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제2차 세계대전 후 일본의 마이너리티 정책과 동북아시아 냉전 체제 - 재일조선인과 오키나와인을 중심으로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국내외지역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2-072-AS2007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2 년 (2002년 08월 01일 ~ 2004년 08월 01일)
연구책임자 김광열
연구수행기관 광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허광무(동국대학교)
윤명숙(一橋大學)
임성모(연세대학교)
박진우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후 동북아시아에서의 냉전체제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지금도 그 연장선상에서 국가적 위상을 규정지으려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후 일본의 마이너리티에 대한 정책과 그 반향을 현대사적 시점에서 다각적으로 고찰함으로 해서, 냉전구도 아래에서 형성된 일본의 국가적 성격을 한층 적나라하게 노정하려는 것이다. 환언하면, 일본의 민족문제를 분석도구로 하여 현재 동아시아에서 일본이 띄고 있는 국가적 성격을 역사적 시점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마이너리티란 일본사회에서의 민족적 소수자인 재일조선인과 오키나와인을 의미한다. 종래의 본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 볼 수 있는 공통적인 문제점은, 제2차 대전 후 미국의 동맹으로서 냉전구도에 적극적으로 영합하여 활로를 추구하던 일본 사회 내에서, 재일조선인과 오끼나와인이 갖는 존재 양태가 서로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양자를 공통의 시좌에서가 아닌 각각 별도로 접근하였다는 데에 있다. 양자를 공통의 분석 틀에 두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인 유사성은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아이덴티티의 복합성(중층성)이 서로 시차는 있지만 연속되고 있다는 점과, 동아시아 지역의 냉전구도가 확립되는 과정에서 희생이 된 마이너리티란 점이다. 물론 이렇게 일본 사회에서의 오키나와인과 재일조선인의 유사성을 강조한다고 하더라도 양자의 차이를 무시할 수는 없다. 사회적 차별로 상처 입은 역사적 경험의 공통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권리나 의무 관계에서 양자는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오키나와인은 법적으로 일본인이고 재일조선인은 외국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양자의 차이점을 무시하지 않으면서도 동아시아 냉전체제의 형성과정에서 양자가 미국과 일본의 마이너리티 정책의 대상으로 자리 매김되는 동질성에 주목함으로써 정책 형성과정과 양자의 대응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일본 내 마이너리티 문제의 전체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즉 이 양자에 대한 일본 정부의 정책을 거시적(국가체제 구축)이며 미시적(생활 실태, 정책 시행, 저항 운동)인 차원에서 종합적이며 입체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후 일본의 상징천황제 성립과 마이너리티 정책, 재일조선인 및 오키나와인의 생활실태와 그들에 대한 복지정책, 재일조선인과 오키나와인의 생존권 옹호 운동과 일본정부의 대응, 미일 관계와 오키나와 문제 등 크게 4가지 축을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 4사람이 각기 관련되는 주제들을 고찰하는 학제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것이다.
