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구 동독의 철학이해와 독일 통일직후의 사상적 화합의 문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교수해외방문연구지원
연구과제번호 2002-013-B00021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1 년 (2002년 12월 16일 ~ 2003년 12월 16일)
연구책임자 김수배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통일에 대한 전망과 통일 이후에 대두될 수 있는 정치제도적,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문제들에 관한 관련 학계의 활발한 논의에 비추어 볼 때, 철학분야에서의 통일에 대한 관심은 아직 미미한 상태라고 여겨진다. 반세기 이상 지속되어 온 북한의 전체주의적 체제를 고려한다면, 통일은 특히 북측의 정신적 삶의 영역에서 커다란 충격효과를 동반하리라 추측할 수 있다. 특히 한반도의 통일이 독일의 경우와 같이 급격하게 이루어진다면 가치체계나 세계관과 관련하여 일종의 진공상태를 야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생각에서 본 연구는 1989년 독일 통일 직후 구 동독 지역에서 발생한 정신적 삶의 변화양상을, 독일통일사회당(SED) 시기에 그 지역에서 일반적이던 철학의 자기이해와 관련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반도에서 전개될 사회-정치적인 변화가 수반할 수 있는 정신적 충격을 독일의 경험에 의거하여 간접적으로 예견해 보고 준비하는 기회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한 시대의 철학이나 철학자나 그 사회의 정신적 삶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혹은 생산적이거나 비생산적인 영향을 반성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또 그러한 변화를 철학에게 흔하지 않게 주어지는 특별한 대상으로 취급함으로써 우리의 인문학적 논의도 풍요로와 진다는 기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토론 기록물이나 옛 동독철학의 대표적인 저작들을 중심으로 그 철학에 관한 가능한 한 균형 잡힌 상을 구성한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제기하고 답한다: ①"동독에서 철학은 무엇이었나?", "그것은 정치의 시녀 내지는 집권층의 정치적 교화수단에 불과하였는가?" ②"독일민주공화국 시기의 철학적 작업 가운데 서방측의 철학적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업적이 존재하는가?",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할 동독철학 고유의 방향이나 연구 분야가 있는가?" ③"동독철학은 어느 정도 동독인들의 세계관이나 가치관의 형성에 기여했다고 보아야 하는가?", "예컨대 그것은 가장 기본적인 삶의 지향 문제와 관련된 주제들이라 할 수 있는 '자유', '행복', '절대자' 등과 같은 윤리학이나 형이상학의 문제들을 어떤 식으로 다루었는가?"
    다음으로 통일 직후 현재까지 몇몇 동독 출신 철학자들과 과거 동독 지역의 주민들이 변화된 체제에 대응 또는 적응하고 있는 양상을 철학적인 시각에서 분석, 평가해 본다
  • 한글키워드
  • 사상적 화합,동독철학,독일통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