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프랑스 현대극에 나타나는 잔 다르크 이미지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전문연구인력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2-075-A00076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3 년 (2002년 09월 01일 ~ 2005년 09월 01일)
연구책임자 이용복
연구수행기관 숙명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잔 다르크라는 역사적, 신화적 인물은 중세로부터 불문학 뿐만 아니라 독문학 및 영문학 등에서 시, 소설, 희곡의 소재로 다양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회화나 영화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프랑스 문학 특히 프랑스 현대희곡 중 잔 다르크를 소재로 한 작품들을 택하여 작가들의 다양한 시각을 연구하고 또 작품을 통해 작가가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 시대에 있어서 잔 다르크와 같은 예외적인 여성이 주는 의미가 무엇일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이미 신화적 인물로 되어 있는 잔 다르크에 대한 희곡작품의 분석을 통해 이 인물에 대한 세 작가의 다양한 시각을 엿볼 수 있게 하며, 특히 현대를 살고 있는 여성들에게 역사 속에서의 여성의 역할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우게 될 것이다. 잔 다르크는 지금까지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예외적인 여성인물로 간주되어 왔으나 새로운 접근을 통하여 역사의 중심에 자리한 여성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므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여성상의 제시에 적합할 것이다.
  • 연구요약
  • 프랑스 현대희곡 중 잔 다르크를 소재로 한 작품으로서 샤를르 뻬기의 "잔 다르크Jeanne d'Arc"(1897), 폴 끌로델의 "화형장의 잔 다르크Jeanne d'Arc au bucher"(1939), 그리고 장 아누이의 "종달새L'Alouette"(1953)를 택하여 작품의 형식과 등장인물들의 성격분석 을 통해 잔 다르크 및 그 주변인물들에 대한 세 작가의 시각을 연구해 보며, 또 그 차이를 비교해본다. 또한 이제껏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이 인물의 내적 성찰에 비중을 두어 다룸으로써 그녀의 신앙과 애국심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아본다.
  • 한글키워드
  • 프랑스 문학,잔 다르크,희곡,끌로델,신화,아누이,뻬기,여성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번 연구는 잔 다르크를 소재로 한 프랑스 현대극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여러 작품을 다룸으로써 작가에 따른 시각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작품으로서는 장 아누이의 『종달새』(1953), 폴 클로델의 『화형대의 잔 다르크』(1939), 샤를르 페기의 『잔 다르크』(1897)로 하였으며, 여기에 2차년도에 티에리 몰니에의 『잔과 재판관들』(1949) 및 모리스 메테르링크의 『잔 다르크』(1940)를, 그리고 3차년도에 페기의 『잔 다르크의 사랑의 신비』(1910)를 추가로 연구하였다. 아누이는 잔 다르크를 천상과 지상의 중개자로 보고 있으며 그러한 인물의 성격을 '종달새'라는 상징적인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그는 특히 격의 없고 발랄한 현대적인 잔 다르크를 형상화하고 있다. 극의 형식적인 면에서는 극중극 형태를 취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연극을 보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게 한다. 클로델은 화형대 위에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잔 다르크를 그리고 있다. 클로델은 특히 선과 악의 이분법적인 대립을 통해 잔의 사랑과 희생을 부각시키는 반면 잔을 재판하는 종교 지도자들은 악의 화신처럼 짐승으로 우화적인 수법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클로델은 화형대의 잔 다르크를 그녀의 삶의 절정에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어 샤를르 7세의 대관식으로 극을 맺고 있는 아누이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샤를르 페기의 『잔 다르크』는 삼부작으로 된 방대한 극으로서 이 삼부작은 각각 잔 다르크가 고향을 떠나기 전의 상황(Domremy), 전투장면(les Batailles), 그리고 잔의 재판 장면(Rouen)을 그리고 있다. 페기의 작품이 지니는 가장 큰 특징은 그것이 작가의 사회주의적 인본주의를 매우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그의 첫 희곡인 『잔 다르크』에서 주인공 잔은 자기 혼자만이 아닌 모든 인간들의 구원을 원함으로써 작가의 사회주의적 연대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후속 작품인 『잔 다르크의 사랑의 신비』는 이전 작품인 『잔 다르크』의 제1부에 해당하는 <동레미>를 내적으로 더욱 심화시킨 것으로서 잔이 아직 천상의 목소리를 듣기 이전에 전쟁으로 인한 프랑스와 프랑스인의 불행으로 인해 하느님과 신앙에 대해 여러 가지 의문을 품고 있는 잔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보다 종교적인 색채가 강하지만 여기서도 역시 페기의 인본주의적 성격이 드러나고 있다. 