    그를 통해 본 연구는, 일본이란 국민국가의 안과 밖을 나누는 경계로서의 국적이나 민족은 일본내 마이너리티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 그 경계가 질곡으로 작용하는 매커니즘은 일본 현대사의 흐름과 냉전체제 아래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등의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전후 냉전체제와 상징천황제, 그리고 마이너리티의 문제는 전후 일본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응축하는 것이자 동시에 21세기의 동북아시아 속의 일본의 지위를 규정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 90년대 이후 일본 정치권의 총제적 보수화와 사회적 우경화의 동향은 패전 후 마이너리티 정책의 과오가 여전히 되풀이될 수 있는 가능성을 다분히 안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1) 본 연구를 통하여 전후 일본사회의 재편과정에서 재일조선인과 오키나와인 등의 마이너리티의 존재가 배제되어 가는 측면을 학문적으로 고찰함으로서 아직도 청산하지 못하고 있는 20세기의 민족문제의 잔재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보고 21세기의 바람직한 새로운 민족상과 국민상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2) ‘문화연구’의 방법론을 통하여 일본의 마이너리티 정책을 비판함으로서 자민족 중심주의적인 역사인식의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인 논리로 비판할 수 있는 학문적인 토대를 마련하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3) 이와 같은 새로운 민족주의의 대두가 단지 일본만이 안고 있는 문제가 아니라 오늘날 세계각지에서 일어나고 있는 갖가지 형태의 내셔널리즘이나 민족주의와 얽힌 마이너리티 문제를 이해하는데 유효한 시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4) 한일간의 과거사를 둘러싼 갈등문제에 대해서도 감정론적인 일본인식을 넘어서 보다 객관적인 시점에서 대응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민족문제에 대한 편견, 예를 들면 일본에 대한 맹목적인 반감이나 재일조선인에 대한 그릇된 편견을 바로 잡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5) 이러한 연구 결과의 내용들은 교육의 현장에 있어서 학생들의 일본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과 이해를 키우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더구나 오늘날 일본의 대중문화를 개방하는 단계에 있어서 자칫 일본문화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 쉬운 학생들에게 일본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명확하게 인식하도록 하는 것은 보다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는 또한 일본의 되풀이되는 역사왜곡에 대한 ‘반일’의 감정적인 대응이 아니라 보다 객관적인 논리성을 가지고 대응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1. 대상 시기
    본연구는 공통적인 대상 시기를 제2차 대전 종결시부터 오키나와 문제가 일단락하는 1972년의 오키나와 반환까지로 한다. 그리고 이를 다시 연구 수행의 편의상 3 시기로 나눈다. 각 시기의 구분 이유는 아래에서 병기한 바와 같다.
    (제1시기) 제2차 세계대전 종결에서 1953년까지 : 대전 종결시 일본의 재일조선인과 오키나와에 대한 무책임한 전후처리 상황을 고찰함으로 해서 패전시 일본의 국가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한반도에서 발발한 6.25전쟁은 동북아시아 냉전 구도를 확립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고, 일본은 1951년에 미국의 후원으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체결하고 점령 체제에서 벗어난다.이 시기에 일본의 민족적 마이너리티에 대한 정책이 확립된다.
    (제2시기) 1954년부터 1964년까지 : 미국이 동아시아 반공 전략의 일환으로 베트남 내전에 직접 개입하게 되자, 동북아시아 반공 전선에서의 일본의 역할, 후방기지로서의 오끼나와의 역할이 부각되었다. 그로 인해 한일간의 국교정상화도 재촉되었다. 재일본 조선인총연맹(총련)이 설립됨으로 일본 공안의 감시가 더욱 강화된다.
    (제3시기) 1965년 이후부터 1972년 오끼나와 반환까지 : 한일조약 체결로 인해서 재일조선인 내부에 냉전의 논리가 도입된다. 이후 미국의 동맹으로서 냉전구도를 지탱하기 위해 한일간의 협력체재가 이루어진다. 베트남 전쟁에서 고전한 미국은 국내에서의 반성론이 대두하여 결국 데탕트 정책을 전개하고, 일본의 한반도 정책도 남북을 등거리로 접근하는 변화가 보였다. 오끼나와문제의 일부인 '본토복귀'가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이상의 시기구분을 각자의 과제 수행에서 적용하되, 연차별 수행 과제의 분류와는 반드시 일치시키지는 않는다.

    2. 연구수행 전략
    본 연구는 전후 동서냉전체제의 확립이라는 과정속에서 일본의 국제사회로의 복귀가 GHQ 및 일본정부의 정책결정에 있어서 어떻게 구상되었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이러한 정책이 일본내의 마이너리티문제와 관련하여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는지를 정책,생활,운동 및 천황제를 포함하여 입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바 필드워크를 기본으로 한다.
