는데 있다.
기대효과
1)죽음에 대한 연구 및 논의의 활성화를 촉구할 수 있음 2)죽음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학교교육이나 사회교육 등)을 통해 삶의 질을 보다 더 고양시킬 수 있음 3)죽음에 관한 교육(의식화)을 통해 삶에 대한 열정을 더욱 강렬하게 할 수 있다는 실존주의 철학의 ...
1)죽음에 대한 연구 및 논의의 활성화를 촉구할 수 있음 2)죽음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학교교육이나 사회교육 등)을 통해 삶의 질을 보다 더 고양시킬 수 있음 3)죽음에 관한 교육(의식화)을 통해 삶에 대한 열정을 더욱 강렬하게 할 수 있다는 실존주의 철학의 논리에 따를때, 청소년들의 자살률을 낮추는 등의 예방교육적 의미를 지님 4)죽음에 관한 교육적 프로그램의 다양한 개발을 촉구함으로써, 그 결과가 교육현장(학교교육 및 사회교육기관 등), 상담심리, 의학, 종교 등의 영역에서 원용될 수 있음
연구요약
1)실존주의 철학의 기본입장과 교육관(20세기 철학을 대표하는 실존주의 철학의 기본입장을 고찰한 후, 그것에 바탕한 실존적 교육관을 분석,정리함) 2)실존주의 철학자들의 죽음관(여타 철학사조와는 달리 죽음의 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실존주의 철학자들의 죽 ...
1)실존주의 철학의 기본입장과 교육관(20세기 철학을 대표하는 실존주의 철학의 기본입장을 고찰한 후, 그것에 바탕한 실존적 교육관을 분석,정리함) 2)실존주의 철학자들의 죽음관(여타 철학사조와는 달리 죽음의 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실존주의 철학자들의 죽음에 대한 관점을 분석함) 3)실존주의 철학에서 보는 죽음교육(실존주의 철학자들의 죽음에 대한 관점을 바탕으로 죽음과 삶의 상호관계를 밝히고, 나아가 죽음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죽음이라는 이슈가 갖는 교육적 의미와 방향을 탐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