그것은 바로 페기가 지상의 것과 천상의 것을 분리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지상은 바로 하늘의 시작이며 이 땅에서 천국은 시작된다고 보는 것이다. 그래서 페기는 기도와 구제에 열심인 그리스도인이면서 동시에 이 지상에서의 삶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잔 다르크를 그리고 있다. 결국 페기 자신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티에리 몰니에의 『잔과 재판관들』은 아무런 하늘의 음성을 듣지 못하지만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선택해 나가는 실존주의적인 잔 다르크를 그리고 있으며, 모리스 메테르링크의 『잔 다르크』 는 주인공 잔 다르크가 갖고 있는 양면성 혹은 모순성 및, 그녀를 이끌어간 운명과도 같은 보이지 않는 힘, 그리고 죽음은 새로운 탄생이라고 하는 메테르링크의 사상을 반영하고 있다. 요컨대 각 작가가 구현하고 있는 잔 다르크라는 인물은 공통적으로 신앙심 깊고 구제에 헌신적인 그리스도인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작가의 사상에 의하여 조금씩 다른 성격을 보여주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결국 모든 문학과 예술이 그런 것처럼 탄생된 작품은 그것을 만들어낸 작가의 주관적 시각이 반영되어 있는 것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 영문
  • Cette recherche a pour but d'analyser le theatre francais contemporain ayant comme sujet Jeanne d'Arc et comparer les points de vue de chaque auteur dans leur piece comme suit : l'Alouette (1953) de Jean Anouilh, Jeanne d'Arc au bucher (1939) de Paul Claudel et Jeanne d'Arc (1897) de Charles Peguy. Une etude additionelle a ete faite aussi sur Jeanne et les juges (1949) de Thierry Maulnier, Jeanne d'Arc (1940) de Maurice Maeterlinck et Le Mystere de la charite de Jeanne d'Arc (1910) de Charles Peguy. D'abord, Anouilh considere Jeanne d'Arc comme la mediatrice entre le ciel et la terre et l'exprime sous le symbole de l'alouette. Dans la piece du meme nom, l'auteur nous presente une Jeanne moderne et sans reserve. Elle tutoie le dauphin Charles des la premiere entrevue et emploie un langage populaire et meme vulgaire. Sur le plan de la forme, la piece revet la structure du theatre dans le theatre dans lequel le spectateur se rend compte que lui-meme assiste une representation theatrale. Claudel, lui, decrit Jeanne d'Arc comme rememorant son passe sur le haut du bucher. Semblable au flash-back d'un film, sa vie est decrite des evenements les plus recents aux plus lointains. L'auteur met particulierement en relief l'amour et le sacrifice de Jeanne d'Arc par le contraste dichtomique du bien et du mal alors qu'il de crit les juges comme des animaux feroces. Selon Claudel le bucher pour Jeanne est la culmination de sa vie contrairement Anouilh qui cloture sa piece par le couronnement de Charles VII. Jeanne d'Arc de Charles Peguy est une trilogie constituee de trois pieces que sont Domremy, les Batailles et Rouen. Domremy traite la periode au village natal avant le grand depart de Jeanne ; les Batailles la victoire a Orleans ainsi que sa malchance aux alentours de Paris ; Rouen met en sc ne le proces de Jeanne a Rouen. La plus grande particularite de la piece de Peguy, c'est qu'elle exprime fortement l'humanisme socialiste de l'auteur. Par exemple, dans sa premiere piece Jeanne d'Arc, l'heroine