    구체적인 필드는 재일조선인과 오키나와인의 최대 거주지인 일본의 오사카(大阪) 주변지역과 오키나와(나하)가 되며, 일본정부의 관헌자료조사를 위한 도쿄(東京)지역이 포함된뇩?또한 자료(사료)조사의 능률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당 연구과제와 관련된 전문연구기관들(아리랑문화센터 근현대사연구소, 京都府設立 세계인권문제연구센터, 法政대학부설 오키나와문제연구소)의 이용과 협조를 약속 받고(도착한 '연구협력 약정서'는 첨부함), 그를 적극 활용할 태세가 갖춰져 있으며, 현장조사를 통한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인터뷰 자료의 수집에도 진력할 계획이다.

    3. 연차별 연구 진행계획
    연구참여자들은 3년에 걸쳐 본연구의 4가지 축과 관련되는 각자의 과제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각 년차별로 수행될 연구 내용과 연구 주제들을 제시해 둔다.
    <1년차> 여기에서는 전간기와 패전후의 연속성과 단절성에 대해 검토하고, 재일조선인과 오키나와인의 생활실태와 더불어, 전후 GHQ와 일본정부의 마이너리티정책의 추이를 마크로적인 시각에서 파악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마이너리티들의 대응(저항운동)에 관해 고찰하고 정책입안자와 대상자간의 상호관계를 마크로적으로 분석한다. 1년차에 수행이 예상되는 연구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1)전간기 일본내 마이너리티의 존재양태, 2)전쟁종결후 재일조선인 및 오키나와인의 생활 양태와 복지정책, 3)전쟁 종결에 따른 미국의 일본 내 마이너리티문제 대책, 4)냉전 체재와 상징천황제의 탄생, 5) 재일조선인연맹과 오키나와인연맹의 비교 검토.

    <2년차> 점령상태에서 벗어난 이후의 일본을 중심으로, 일본정부의 재일조선인과 오키나와인에 대한 정책, 그들의 생활실상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운동 등을 검토하여, 일본의 마이너리티 정책의 모순을 미크로적인 접근방법으로 고찰한다. 즉 1년차의 연구결과를 보다 구체화시키는 작업이 될 것이다. 2년차에 수행하게 될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1)일본의 외국인등록법 체재와 출입국관리 정책, 2)오키나와에 대한 미국의 지배정책과 일본의 분리정책, 3)관동지방과 관서지방을 중심으로 조선인과 오키나와인의 거주상태 비교, 4)상징천황제와 재일조선인, 5) 오키나와인의 '조국복귀운동’의 논리.

    <3년차> 미국이 베트남전쟁에 직접 개입함으로서 변화한 동북아시아 정세와 일본의 마이너리티 정책과의 상관 관계를 고찰한다. 그리고 2년차에 수행하지 못했던 국가체제 성립과 마이너리티 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계속한다. 3년차에 수행하게 될 연구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 한글키워드
  • 냉전체제,상징천황제,오키나와 문제,재일조선인 문제,미일안보조약,마이너리티,민족문제,전후 일본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상징천황제의 성립과 민족 마이너리티] :
    패전 직후 천황제존속의 문제를 미국과 일본정부의 정치적 타협만으로 보는 종래의 통설을 비판하는 차원에서 패전 직후 민중의 천황제에 대한 반응을 검토하여 대다수 일본 국민의 천황에 대한 ‘묵인’과 ‘종순’이 전후의 상징천황제가 정착하는데에 중요한 지지기반이 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천황제의 존속과 재일조선인 차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첫째로 패전을 전후해서 일어나는 ‘황국신민’의 분열현상을 일반 대중들의 동향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사회심리를 유형적으로 파악하였다. 둘째로 일본의 지배층이 어떠한 논리로 국민통합을 꾀하였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재일조선인을 어떻게 제도적으로 배제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셋째로 패전 직후 지식인들의 일본민족론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상징천황제의 존속이 마이너리티에 대한 차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재일조선인의 사회적 위상과 생존권 확보 운동] :
