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이 어떠한 요소와 방식, 그리고 절차에 의하여 기획 되는가 즉, 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한 절차의 규정인 프로토콜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 ...
본 연구는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이 어떠한 요소와 방식, 그리고 절차에 의하여 기획 되는가 즉, 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한 절차의 규정인 프로토콜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기획 단계별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셋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기획 단계별 프로토콜은 어떻게 연결되는가
넷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민간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 구성과 검증의 차원에서 분석유형별로 대상을 세분화하여 선정하였다. 따라서 2002년 현재 연구대상을 세분화하여 선정하는 기준은 프로토콜의 구성단계에서는 민간스포츠센터의 활동프로그램 기획과 관련한 각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할 것이며, 검증단계에서는 현재 민간스포츠센터의 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기획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민간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하여 응용스포츠사회학적 이론의 접근방법에 의거하여 활동프로그램의 기획단계와 교차적으로 연구하는 분석틀을 설정하고, 설정된 분석틀에 의거하여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다각적으로 자료를 확보하고, 자료의 특성에 따라서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민간스포츠센터 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념정립단계와 욕구분석단계의 연결에 있어서는 교통편, 주차시설, 가족체육활동참가율, 결혼여부, 소득수준, 참가희망종목, 수요예측, 적정비용, 홍보전략요인과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욕구분석단계와 내용구성단계의 연결에 있어서 교통편요인 --> 수업시간, 요일배치와의 연결, 주차시설--> 시설활용공간, 학력수준 --> 활동내용의 유행, 소득수준 --> 가격결정요인, 참가희망종목 --> 시설공간, 프로그램형태, 내용, 유행, 수요예측 --> 시설활용공간, 전문가의 직관, 교육목표 그리고 홍보전략요인 --> 가격결정요인 등으로 연결된다.
셋째, 내용구성단계와 시행단계의 연결은 먼저 시설활용공간 --> 안전사전점검, 지속적 참여여부, 전문가직관 --> 구체적 계획, 탄력적 운영, 지도자 직관, 수업시간배치 --> 지도자 배치, 계절적 요인 --> 프로그램 탄력적 운영, 프로그램내용 --> 구체적 계획, 프로그램 탄력적 운영, 활동내용의 유행 --> 프로그램 탄력적 운영, 교육의 세부목표 --> 지도자 배치, 홍보적략, 방법요인은 --> 지속적 홍보계획 고려 요인으로 연결된다.
마지막 넷째인 시행단계와 평가단계의 연결에 있어서 안전사전점검요인은 -->활동의 안전성, 지도자 배치 --> 지도자의 태도, 지도자의 협조체제, 지도자의 직관 --> 활동의 안정성, 프로그램의 창의성, 구체적 계획 --> 프로그램의 인지도, 참가자의 참가율, 참여자의 즐거움, 수익의 창출효과, 지속적 참가여부 --> 참가자의 즐거움, 수익창출효과, 지속적 운영판단 -->인지도, 즐거움, 참가자의 참가율, 의견수렴, 수익창출효과 등으로 연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