aspire au salut de tous les hommes meme si elle perd son corps et son ame, ce qui montre l'esprit de solidarite socialiste de l'auteur. La piece suivante, le Mystere de la charit de Jeanne d'Arc correspond Domr my de la piece precedente, mais elle l'approfondit sur le plan de la vie interieure de l'heroine avant d'entendre la voix c leste. Cette piece montre une Jeanne tourmentee par le desastre survenu a la France et au peuple francais du a la guerre avec les Anglais. Jeanne, tombee dans le doute, va jusqu'a la revolte et au blaspheme. Cette piece a une tendance plus religieuse, toutefois l'aspect humaniste de Peguy n'est pas amoindrie etant donn qu'il ne separe pas le temporel de l'eternel, le terrestre du celeste, le charnel du spirituel. La terre est la porte du ciel et le royaume celeste commence sur cette terre. C'est pourquoi dans cette piece Jeanne, devouee a la priere et a la charite, n'epargne pas meme sa vie pour sauver les ames des autres et, en meme temps, s'attache beaucoup sur le bonheur terrestre. En un mot, Peguy se decrit dans le personnage de Jeanne d'Arc. En dehors de ces pieces, Jeanne et les juges de Thierry Maulnier decrit une Jeanne existentialiste qui choisit elle-meme son destin, ne pouvant plus ecouter la voix celeste. Quant Jeanne d'Arc de Maurice Maeterlinck, elle refl te la dualit ou les aspects contradictoires de l'h ro ne, le pouvoir invisible comme le destin qui la mena loin et les idees de l'auteur telles que la mort comme nouvelle naissance. En somme, les Jeanne d'Arc dans les pieces en question, malgre le point commun de montrer une chr tienne devouee et fervente a la charite, different toutes quelque peu et invariablement selon l'ideologie, conviction et foi personnelle de l'auteur qui la traite. Comme dans toute la litterature et les arts, l'oeuvre ou l'ouvrage porte necessairement la marque subjective de son createu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번 연구는 잔 다르크를 소재로 한 프랑스 현대극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여러 작품을 다룸으로써 작가에 따른 시각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작품으로서는 장 아누이(Jean Anouilh)의 『종달새L'Alouette』(1953), 폴 클로델(Paul Claudel)의 『화형대의 잔 다르크Jeanne d'Arc au bucher』(1939), 샤를르 페기(Charles Peguy)의 『잔 다르크Jeanne d'Arc』(1897)로 하였으며, 여기에 2차년도에 티에리 몰니에(Thierry Maulnier)의 『잔과 재판관들Jeanne et les Juges』(1949) 및 모리스 메테르링크의 『잔 다르크Jeanne d'Arc』 (1940)를, 그리고 3차년도에 페기의 『잔 다르크의 사랑의 신비Le Mystere de la charite de Jeanne d'Arc』(1910)를 추가로 연구하였다.
    아누이는 잔 다르크를 천상과 지상의 중개자로 보고 있으며 그러한 인물의 성격을 '종달새l'alouette'라는 상징적인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그는 특히 격의 없고 발랄한 현대적인 잔 다르크를 형상화하고 있다. 극의 형식적인 면에서는 극중극 형태를 취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연극을 보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게 한다. 클로델은 화형대 위에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잔 다르크를 그리고 있다. 클로델은 특히 선과 악의 이분법적인 대립을 통해 잔의 사랑과 희생을 부각시키는 반면 잔을 재판하는 종교 지도자들은 악의 화신처럼 짐승으로 우화적인 수법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클로델은 화형대의 잔 다르크를 그녀의 삶의 절정에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어 샤를르 7세의 대관식으로 극을 맺고 있는 아누이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샤를르 페기의 『잔 다르크』는 삼부작으로 된 방대한 극으로서 이 삼부작은 각각 잔 다르크가 고향을 떠나기 전의 상황(Domremy), 전투장면(les Batailles), 그리고 잔의 재판 장면(Rouen)을 그리고 있다. 