    협화회는 중앙과 지방의 조직을 통해 재일조선인 전체에게 ‘제국신민’으로서의 협력을 강요하며 생활을 통제하고 있었고, 각 군수사업장에 강제동원된 조선인 노무자마저 협화회에 등록시켜 철저히 감시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패전 직후 특별고등경찰의 감시체제를 검토하여, 오히려 일본 정부당국은 조선인을 "질서 문란의 요소"로서 감시를 강화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1945년 8월 이후부터 1952년 강화조약까지 재일조선인의 법적지위는 해방국민도 아니고 일본인도 아닌 애매한 상태였다. 해방과 동시에 일제히 귀국했던 사람들이 한반도에서의 생활이 어렵게되자 1946년부터 재도일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GHQ는 일본측 입장에서 그들 구 재일조선인들의 생존권을 무시하고 ‘불법 입국자’로 취급하여 오로지 일본에서 축출하는 정책에 일관하였다. 그 기준은 1947년 5월에 시행된 「외국인등록령」이었고, 이 법령을 실제적으로 운용한 주체는 GHQ가 아니라 일본의 경찰과 검찰이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3) [재일조선인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 :
    전후 재편된 일본의 공적부조시스템은 근대적인 개념의 구호법= ‘생활보호법’과 전근대적인 개념의 민생위원제도가 결합된 기형적 형태의 구호체제로서, 순수혈통주의와 관료 편의주의에 입각한 배타주의적 구호체제였음을 새롭게 밝혀냈다. 「‘생활보호법’-민생위원」체제의 시스템하에서 재일조선인은 그들의 기초생활 보장을 기대할 수 없었으며, 실제로 공적부조에 의해 구제된 사람은 조선인 전체대상자 중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급변하는 일본사회의 상황에서 재일조선인사회는 적극적으로 적응하는 기지를 발휘하였다. 그에 따른 성과가 일부 재일조선인의 빈곤자를 구제하였다. 그리고 ‘조련’과 같은 전국규모의 활동보다는 지방 조직이 ‘생활보호법 동맹’을 결성하면서까지 투쟁한 활동이 큰 효과를 보았으며, 이는 지역에 밀착한 민생위원의 지역단위 활동과 무관하지 않음을 밝혀냈다.

    (4) [오키나와인의 사회적 위상과 운동] :
    미국은 오키나와에 대해 일본의 영토주권을 승인하는 조건 하에서 장래의 신탁통치를 형식상 상정하는 시정권을 장악했다. 따라서 미일합작의 오키나와 지배체제 하에서 오키나와인의 법적 지위는 극히 불안정한 상태에 처했다. 호적의 측면에서도 오키나와인의 지위는 불안정하였고, 본토보다 10년 늦게 신민법이 적용됨으로써 혼인, 상속, 양자 입적 등의 일상 생활상의 불편을 야기시켰다.
    효고 아마가사키(尼崎) 지역에는 피차별부락과 재일조선인 부락이 중첩되면서 전형적인 슬럼을 형성하고 있었다. 암시장은 오사카에서 박멸대상이었지만, 아마가사키를 중심으로 한 효고의 경우 오키나와인의 생활기반으로서 중시되었다. 오사카에서는 오키나와인의 집거지구와 재일조선인의 집거지는 근거리이긴 하지만 겹치지 않았다. 일본사회에서 공통적으로 차별 받는 대상이었지만, 오키나와인의 조선인에 대한 차별하는 중층적 구조도 확인되었다.
  • 영문
  • (1)
    I study mainly investigated two critic aspects on the previous orthodoxies regarding the continuation of Emperor System immediately after the war defeat as the political collusion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 could ascertain that the public 'toleration' and 'obedience' to the Emperor became the important foundations while the symbolic Emperor System after the war was settling down.
    Korean residents in Japan becoming the exclusive targets at the postwar Japanese society in the political side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sides while rearranging the Japanese with Emperor as the central figure who symbolized Japan and the Japanese after war and the fact that the Korean residents as squaring targets of the Imperialism were forced to unconditionally obey to the Japan and Emperor.

    (2)
    The Kyouwakai which was organized by the police in full capacity war time, forced completly to cooperate prosecution of war and to Japanize. The Japanese secret police guarded closely the movement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Zainichi-chousenjin) in spite of losing a war. They just recognized Zainiti-chousenjin in a taget of social problems all the time.
