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노자>>의 철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 -- <以無治有>의 철학원리를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2-041-A00119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1 년 (2002년 12월 01일 ~ 2003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송영배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전의 老子 연구는 魏晋 시대의 王弼에 의해 편집된 판본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다. 왕필이 갖고 있는 그 사상적 특징이 다소 추상적이라는 점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삼아 왔던 그 간의 <<도덕경>> 연구 내용 역시 간략하고 추상적인데 그쳤다. 이러한 연구 내용의 추상성은 결국 漢代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2,200 여년 간 다양하고 심지어는 서로 상충되는 해석의 난무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1972년에 중국 마왕퇴에서 노자 帛書 甲, 乙本이 출토되고, 또 1994년에 곽점 노자 竹簡本이 발굴됨에 따라, 노자 연구 역시 다양해진 판본을 근거로 하여 보다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예를 들어, 곽점 죽간본 출토 이후의 연구 성과 중 괄목할 만한 연구로 郭沂를 꼽을 수 있는데, 그는 곽점 죽간본의 내용을 역사적 인물인 춘추시대의 老聃(공자보다 한 세대 앞선 6세기의 인물)의 저작으로 파악하고 백서 본 이후의 <<노자>>의 작자를 전국시대의 太史 의 다시 대대적으로 확충하여 편집된 판본으로 파악함으로써 좀 더 가장 원본에 가까운 노자 텍스트를 추적하는 나름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포함하여 그간에 이루어져 왔던 업적들은 텍스트 자체에 대한 고증에는 탁월한 업적들을 내고 있음은 인정된다. 그러나 현존하는 노자 텍스트가 함유하는 철학적 의미를 좀 더 선명하게 드러내는데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아쉬움이 있다. 왜냐하면 <<노자>>텍스트에서는 중국철학사상 최초로 만물의 존재원인으로서, 기존의 天이나 上帝관념이 아닌 道라는 철학적 개념이 나타나며, 또한 이런 道와 연관되어서 <有>와 <無>의 철학적 개념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가지의 대부분의 {노자}철학 연구에서는 <有>와 <無>개념의 철학적 의미가 일관된 철학적 원리로서 설명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연구의 방향은 우리가 갖고 있는 노자 텍스트에서 파악될 수 있는 <유>와 <무>개념의 철학적 함의의 철학적 분석작업에 초점이 맞추어져야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방향에 맞추어 진행되어야 할 것은 그 연구 방법이자 텍스트 해석 방법의 선명화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어떠한 방식으로 텍스트에 접근하느냐에 따라 그 텍스트가 안고 있는 의미의 파악이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택하고자 하는 방법은 단순히 노자 텍스트에만 국한된 연구를 지양하고 전국시대의 관련된 자료들을 아울러 살펴봄으로써, 우선 <유>와 <무>개념의 철학적 원천을 추적해봄으로써, 노자 텍스트가 갖고 있는 진의에 좀 더 체계적으로 접근하는데 있다.
  • 연구요약
  •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서론: <老子>에서의 '道', '無', '有'의 철학적 관계
    - 중국철학사에서 노자철학의 특징은 만물의 존재 근거를 道라는 개념에 귀결시키고 그 철학적 의미를 有와 無의 개념틀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결국 중심 주제가 될 수 있는 것은 有, 無 개념의 파악과 그 상호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道개념에 접근함으로써, 이러한 노자 내의 철학적 함의가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매김할 수 있음을 밝히는데 있다.

    2. '無', '有'의 개념 원천과 그 상호 관계로서의 '以無治有'
    2.1 <손자병법>에서의 無, 有의 관계
    2.2 <韓非子·解老>에서의 無, 有의 관계
    2.3 <孫子兵法>과 <韓非子·解老>의 '以無治有'의 개념
    2.4 <孫子兵法>과 <韓非子·解老>의 연구를 통한 노자 접근.
    - 중국 철학사 내에서 有無라는 개념이 처음 철학적으로 활용된 것은 분명 노자에서부터라고 할 수 있으나, 그 개념 파악과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孫子兵法>과 <韓非子·解老>에서의 그 개념 활용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이 본 연구가 진행할 하나의 연구 방법이자 텍스트 접근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孫子兵法>과 <韓非子·解老>를 중심으로 유와 무의 개념 원천과 그 상호 관계인 '以無治有'의 개념을 추적하고자한다.

