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식이방법이 근섬유와 조직내 pro- 및 macro-glycogen 의 저장 및 운동시 동원에 미치는 영향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박사후연수과정지원
연구과제번호 2002-037-G00028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1 년 (2002년 09월 01일 ~ 200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종삼
연구수행기관 한국체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식이 섭취에 방법에 따른 pro- 및 macro-glycogen의 축적 및 운동 시 동원 양상을 살피는데 있으며,
    둘째, 이러한 양상이 근섬유 형태 및 조직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연구하는데 있다.
    세째, pro- 및 macro-glycogen 외 운동시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주요 기질 들 (근육내 중성지방, 다양한 대사적 효소의 활성도, 혈장 유지지방산, 혈중 글루코스 등)
  • 기대효과
  • 1) 에너지의 공급이란 측면에서 glycogen의 형태에 따라 운동 시 동원되는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판명해 운동 수행 시 더 유용한 형태의 glycogen의 축적 및 동원의 양상을 밝혀 수행력의 증전을 꾀할 수 있다.
    2) 장기간의 고지방 식이 공급을 통해 운동 시 지방으로부터의 에너지 공급을 증가시키려 할 때 실제적으로 어떠한 형태 (즉, pro- 혹은 macro-) 의 glycogen이 보존의 효과 (sparing effect) 를 발휘하는지를 판명해 지방 식이를 사용해 수행력의 증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기여할 수 있다. 즉, 고지방 식이 방법을 통해 나타나는 수행력의 증가에 대해 정확한 기전을 밝혀 실제 운동의 현장에 적용하는 토대를 마련한다.
  • 연구요약
  • 글라이코진은 저장 형태에 따라 pro- 및 macro-glycogen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두 형태의 glycogen은 비록 비슷한 단백질 구조를 보이긴 하지만 운동시 발휘하는 기능 및 그에 따른 생성과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왔다. 즉 운동 시 에너지 원으로서의 역할을 살필 때 pro-glycogen 은 macro-glycogen과 비교해 먼저 동원되며 운동 후 회복시에도 먼저 재합성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제껏 식이 섭취와 관련해 근 및 그외의 조직들 (간/심장)에서의 pro- 및 macro-glycogen에 대한 세부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ro- 및 macro-glycogen을 중심으로 근내 중성지방 (intramuscular triglyceride) 및 다양한 효소의 활성도를 연구해 식이방법과 운동시 pro- 및 macro-glycogen의 기질로서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고탄수화물 식이요법,고지방 식이요법,pro-glycogen,에너지 기질,근섬유 형태,macro-glycogen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