    Most of Zainichi-chousenjin returned to homeland when they grasped liberation. But a part of them went back the place where they lived in Japan cause by social unrest of the South Korea from 1946. Butt they were punished in stowaway by GHQ because their legal status was not confirmed. The Gaikokjin-tourokurei not only endowed duty of registration for Zainichi-chousenjin and Formosan, but also was set standard of ejection for Korean who reentry into Japan. I proved the role of Japanese police and prosecution which exists main body under the structure of Gaikokjin-tourokurei, not by GHQ.

    (3)
    In short, the Japanese Public Assistance System can be called the "Livelihood Protection Law and Minsei-iin System", which was deformed one mixed up advanced modern poverty law and feudalistic relief organization. It was also an extremely discriminatory system that excluded Korean residents(Zainichi Chosenjin). This unfair discrimination had continued since the prewar period and even after the war that situation did not change. However, Korean residents didn't get discouraged, and never resigned themselves to the hardship, exclusion from the social welfare system. To the contrary, they took advantage of their interim dual-status, both "the Liberated" and "Japanese",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hey made the League of Koreans Residing in Japan as their own community to secure their social and ethnic right.

    (4)
    The legal status of Okinawa and Okinawans was very unstable under the policy of GHQ and Japanese government. America's basic policy on the Okinawan occupation was the dominance under the 'retained sovereignty' which was elucidated at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They were non-Japanese and non-American at same time. Under the situation like this, Mainland Okinawans, concenturated on the Hanshin(Osaka, Koube) province, calling themselves zainichi, expanded anti-discrimination movements against Japan and America. The League of Okinawans(Okinawn-jin Renmei) played a crucial role in that movement, and arranged a joint movement with Koreans sometimes. For instance, in Amagasaki city, Hyogo prefecture, Okinawans resident Koreans fought with Japanese around the hegemony on black market. After the 2nd World War, about 30,000 out of 40,000 Okinawans living in Osak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상징천황제의 성립과 민족 마이너리티」의 축 :
    1차 년도에서는 패전 직후의 천황제 존속에 대하여 이를 미일간의 정치적 '담합'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종래의 통설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그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첫째로 미국이 점령정책에서 천황의 이용가치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것이 어떻게 해서 천황제 존속으로 이어졌는가를 검토하였다. 둘째로 패전을 전후한 극한상황에서의 민심의 동향과 민중의 천황제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이 미국의 천황제 존치방침에 미친 역할을 검토하였다.
    2차 년도에서는 패전 후 천황제의 존속과 상징천황제를 중심으로 한 일본국민의 재편이 재일조선인에 대한 제도적, 사회적 차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여기서는 특히 재일조선인이 일본사회에서 배제되어가는 과정에서의 행위와 인식의 배경에 천황제의 문제가 깊이 내재화되어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역점을 두었다.

    (2) 「재일조선인의 사회적 위상과 생존권확보 운동」의 축 :
    1차년도의 과제는 일본의 패전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 시기의 일본정부 대 재일조선인 정책의 연속성과 단절성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전시기에 경찰 조직을 기반으로 성립된 협화회의 중앙과 지회가 발간한 자료, 오오이타(大分)현에 거주하다 패전 후 흥생회에서 귀환운동에 헌신한 활동가의 수기 등을 입수하여 일본정부가 실행한 재일조선인 동화정책의 실상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패전 직전인 1944년에 나온 조선인의 법적지위와 사회적 대우 향상 정책과 그와 상반되는 감시 체제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2차년도에는 먼저 패전 직후 지방 관청 및 경찰의 자료를 검토하여 당시 일본의 민심의 동향과 일본인들의 조선인관에 대해 조사하였다. [法律時報] 등에 연재된 논문들을 정독하여 외국인 및 구 식민지출신자의 지위에 관련된 법령의 흐름과 출입국관리체제의 성립 과정에 대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검찰을 통괄하던 법무성 검무국의 내부 자료를 발굴하여 1947년부터 시행된 외국인등록령 체제하에서 검찰과 경찰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검토하였다.