    3. 以無爲治有爲의 사회정치론.
    3.1 道의 無爲와 (萬)物의 有爲
    3.2 聖人의 無爲와 (萬)民의 有爲
    3.3 萬物(萬人)의 '自然'적 전개 발전의 이상세계
    -철학적 개념에 대한 접근은 단순히 해당 텍스트 안에서의 정합적 설명만으로 그 목적에 도달할 수 없다. 함께 진행되어야할 것은 그러한 철학적 개념을 배태한 사회적 맥락에 대한 고려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본 연구에서 동시에 진행되어야 할 것은 위에서 서술한 개념들이 실질적으로 어떠한 사회적인 맥락들을 포괄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 될 것이며 이를 사회정치론으로서 파악하고자 한다.
    <노자>, <손자병법>, <한비자·해로>의 공통된 기본 특성은 그 설득 대상이 최고통치자인 군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것이다. <손자병법>에서는 능동적인 장수(將)와 피동적인 군졸(卒)의 관계를 기본적인 사회적 관계로 파악하고 그 관계에 대한 논의를 주요 논점으로 삼고 있고, <노자>에서는 최고통치자인 성인과 만민의 관계를 대립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여기에서 道와 萬物의 관계에 대한 나름의 통찰을 보이고 있다. 결국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정치적 관계가 본 연구의 해당 텍스트들에서 '以無爲治有爲'라는 개념으로 귀결됨을 보이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 진행을 통해 본 연구는 노자에서 나타나는 이상적 사회상에 대한 추적을 시도하게 될 것이다.

    4. 기타 보조 연구 대상
    4.1 <노자>의 道와 黃老學의 관계
    4.2 <노자>의 道와 莊子철학의 관계
    -상기 연구의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위에서 밝힌 텍스트에 국한된 연구만으로는 역부족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연구는 구체적으로 <노자>와 黃老學의 관계 그리고 莊子철학에 대한 체계적 해석 제시 역시 아울러 진행코자 한다.

  • 한글키워드
  • 有,萬民,老子,無,道,自然 이상사회관,萬物,有爲,無爲,聖人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ꡔ老子ꡕ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문헌학적 고증에 치중하는 경향과, 상기 텍스트에 등장하는 형이상학적 개념들에 대한 해석에 치중하는 또다른 경향이 있어왔다. 이 두 경향의 공통된 문제점은 왕필의 주석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제대로 부각시키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에 우선 본 연구는 상기 텍스트의 철학적 패러다임을 드러내는데 있어 왕필 주석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이를 독창적으로 중국적 사유방식인 유기체적 사고방식과 연결짓고자 한다. 왜냐하면, 동양적 사유의 기본 모형인 이 방식의 원초적 원리가 바로 ꡔ노자ꡕ서에서 개진되고 있다고 필자는 확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논문)는 기존의 ꡔ노자ꡕ서에 대한 문헌학적philological, 또는 역사학적 연구를 지양하고, ꡔ노자ꡕ에 함유된 철학적 패러다임을 <有>와 <無>개념의 상관적 관계를 중심으로 좀 더 체계적으로 기술하는데 창의적인 의미가 있다.
    결론적으로본 연구에서는 ꡔ노자ꡕ서에 깔려있는 철학적 사유를: 1) <有>와 <無>의 존재론적 구조; 2) 상관적 사유 방식의 구체화; 3) <以無治有>의 정치이상과 黃老學 을 새롭게 부각해냄으로써, ꡔ노자ꡕ에 함유되어있는 철학적 의미를 밝혀낼 것이다. 이 결과 王弼에서 제시되었던 주석학적 지평을 넘어서서 ― 서양의 형식논리학적 사유방식과 구별되는 ― 새로운 중국고유의 형이상학적 사유의 틀이 새롭게 조명될 것이다. ꡔ老子ꡕ에서 처음으로 개진된 이런 사유의 틀은 ꡔ장자ꡕ의 초개인주의적 철학뿐만이 아니라, ꡔ주역周易ꡕ이나 한의학漢醫學에서 더욱 더 정교한 체계를 갖추고 발전되었다.
  • 영문
  • 한국에서 발행되는 학술연구지에 게재예정임.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ꡔ老子ꡕ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문헌학적 고증에 치중하는 경향과, 상기 텍스트에 등장하는 형이상학적 개념들에 대한 해석에 치중하는 또다른 경향이 있어왔다. 이 두 경향의 공통된 문제점은 왕필의 주석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제대로 부각시키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상기 텍스트의 철학적 패러다임을 드러내는데 있어 왕필 주석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이를 독창적으로 중국적 사유방식인 유기체적 사고방식과 연결짓고자 한다. 왜냐하면, 동양적 사유의 기본 모형인 이 방식의 원초적 원리가 바로 ꡔ노자ꡕ서에서 개진되고 있다고 필자는 확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논문)는 기존의 ꡔ노자ꡕ서에 대한 문헌학적philological, 또는 역사학적 연구를 지양하고, ꡔ노자ꡕ에 함유된 철학적 패러다임을 <有>와 <無>개념의 상관적 관계를 중심으로 좀 더 체계적으로 기술하는데 창의적인 의미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단순히 현실을 부정하는 무위의 정치술로 알려져 온 노자의 사상을 보다 적극적인 측면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선진 시대의 사유 방식이 갖고 있는 철학적 의미를 발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노자의 사유방식을 중국적 사유방식의 특색과 연계짓는 독창적인 본 연구의 결과는 노자의 사상을 단순히 단일 텍스트 안에 제한시키지 않고 하나의 철학적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일 수 있음을 증명할 것이다.
  • 색인어
  • 철학, 先秦 道家, 老子, 王弼, 상관적 사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