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혹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을 이들 활동에 참여시키고 오랜기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어떻게 하여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채택하여 유지하는가에 대한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
운동 혹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을 이들 활동에 참여시키고 오랜기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어떻게 하여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채택하여 유지하는가에 대한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최근 주목을 모으는 것이 전이이론적 모델(transtheoretical model: TTM)이다. 이 모델은 원래 지방분 섭취, 흡연 등의 건강하지 못한 습관적 행동의 변화과정을 설명하는데 이용되었으나, 신체적 활동이나 운동 등과 같은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기 위한 행동으로의 변화과정에도 응용되고 있다. TTM의 구성요소는 1)행동변화의 단계(stage of change), 2)행동변화의 과정(processes of change), 3)의사결정의 균형(decisional balance), 4)자기효능감(self-efficacy)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구성요소가 최근의 연구에서 밝혀짐에 따라 TTM이 신체활동량을 촉진하고 유지하는 유효한 수단임이 증명되고 있다. 따라서, TTM의 구성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척도의 개발은, 성인들이 점점 늘어나는 여가시간을 보다 건강에 유용한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한국판 측정척도는 개발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는 외국의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TTM의 구성요소 측정척도를 토대로 한국판 척도를 작성하고, 그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여 운동행동의 변화와 유지에 관심을 갖는 후속연구자들에게 기초적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대효과
1.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은 TTM의 구성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함으로서 운동행동 변화 및 유지에 관한 후속연구에 필요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2. 우리나라 성인들의 운동행동 경향을 이해할 수 있다. 3.운동을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을 운동 ...
1.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은 TTM의 구성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함으로서 운동행동 변화 및 유지에 관한 후속연구에 필요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2. 우리나라 성인들의 운동행동 경향을 이해할 수 있다. 3.운동을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을 운동행동으로 유도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4. 운동을 실천하고 있는 사람들의 행동 강화(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도록 하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연구요약
TTM의 구성요소 측정척도는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문항들을 번역-역번역의 절차를 거쳐 번역하고 검토하여 한국판 설문문항들을 작성하고, 성인 남녀 2600명을 대상으로 하여 4회에 거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측정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분석하여 한국판 TTM구성요 ...
TTM의 구성요소 측정척도는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문항들을 번역-역번역의 절차를 거쳐 번역하고 검토하여 한국판 설문문항들을 작성하고, 성인 남녀 2600명을 대상으로 하여 4회에 거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측정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분석하여 한국판 TTM구성요소 측정척도를 개발한다.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은 설문문항의 개발에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들(G-P분석,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크롬백의 알파계수, 검사-재검사간의 상관계수)이 사용될 것이다.
한글키워드
행동변화의 단계(stage of change),자기효능감(self-efficacy),건강,운동행동,전이이론적 모델(transtheoretical model: TTM),행동변화의 과정(processes of change),의사결정의 균형(decisional balanc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TTM의 구성요소 측정척도를 토대로 한국판 척도를 작성하고, 그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여 운동행동의 변화와 유지에 관심을 갖는 후속연구자들에게 기초적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TTM의 구성요소 측정척도를 토대로 한국판 척도를 작성하고, 그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여 운동행동의 변화와 유지에 관심을 갖는 후속연구자들에게 기초적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인 남여 9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나, 응답이 성실하지 못한 대상 45명을 제외한 880명을 최종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국판으로 작성된 운동행동 변화과정 측정척도(Marcus et al, 1992), 의사결정 균형 측정척도(Marcus et al, 1992)자기효능감 측정척도(Marcus et al, 1992)를 실시하고 그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동행동변화과정 측정척도의 구조는 반대조건부여요인, 자기강화 및 해방요인, 관계촉진요인, 자극통제요인, 환경재평가요인, 자기발견요인 등 6개의 하위요인을 가지며, 이들 하위요인들은 각각 두개의 상위요인을 가지는 다차원적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의사결정규형 측정척도는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운동이득요인과 운동장해요인 등 두 개의 하위요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목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2개 문항이 삭제되고 14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척도가 만들어졌다. 자기효능감 측정척도 역시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요인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항목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치면서 5개 문항의 측정척도가 만들어졌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TTM구성요소 측정척도들은 모두 불필요한 문항의 제거 작업을 거치면서 그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영문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the exercise Processes of Change Questionnaire(PCQ), Decision Balance, and Self-Efficacy of transtheoretical model (TTM) for exercise behavior change. Originally, the questionnaire was made by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the exercise Processes of Change Questionnaire(PCQ), Decision Balance, and Self-Efficacy of transtheoretical model (TTM) for exercise behavior change. Originally, the questionnaire was made by Marcus et al.(1992) and Nigg et al.(1999) on the basis of TTM.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880 adults who completed Korean version of Processes of Change, Decision Balance, and Self-Efficacy Questionnair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xtracted a 6-factors (counterconditioning, self libertation and reinforcement, stimulus control, environmental reevaluation, consciousness raising) from Processes of Change. And 2-factors (pros and cons) from Decision Balance and one factor from Self-Efficacy questionnaire were extracted by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formative factor analysis, the goodness-of-fit of factor structure of PCQ, Decision Balance, and Self-Efficacy questionnaire were appeared acceptable. Also, the resul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ly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of PCQ; ranged .69-.99.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TTM의 구성요소 측정척도를 토대로 한국판 척도를 작성하고, 그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여 운동행동의 변화와 유지에 관심을 갖는 후속연구자들에게 기초적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TTM의 구성요소 측정척도를 토대로 한국판 척도를 작성하고, 그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여 운동행동의 변화와 유지에 관심을 갖는 후속연구자들에게 기초적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인 남여 9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나, 응답이 성실하지 못한 대상 45명을 제외한 880명을 최종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국판으로 작성된 운동행동 변화과정 측정척도(Marcus et al, 1992), 의사결정 균형 측정척도(Marcus et al, 1992)자기효능감 측정척도(Marcus et al, 1992)를 실시하고 그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동행동변화과정 측정척도의 구조는 반대조건부여요인, 자기강화 및 해방요인, 관계촉진요인, 자극통제요인, 환경재평가요인, 자기발견요인 등 6개의 하위요인을 가지며, 이들 하위요인들은 각각 두개의 상위요인을 가지는 다차원적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의사결정규형 측정척도는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운동이득요인과 운동장해요인 등 두 개의 하위요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목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2개 문항이 삭제되고 14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척도가 만들어졌다. 자기효능감 측정척도 역시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요인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항목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치면서 5개 문항의 측정척도가 만들어졌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TTM구성요소 측정척도들은 모두 불필요한 문항의 제거 작업을 거치면서 그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1) TTM 구성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개발됨으로서 운동행동 변화 및 유지에 관한 후속연구에 필요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2)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TTM의 구성요소측정척도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성인들의 운동행동 경향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 ...
1) TTM 구성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개발됨으로서 운동행동 변화 및 유지에 관한 후속연구에 필요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2)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TTM의 구성요소측정척도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성인들의 운동행동 경향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 일반인들의 운동 보급률을 단순히 검토하는데 그치지 않고, TTM의 구성요소를 검토함으로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3) 운동을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을 운동행동으로 유도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는데 TTM의 구성요소측정척도를 이용할 수 있다. 4) 운동을 실천하고 있는 사람들의 행동 강화(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도록 하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도구로 사용될 것이다. 5) 기업뿐만 아니라 소규모 단위의 사회적 집단에서 소속성원들의 운동행동을 이해하려 할 때, TTM의 구성요소 측정척도는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