    (3) 「재일조선인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의 축 :
    본 연구는 재일조선인이 처하게 될 전후 상황에 대해, 생존권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공적부조의 전후시스템을 규명하고(1차년도 계획), 이에 대해 재일조선인사회가 어떻게 대처해 나갔는지를 실증적으로 명백히 하는데 있다(2차년도 계획). 1차년도에는 GHQ, 특히PHW(공중위생복지국) 막료들과 후생성관료의 기록물(강연, 수기, 회고록), 보고서 등을 일본현지에서 수집, 분석하여 전후 공적부조의 재편과정을 검증하였다. 2차년도에는 전후 공적부조시스템에 대한 재일조선인사회의 대응을 보기 위해, 대표적인 민족단체 ‘재일본조선인연맹’의 방침과 활동을 중앙위원회 회의록, 전국대회결의안, 기관지, 신문 등을 통해, 그리고 민생위원관계 자료를 일본에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4) 「오키나와인의 사회적 위상과 운동」의 축 :
    1차년도에는 도쿄와 교토에서의 자료수집에 의해 점령기 미국의 오키나와 정책, 오키나와 현지의 사회상황에 대한 신문류 1차자료와 본토 거주 오키나와인 사회에 대한 최근의 연구성과들을 확보하여 연구에 반영할 수 있었다. 특히 종래 미국 국회도서관에만 소장된 것으로 파악되었던 James T. Watkins 문서가 일본에서 모두 영인된 것을 확인하고 그 중 일부를 확보할 수 있었다. 2차년도에는 재일 오키나와인이 가장 집중거주하는 한신(阪神)지역 즉 오사카(大阪)와 고베(神戸)현을 중심으로 생활관련 자료 및 오키나와인연맹 등 운동단체의 간행물과 관련자 회고록 및 증언 등을 수집하고, 기존 생활사, 운동사 연구의 분산된 시각을 극복하고자 했다. 패전 직후의 경제난 속에서 치열하게 진행된 암시장에서의 민족갈등에 주목하여 오키나와인 사회의 실상에 접근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오키나와 현지에서 자료수집과 더불어 향토사학가를 인터뷰하여 관련 자료의 존재 상태를 파악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상징천황제의 성립과 민족 마이너리티] :
    패전 직후 천황제존속의 문제를 미국과 일본정부의 정치적 타협만으로 보는 종래의 통설을 비판하는 차원에서 패전 직후 민중의 천황제에 대한 반응을 검토하여 대다수 일본 국민의 천황에 대한 ‘묵인’과 ‘종순’이 전후의 상징천황제가 정착하는데에 중요한 지지기반이 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천황제의 존속과 재일조선인 차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첫째로 패전을 전후해서 일어나는 ‘황국신민’의 분열현상을 일반 대중들의 동향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사회심리를 유형적으로 파악하였다. 둘째로 일본의 지배층이 어떠한 논리로 국민통합을 꾀하였으며 그러한 과정에서 재일조선인을 어떻게 제도적으로 배제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셋째로 패전 직후 지식인들의 일본민족론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상징천황제의 존속이 마이너리티에 대한 차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천황제와 민족문제의 관련성, 식민지주의 연구에서 새로운 연구방법을 개척하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2) [재일조선인의 사회적 위상과 생존권 확보 운동] :
    협화회는 중앙과 지방의 조직을 통해 재일조선인 전체에게 ‘제국신민’으로서의 협력을 강요하며 생활을 통제하고 있었고, 각 군수사업장에 강제동원된 조선인 노무자마저 협화회에 등록시켜 철저히 감시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패전 직후 특별고등경찰의 감시체제를 검토하여, 오히려 일본 정부당국은 조선인을 "질서 문란의 요소"로서 감시를 강화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1945년 8월 이후부터 1952년 강화조약까지 재일조선인의 법적지위는 해방국민도 아니고 일본인도 아닌 애매한 상태였다. 해방과 동시에 일제히 귀국했던 사람들이 한반도에서의 생활이 어렵게되자 1946년부터 재도일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GHQ는 일본측 입장에서 그들 구 재일조선인들의 생존권을 무시하고 ‘불법 입국자’로 취급하여 오로지 일본에서 축출하는 정책에 일관하였다. 그 기준은 1947년 5월에 시행된 「외국인등록령」이었고, 이 법령을 실제적으로 운용한 주체는 GHQ가 아니라 일본의 경찰과 검찰이었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제2차세계대전 직후 시작된 미국 주도의 냉전구도에 영합하면서 재출발한 일본이란 국가의 성격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데에 일조할 것이다.

