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 개발: 응용스포츠사회학적접근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장려금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2-908-G00009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1 년 (2002년 09월 01일 ~ 2003년 09월 01일)
연구책임자 이은석
연구수행기관 한국체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이 어떠한 요소와 방식, 그리고 절차에 의하여 기획되는가 즉, 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한 절차의 규정인 프로토콜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
    둘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기획 단계별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
    셋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기획 단계별 프로토콜은 어떻게 연결되는가 ?
    넷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민간 스포츠센터의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 개발은 프로그램의 기획하고자 하는 전문가들에게 보다 현실성 있는 프로그램 기획 방법을 제공하게 될 것이며,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 전문가들에게 기획방법에 대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민간스포츠센터의 경영의 효율성과 더불어 참가자들의 만족감을 증대시킬 것이며, 한편으론 본 연구의 결과 통하여 여가스포츠 프로그램 분야의 연구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민간스포츠센터의 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 간의 연결방식이 존재하고, 이를 근거로 프로그램 기획과정의 각 단계별 구성방식이 존개하게 된다. 즉, 프로그램의 기획하는 과정은 정해져 있으나, 기획과정을 전개해 가는 방식과 절차 그리고 요소에 대한 정해진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토콜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스포츠센터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식과 절차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하는 가를 밝혀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간 스포츠 센터의 활동프로그램의 기획과정을 분석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현실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는 프로그램기획 단계별, 절차의 요소와 준수해야할 순서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한글키워드
  • 프로토콜,활동프로그램,민간스포츠센터, 응용스포츠사회학,프로그램기획과정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이 어떠한 요소와 방식, 그리고 절차에 의하여 기획 되는가 즉, 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한 절차의 규정인 프로토콜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기획 단계별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셋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기획 단계별 프로토콜은 어떻게 연결되는가
    넷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민간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 구성과 검증의 차원에서 분석유형별로 대상을 세분화하여 선정하였다. 따라서 2002년 현재 연구대상을 세분화하여 선정하는 기준은 프로토콜의 구성단계에서는 민간스포츠센터의 활동프로그램 기획과 관련한 각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할 것이며, 검증단계에서는 현재 민간스포츠센터의 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기획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민간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하여 응용스포츠사회학적 이론의 접근방법에 의거하여 활동프로그램의 기획단계와 교차적으로 연구하는 분석틀을 설정하고, 설정된 분석틀에 의거하여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다각적으로 자료를 확보하고, 자료의 특성에 따라서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민간스포츠센터 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념정립단계와 욕구분석단계의 연결에 있어서는 교통편, 주차시설, 가족체육활동참가율, 결혼여부, 소득수준, 참가희망종목, 수요예측, 적정비용, 홍보전략요인과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욕구분석단계와 내용구성단계의 연결에 있어서 교통편요인 --> 수업시간, 요일배치와의 연결, 주차시설--> 시설활용공간, 학력수준 --> 활동내용의 유행, 소득수준 --> 가격결정요인, 참가희망종목 --> 시설공간, 프로그램형태, 내용, 유행, 수요예측 --> 시설활용공간, 전문가의 직관, 교육목표 그리고 홍보전략요인 --> 가격결정요인 등으로 연결된다.
    셋째, 내용구성단계와 시행단계의 연결은 먼저 시설활용공간 --> 안전사전점검, 지속적 참여여부, 전문가직관 --> 구체적 계획, 탄력적 운영, 지도자 직관, 수업시간배치 --> 지도자 배치, 계절적 요인 --> 프로그램 탄력적 운영, 프로그램내용 --> 구체적 계획, 프로그램 탄력적 운영, 활동내용의 유행 --> 프로그램 탄력적 운영, 교육의 세부목표 --> 지도자 배치, 홍보적략, 방법요인은 --> 지속적 홍보계획 고려 요인으로 연결된다.
    마지막 넷째인 시행단계와 평가단계의 연결에 있어서 안전사전점검요인은 -->활동의 안전성, 지도자 배치 --> 지도자의 태도, 지도자의 협조체제, 지도자의 직관 --> 활동의 안정성, 프로그램의 창의성, 구체적 계획 --> 프로그램의 인지도, 참가자의 참가율, 참여자의 즐거움, 수익의 창출효과, 지속적 참가여부 --> 참가자의 즐거움, 수익창출효과, 지속적 운영판단 -->인지도, 즐거움, 참가자의 참가율, 의견수렴, 수익창출효과 등으로 연결된다.
  • 영문
  •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tocol for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of the community sports center and the program nearer to the realities by approaching this from a perspective of the applied sports sociology.
    To attain this goal,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lement of the protocol, the conceptional regulation of the element and procedure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the activity program of the community sports center through the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 review, explore the process of planning the activity program of the sports center in advanced countries and select the content of the protocol concept and its component elements after converging the opinions of the related expert group comprised. And it attempted to define how each of the sub-protocol elements of the activity program was connected th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expert group based on the collected protocol elements. It used the research method of the many-sided aspects by applying the approach of the applied sports sociology, its theoretical referenc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component elements of the activity program of the community sports center are as follows: The component elements at the stage of establishing the concept included the increase of residents' welfare, the increase of residents' health and fitness, sound leisure life, the inducement of solidarity and ties with local residents, rest and vocation and profit creation through business rationalization. The component elements at the stage of evaluating needs included sex, age, the type of occupations,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income level, the ratio of family composition,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locational characteristics, the forecasting of acceptance, analysis of residential characteristics, the trends of changes in the local population, the present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s, the event in which they participate, the sports events in which they hope to participate, proper rate.