페기의 작품이 지니는 가장 큰 특징은 그것이 작가의 사회주의적 인본주의를 매우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졸라와 함께 드레퓌스를 옹호한 열렬한 사회주의자였던 페기는 비록 이후에 보다 종교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색채를 띄게 되지만 그의 초기 작품은 사회주의적인 사상을 짙게 반영하고 있다. 예를 들면 그의 첫 희곡인 『잔 다르크』에서 주인공 잔은 자기 혼자만이 아닌 모든 인간들의 구원을 원함으로써 작가의 사회주의적 연대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후속 작품인 『잔 다르크의 사랑의 신비』는 이전 작품인 『잔 다르크』의 제1부에 해당하는 <동레미>를 내적으로 더욱 심화시킨 것으로서 잔이 아직 천상의 목소리를 듣기 이전에 전쟁으로 인한 프랑스와 프랑스인의 불행으로 인해 하느님과 신앙에 대해 여러 가지 의문을 품고 있는 잔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보다 종교적인 색채가 강하지만 여기서도 역시 페기의 인본주의적 성격이 드러나고 있다. 그것은 바로 페기가 지상의 것과 천상의 것을 분리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지상은 바로 하늘의 시작이며 이 땅에서 천국은 시작된다고 보는 것이다. 그래서 페기는 기도와 구제에 열심인 그리스도인이면서 동시에 이 지상에서의 삶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잔 다르크를 그리고 있다. 결국 페기 자신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티에리 몰니에의 {잔과 재판관들}은 아무런 하늘의 음성을 듣지 못하지만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선택해 나가는 실존주의적인 잔 다르크를 그리고 있으며, 모리스 메테르링크의 {잔 다르크} 는 주인공 잔 다르크가 갖고 있는 양면성 혹은 모순성 및, 그녀를 이끌어간 운명과도 같은 보이지 않는 힘, 그리고 죽음은 새로운 탄생이라고 하는 메테르링크의 사상을 반영하고 있다.
    요컨대 각 작가가 구현하고 있는 잔 다르크라는 인물은 공통적으로 신앙심 깊고 구제에 헌신적인 그리스도인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작가의 사상에 의하여 조금씩 다른 성격을 보여주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결국 모든 문학과 예술이 그런 것처럼 탄생된 작품은 그것을 만들어낸 작가의 주관적 시각이 반영되어 있는 것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총 6편의 논문을 전문학술지에 게재하고 1편을 투고 중에 있다. 그리고 앞으로 두 세편의 논문을 더 추가하여 단행본을 내고자 한다. 책을 통해서 보다 많은 이들에게 프랑스 문학을 알리고 특히 잔 다르크를 소재로 한 여러 문학작품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이 신비스런 인물에 대한 여러 작가들의 다양한 시각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의 해석을 통해 같은 역사적 인물이라도 작가의 이데올로기나 사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보았다. 문학은 결국 작가의 주관과 그가 살고 있는 시대적 배경과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한 역사적 인물에 대한 프랑스 인들의 끊임없는 관심과 연구활동을 확인하게되었고 또 이러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논문게재실적
    1차년도 :
    1. 「아누이의 『종달새』에 나타나는 잔 다르크 이미지」는 『한국프랑스학논집』(한국프랑스학회) 제 43집(2003년 8월)에 게재.
    2. 「아누이의 『종달새L'Alouette』의 연극적 구조」는 『불어불문학연구』(한국불어불문학회) 제 55집(2003년 가을)에 게재.

    2차년도
    1. 「클로델의 『화형대의 잔 다르크Jeanne d'Arc au b cher』연구」, 불어불문학연구 제58집, 2004년 겨울호에 게재.
    2. 「신의 침묵 앞에 선 고독한 인간의 선택 - Thierry Maulnier의 『잔과 재판관들Jeanne et les Juges』 연구」, 불어불문학연구, 제 59집, 2004년 가을호에 게재.
    3. 「모리스 메테르링트의 『잔 다르크Jeanne d'Arc』 연구」, 불어불문학연구, 제60집, 2004년 겨울호에 게재.

    3차년도
    1. 「샤를르 페기의 『잔 다르크Jeanne d'Arc』에 나타나는 잔 다르크 이미지」, 불어불문학연구, 제62집, 2005년 여름호에 게재.
    2. 「샤를르 페기의 『잔 다르크의 사랑의 신비Le Myst re de la charit de Jeanne d'Arc』에 나타나는 잔 다르크 이미지 : 현세적 그리스도인」의 제목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한국프랑스학회)에 투고(2006년 2월 25일).
  • 색인어
  • 잔 다르크, 아누이, 클로델, 페기, 몰니에, 메테르링크, 극중극, 극오라토리오, 실존주의, 상징주의, 프랑스 현대극, 애국심, 민족주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