    (3) [재일조선인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 :
    전후 재편된 일본의 공적부조시스템은 근대적인 개념의 구호법= ‘생활보호법’과 전근대적인 개념의 민생위원제도가 결합된 기형적 형태의 구호체제로서, 순수혈통주의와 관료 편의주의에 입각한 배타주의적 구호체제였음을 새롭게 밝혀냈다. 「‘생활보호법’-민생위원」체제의 시스템하에서 재일조선인은 그들의 기초생활 보장을 기대할 수 없었으며, 실제로 공적부조에 의해 구제된 사람은 조선인 전체대상자 중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급변하는 일본사회의 상황에서 재일조선인사회는 적극적으로 적응하는 기지를 발휘하였다. 그에 따른 성과가 일부 재일조선인의 빈곤자를 구제하였다. 그리고 ‘조련’과 같은 전국규모의 활동보다는 지방 조직이 ‘생활보호법 동맹’을 결성하면서까지 투쟁한 활동이 큰 효과를 보았으며, 이는 지역에 밀착한 민생위원의 지역단위 활동과 무관하지 않음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연구사상 처음으로 점령기 공적부조시스템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재일조선인의 생존권문제를 구명하였다는데 연구사적 의의를 들 수 있다.

    (4) [오키나와인의 사회적 위상과 운동] :
    미국은 오키나와에 대해 일본의 영토주권을 승인하는 조건 하에서 장래의 신탁통치를 형식상 상정하는 시정권을 장악했다. 따라서 미일합작의 오키나와 지배체제 하에서 오키나와인의 법적 지위는 극히 불안정한 상태에 처했다. 호적의 측면에서도 오키나와인의 지위는 불안정하였고, 본토보다 10년 늦게 신민법이 적용됨으로써 혼인, 상속, 양자 입적 등의 일상 생활상의 불편을 야기시켰다.
    효고 아마가사키(尼崎) 지역에는 피차별부락과 재일조선인 부락이 중첩되면서 전형적인 슬럼을 형성하고 있었다. 암시장은 오사카에서 박멸대상이었지만, 아마가사키를 중심으로 한 효고의 경우 오키나와인의 생활기반으로서 중시되었다. 오사카에서는 오키나와인의 집거지구와 재일조선인의 집거지는 근거리이긴 하지만 겹치지 않았다. 일본사회에서 공통적으로 차별 받는 대상이었지만, 오키나와인의 조선인에 대한 차별하는 중층적 구조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일본사회의 배타적인 인식이 재생산되는 시스템의 규명과 함께 민족적 마이너리티 문제의 실태를 입체적으로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천황제, 공산주의, 전쟁책임, 전쟁범죄, 역사인식, 재일조선인, 황국신민, 점령기, 단일민족, 통합과 억압, 차별과 배제, 조선인, 동화, 황민화, 감시, 특별고등경찰, 재도일, 밀입국, GHQ, 경찰, 검찰, 강제퇴거, 국가, 민족 아이덴티티, 생존권, 생활보호법, 민생위원, 공적부조 시스템, 오키나와, 오키나와인, 류큐인, 오키나와인연맹, 한신지역, 오사카, 효고현, 법적 지위, 귀환정책, 잔존주권, 암시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