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온라인 상에서 학습자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과 제2언어 습득과의 관계를 다룬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업중심의 인터넷 채팅에 나타난 영어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밝히고, 나아가 온라인 상의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지를 규명 ...
본 연구는 온라인 상에서 학습자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과 제2언어 습득과의 관계를 다룬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업중심의 인터넷 채팅에 나타난 영어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밝히고, 나아가 온라인 상의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한다: 1) 온라인 상에서 영어 학습자들이 의미 협상을 시도하는가? 2) 온라인 상의 상호작용에서 어휘, 형태, 통사중 어느 영역에서 가장 많은 의미 협상이 이루어지는가? 3) 결과적으로, 의미 협상은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가?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채팅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어 어휘와 문법을 효과적으로 학습/교수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그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다.
기대효과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측면에서는 제2언어 습득의 본질을 이해하고, 나아가 제2언어 습득 이론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컴퓨터 매개 통신을 활용한 실용적인 영어 교육 과정의 개발과 효과적인 영어 교수/학습을 위해 기여할 수 있을 ...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측면에서는 제2언어 습득의 본질을 이해하고, 나아가 제2언어 습득 이론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컴퓨터 매개 통신을 활용한 실용적인 영어 교육 과정의 개발과 효과적인 영어 교수/학습을 위해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미자막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국내외 학자들과 공유함으로써 영어 원어민과의 접촉이 극히 제한되어 있는 우리와 비슷한 환경에 있는 다른 나라의 제2언어 학습/교육에도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가? 하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 학기 16주에 걸쳐 인터넷 채팅을 이용하여 종단적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1) 실험 참여자는 대학에서 교양 영어를 수강하는 두 반 약 50명의 대학생이다. 이들은 일주일 4시 ...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가? 하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 학기 16주에 걸쳐 인터넷 채팅을 이용하여 종단적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1) 실험 참여자는 대학에서 교양 영어를 수강하는 두 반 약 50명의 대학생이다. 이들은 일주일 4시간의 교양 영어 수업 중, 매 주 한 시간씩 두 명이 한 조를 이루어 온라인 상에서 영어로 채팅을 하면서 주어진 과업을 완수하게 될 것이다. (2) 과업은 한 참여자가 다른 참여자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수집하는 일방통행식과 두 참여자가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상호교환방식 두 종류가 될 것이다. 모든 참여자들은 한 한기 동안 약 12 개의 과업을 수행하게 된다. (3) 결과의 분석은 실험 참여자들이 주어진 과업을 협동하며 완수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의미 협상을 시도했는지, 또한 전체 의미 협상 중 어휘, 형태, 통사 영역의 의미 협상이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검토할 것이다. 이와 함께 문장 당 형태소 수, 문장 당 절의 수, 전체 문장의 수, 오류의 비율 등을 계량화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실험 참여자들의 영어 능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질적, 양적으로 분석, 검토할 것이다.
한글키워드
상호작용 가설,상호작용,제2언어 습득,통사,어휘,의미협상,인터넷 채팅,과업 중심,형태,영어 교육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인터넷 채팅에 나타나난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 화자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오프라인 상의 면대면 상호작용처럼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인터넷 채팅에 나타나난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 화자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오프라인 상의 면대면 상호작용처럼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한다: (1) 온라인 상에서 영어 학습자들이 의미협상(negotiation of meaning)을 시도하는가?; (2) 온라인 상에서 어휘, 형태, 통사 중 어느 영역에서 가장 많은 의미협상이 이루어지는가? (3) 결과적으로, 의미협상은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명의 제2언어 학습자와 한 명의 영어 원어민 화자와의 인터넷 채팅 상의 담화 자료를 한 학기 동안 일 주일에 한 번 약 50분씩 수집하였다. 두 명의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 화자와의 담화 자료 분석 결과, 인터넷 채팅에서도 오프라인 상의 상호작용에서처럼 다양한 의미 조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와 내용에 관한 의미 조율은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문법이나 통사에 관한 의미 조율은 별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영어 원어민 화자는 제2언어 학습자에게 어휘나 문법적 오류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을 제공하였고, 제2언어 학습자는 부정적 피드백을 인지하고 자신의 담화에 포함시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채팅 상의 의미 조율이나 부정적 피드백은 제2언어 학습자가 영어 형태소를 습득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This study reports on a longitudinal study that examines L2 learners' interactions with a native speaker through internet chat during one semester to determine whether interactions through synchronous chatting are facilitative of L2 acquisition. The d ...
This study reports on a longitudinal study that examines L2 learners' interactions with a native speaker through internet chat during one semester to determine whether interactions through synchronous chatting are facilitative of L2 acquisition. The data of this study reveal that (1) interactions in synchronous chatting induced a series of negotiations of meaning although lexical and content negotiations predominated these interactions; (2) L2 learners provided and were provided negative feedback during chat interactions; although only a few instances of the interlocutor's negative feedback were incorporated into subsequent conversational turns, they were noticed and used by learners; furthermore, the negative feedback provided enabled L2 learners to reflect consciously about L2 forms; (3) the negative feedback offered as well as meaning negotiation led to L2 learners' morphosyntactic develop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teractions in synchronous chatting can facilitate L2 acquisition.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 채팅에 나타나난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 화자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오프라인 상의 면대면 상호작용처럼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명의 제2언어 학습자와 한 명의 영어 ...
본 연구는 인터넷 채팅에 나타나난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 화자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오프라인 상의 면대면 상호작용처럼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명의 제2언어 학습자와 한 명의 영어 원어민 화자와의 인터넷 채팅 상의 담화 자료를 한 학기 동안 일 주일에 한 번 약 50분씩 수집하였다. 두 명의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 화자와의 담화 자료 분석 결과, 인터넷 채팅에서도 다양한 의미 조율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휘와 내용에 관한 의미 조율은 오프라인 상의 상호작용에서처럼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원어민 화자는 제2언어 학습자에게 어휘나 문법 오류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을 제공하였고, 제2언어 학습자는 부정적 피드백을 인지하고 자신의 담화에 포함시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채팅 상의 의미 조율이나 부정적 피드백은 두 명의 제2언어 학습자중 한 명의 학습자가 영어 형태소를 습득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명중 채팅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한 명의 학습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영어의 부정 관사 ‘a'와 복수형 어미 ’-s'의 사용이 점점 목표언어에 근접해 갔다. 이는 곧 채팅 상의 상호작용이 제2언어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의 결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그 기대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먼저 이론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본 연구의 결과는 “상호작용 가설”을 지지해 준다. 본 연구에서 온라인상의 상호작용이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
본 연구의 결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그 기대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먼저 이론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본 연구의 결과는 “상호작용 가설”을 지지해 준다. 본 연구에서 온라인상의 상호작용이 제2언어 습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이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영어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 온라인상의 상호작용이 오프라인 상의 상호작용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영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많다. 즉, 다양한 인터넷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자-학습자간 또는 학습자-원어민간 상호작용의 기회를 많이 갖는 것이 효과적인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채팅을 통한 상호작용 과정은 반복, 재생이 가능하므로, 영어 문법이나 새로운 언어 자질의 습득을 위한 훌륭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L2 습득과 효과적인 영어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인터넷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자-학습자간 또는 학습자-원어민간 상호작용의 기회를 많이 갖는 것이 효과적인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채팅을 통한 상호작용 과정은 반복, 재생이 가능하므로, 영어 문법이나 새로운 언어 자질의 습득을 위한 훌륭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L2 습득과 효과적인 영어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