    Second, the protocol elements by planning stage of the activity program of the community sports center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tocol elements at the stage of establishing the concept included residents' welfare, the increase of residents' health and fitness, sound leisure life, and the creation of business profit. The protocol elements at the stage of needs evaluation included geographic characteristic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characteristics, cultural characteristics.
    Finally, the protocol elements by planning stage of the activity program of the community sports center were connected with each other as follows: First,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age of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the stage of evaluating needs, the increase of residents' welfare at the stage of establishing the concept was connected with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t the stage of evaluating the needs. The increase of health and fitness at the stage of establishing the concept was connected with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und leisure life was connected with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inally, the increase of business profit was connected with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 elements at the stage of evaluating the needs and the protocol elements at the stage of constructing the cont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이 어떠한 요소와 방식, 그리고 절차에 의하여 기획 되는가 즉, 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한 절차의 규정인 프로토콜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기획 단계별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셋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기획 단계별 프로토콜은 어떻게 연결되는가?
    넷째, 민간 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민간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 구성과 검증의 차원에서 분석유형별로 대상을 세분화하여 선정하였다. 따라서 연구대상을 세분화하여 선정하는 기준은 프로토콜의 구성단계에서는 민간스포츠센터의 활동프로그램 기획과 관련한 각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할 것이며, 검증단계에서는 현재 민간스포츠센터의 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기획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민간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할 때에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은 우선적으로 국내․외 문헌, 연구자료를 통하여 분석하고 추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은 민간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데에는 부족한 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문헌연구의 자료를 확인하고 또한 보충하기 위하여 전문가집단의 의견수렴을 위하여 델파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전문가집단으로 규정될 사람들은 민간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 기획과 관련한 전문적 지식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되는 민간이나 공공스포츠센터 프로그램 기획자, 운영자, 관련 분야의 교수 및 행정가, 사회복지, 청소년 수련 등의 프로그램 기획자 등으로 총 30명을 선정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민간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2002년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민간스포츠센터 16곳을 선정하여, 그곳에 근무하는 활동프로그램 관련자 및 지도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집락무선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으로 한 곳 당 15명씩 총 24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민간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하여 응용스포츠사회학적 이론의 접근방법에 의거하여 활동프로그램의 기획단계와 교차적으로 연구하는 분석틀을 설정하고, 설정된 분석틀에 의거하여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다각적으로 자료를 확보하고, 자료의 특성에 따라서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민간스포츠센터 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념정립단계와 욕구분석단계의 연결에 있어서는 교통편을 비롯하여 9개요인과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욕구분석단계와 내용구성단계의 연결에 있어서 교통편요인 --> 수업시간 등 연결과 더불어 8개요인이 14개 내용구성단계요인과 연결된다. 그리고 셋째, 내용구성단계와 시행단계의 연결은 시설활용공간 등 8개요인인 12개 시행단계요인과 연결되며, 마지막으로 넷째인 시행단계와 평가단계의 연결에 있어서 안전사전점검요인등 8개 요인과 18개의 평가단계 요인과 연결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연구 결과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민간스포츠센터 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념정립단계와 욕구분석단계의 연결에 있어서는 교통편, 주차시설, 가족체육활동참가율, 결혼여부, 소득수준, 참가희망종목, 수요예측, 적정비용, 홍보전략요인과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욕구분석단계와 내용구성단계의 연결에 있어서 교통편요인 --> 수업시간, 요일배치와의 연결, 주차시설--> 시설활용공간, 학력수준 --> 활동내용의 유행, 소득수준 --> 가격결정요인, 참가희망종목 --> 시설공간, 프로그램형태, 내용, 유행, 수요예측 --> 시설활용공간, 전문가의 직관, 교육목표 그리고 홍보전략요인 --> 가격결정요인 등으로 연결된다.
    셋째, 내용구성단계와 시행단계의 연결은 먼저 시설활용공간 --> 안전사전점검, 지속적 참여여부, 전문가직관 --> 구체적 계획, 탄력적 운영, 지도자 직관, 수업시간배치 --> 지도자 배치, 계절적 요인 --> 프로그램 탄력적 운영, 프로그램내용 --> 구체적 계획, 프로그램 탄력적 운영, 활동내용의 유행 --> 프로그램 탄력적 운영, 교육의 세부목표 --> 지도자 배치, 홍보적략, 방법요인은 --> 지속적 홍보계획 고려 요인으로 연결된다.
    마지막 넷째인 시행단계와 평가단계의 연결에 있어서 안전사전점검요인은 -->활동의 안전성, 지도자 배치 --> 지도자의 태도, 지도자의 협조체제, 지도자의 직관 --> 활동의 안정성, 프로그램의 창의성, 구체적 계획 --> 프로그램의 인지도, 참가자의 참가율, 참여자의 즐거움, 수익의 창출효과, 지속적 참가여부 --> 참가자의 즐거움, 수익창출효과, 지속적 운영판단 -->인지도, 즐거움, 참가자의 참가율, 의견수렴, 수익창출효과 등으로 연결된다.

    █ 활용방안

    본 연구는 가장 일반적이며, 대중적인 여가스포츠 활동의 장인 민간스포츠센터에 있어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기획하는 과정에 꼭 지켜야 할 절차와 규칙 등의 프로토콜이 존재한다는 전제하에 연구가 계획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연구결과가 사회발전과 학문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학문발전‧사회발전의 기여도

    ▣ 본 연구에서 설정한 프로그램 기획과정에 있어서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차이를 살펴보는 기술통계자료로 사용활용.
    ▣ 민간스포츠센터의 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프로토콜 요소를 분석하여 계량적 자료로 제시함.
    ▣ 민간 스포츠센터의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 개발은 프로그램을 기획하고자 하는 전문가들에게 보다 현실성 있는 프로그램 기획 방법을 제공.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현재 스포츠센터의 활동 프로그램에 문제점 및 실태를 파악.

    - 학위논문의 활용도

    민간스포츠센터 활동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개발이라는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학위논문은 점차적으로 대중화, 다양화, 필수화 되어가고 있는 여가스포츠 분야에 있어서 절대적인 활동의 영역에 해당하는 민간스포츠센터 뿐만 아니라, 여가스포츠 활동의 분야의 전반에 걸쳐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스포츠 센터의 활동 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Mapping의 원칙을 정립
    ▣ 스포츠 센터의 활동 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Menu를 작성하여 현장지도자에게 활용
    ▣ 스포츠센터 및 여가스포츠 프로그램 기획과 관련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참고자료 활용
    ▣ 여가스포츠관련 전공학생들에게 새로운 시각의 프로그램 기획 지식을 전달
    ▣ 여가스포츠 프로그램의 기획에 대한 중요성 인식 및 새로운 시각적 변화에 활용
    ▣ 일선 스포츠센터의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consulting 및 remodeling에 활용
  • 색인어
  • 민간스포츠센터, 활동 프로그램, 개념정립단계, 욕구분석단계, 내용구성단계, 시행단계, 평가단계, 프로토콜 요소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